특수형 마기 라스 - teugsuhyeong magi laseu

세상에는 두 가지 유형의 포켓몬이 있습니다. 스피드에 의존해서 '선공을 때리는' 포켓몬도 있고, 스피드 대신 내구에 투자하며 '맞으면서 싸우는'포켓몬도 있습니다.

마기라스는 높은 내구와 화력을 가지고 있지만, 스피드가 낮은 포켓몬입니다. '맞으면서 싸워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기라스의 내구와 화력이라는 장점은 빛나고 있었습니다. 8세대에서 마기라스는 더 빛을 보게 됩니다. 격투 타입 포켓몬의 수가 대거 줄어들고, '다이맥스'시스템이 생겨나면서 마기라스는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강력한 포켓몬이 되었습니다.

1. 샘플

<물리형 마기라스>

마기라스 / 약점보험

고집/ 모래날림

H252 A252 B4

기술배치

-깨물어부수기(24480)

-스톤에지(30600)

-불꽃펀치(15300)

-지진(20400)

양내구 : 65978 / 60437(90656)

다이록(39780) 다이아크(39780) 다이번(26520) 다이어스(26520)

(마기라스의 특성 '모래날림'에 의해 모래 날씨가 되면, 바위 타입 포켓몬의 특수방어가 1.5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마기라스의 실실적인 특수내구는 약 9만대.)

<기술배치에 대한 코멘트>

깨물어부수기, 스톤에지 - 자속 기술인 동시에 타점이 뛰어난 기술입니다. 고스트 타입을 깨물어부수기로, 비행 타입을 스톤에지로 잡을 수 있습니다.

불꽃펀치 - 번개펀치(갸라도스 저격), 냉동펀치 등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대책이 없으면 질 수 밖에 없는 너트령에 대한 무기가 필요해 채용하였습니다.

지진 - 생각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합니다. 더시마사리, 마기라스 미러전 등이 그 예입니다.

'용의 춤'을 채용하지 않은 이유 : 마기라스의 스피드 종족값이 워낙에 낮은 편이라서 1용춤 정도로는 많은 포켓몬을 추월하지 못합니다. 막이를 뚫기 위한 '화력 증강'의 요소로 고민할 수 있지만, 그렇다면 '칼춤'이나 '나쁜음모' '배북'을 배우는 다른 포켓몬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수형 마기라스>

마기라스 / 약점보험

조심 / 모래날림

H252 B4 C252

기술배치

-악의파동(19320)

-불대문자(17710)

-10만볼트(14490)

-냉동빔(14490)

양내구 : 65978 / 60437(90656)

다이아크(31395) 다이번/다이썬더/다이아이스(20930)

물리형은 어떨 때 쓰고 특수형은 어떨 때 쓰나요?

물리형이 원래 형태인 만큼 당연히 더 강력합니다. 화력이 훨씬 뛰어나고, 당연히 1:1에서 이길 확률이 높아집니다.특수형은 '통수'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통수 대상은 막이 포켓몬으로, 마기라스 상대로 나오는 '물리 막이'에 '특수 공격'을 하여 반전을 주는 것이 특수형의 의의입니다.

막이 포켓몬과의 대면을 포기하면 당연히 물리형이 좋습니다. 물리 종족값(134)이 특수 공격력(95)보다 크게 높은 만큼, 실제 화력도 큰 차이가 납니다.

대면 성능도 어느 정도 챙기고, 막이 포켓몬을 끊어내는 게 주 목적일 경우 특수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약점보험도 터뜨리지 못했을 때 특수형의 화력은 많이 빈약할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하셔야 합니다.

2. 장단점

<장점>

높은 내구와 화력 : 안정적인 어태커

-물리내구 6만 5천, 특수내구 9만은 '장난 없는'내구입니다. 왠만한 2배 기술에도 쓰러지지 않으면서 본인은 강한 화력을 가졌습니다. 드래펄트나 에이스번 등 '스피드에 의존하는 어태커'와는 다르게 '갑자기 한 방에 뻗을 일'이 잘 없습니다.

메타의 수혜자 : 격투 타입의 감소

-마기라스의 유일한 4배 약점인 '격투 타입 사용자'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에이스번의 무릎차기, 킬가르도의 인파이트 정도만 조심하면 이제는 정말로 한 방에 죽을 일이 잘 없습니다.

날씨 스틸

-'다이맥스'로 인해 날씨 변화가 잦아졌습니다. '다이스트림'으로 비를 내리고 물타입 기술을 강화하는 물로톰이나, '다이번'으로 쾌청 상태를 만들어서 화력을 강화하고 '솔라빔'을 사용하는 리자몽 등의 '날씨 활용'을 카운터 칠 수 있는 소소한 장점이 있습니다.

악 타입이라서 짓궂은마음에 당하지 않음

-현 메타에는 대표적으로 오롱털이 있습니다. 마기라스는 마비에 걸려도 안 걸려도 다 느리지만, 그래도 장점인 것은 분명합니다.

<단점>

낮은 스피드의 문제 : 한계가 분명함

-아무리 마기라스가 적 선두 포켓몬을 잡아내고 약점보험까지 터뜨려도, 결국 선공을 맞기 때문에 한계가 드러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래펄트나 갸라도스, 토게키스 등이 약보/랭크업에 성공하면 3명을 다 잡아버릴 정도의 포텐을 자랑하는 것과 비교됩니다.

낮은 스피드의 문제 : 스카프도, 용의춤도 애매

-스카프 마기라스는 최속 117족밖에 추월하지 못합니다. 애초에 스카프는 80~95족이 더 잘 어울리죠. 마기라스는 그런 경우가 아닙니다. 다양한 형태를 구성하기가 어렵고 내구형 저속 어태커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 역시 마기라스의 '한계'에 속합니다.

막이 포켓몬을 뚫기가 어려움

-막이를 뚫어내기에 적합한 변화기가 없습니다. 그나마 '도발'이 있는데, 도발을 걸고 나서 랭크업을 미친듯이 쌓아서 스윕을 할 수도 없습니다. 다만 특수형의 경우 '통수'를 쳐서 막이를 뚫을 수는 있습니다.

3. 운용

대면 구축의 파티에서 마기라스를 고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맥스를 상정하는 포켓몬이지만, 꼭 다이맥스를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마기라스의 내구와 화력은 원래 강력하고, 기술들 또한 다이맥스를 하지 않아도 쓸만한 편에 속합니다.

마기라스는 '어태커 위주의 파티'상대로 선출해서 다이맥스 + 약점보험을 터뜨려 한 놈을 잡고 나머지 포켓몬에게도 피해를 입힌 뒤 죽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흔히 말하는 '1.5마리 잡기'가 마기라스 운영의 좌우명이 되는 것입니다.

조심해야 할 운영은 상대가 '약점보험'을 발동시키지 않으려고 다른 잡스러운 기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마기라스의 약점보험은 상당히 잘 읽히는 편으로, 상대가 2배 이상의 기술을 쓰려고 하는 타이밍에 다이맥스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vs

환경의 포켓몬들 중 마기라스와의 1:1 대면 상태에서 특별한 점이 있는 포켓몬들이 있습니다.

따라큐

-마기라스가 매우 불리한 상대입니다. 칼춤 치근거리기/다이페어리로 마기라스가 1타, 다이맥스를 해도 다이페어리에 2타가 나는 상성입니다.

몰드류

-몰드류의 지진에 마기라스가 한 방에 죽지는 않습니다(85%~101.4%). 마기라스의 지진으로 몰드류를 한 방에 잡아낼 수 있습니다.

아머까오

-물리 막이 아머까오가 불대문자 2타 범위에 들어옵니다.

삼삼드래

-약점보험을 켜기에 적합한 상태. 삼삼드래가 교체를 할 수도 있으니 후속 멤버가 있는지 생각하십시오.

물로톰

-사실은 도깨비불이 더 무서워서 피하는 매치입니다. 하이드로펌프 자체는 2타 범위로 견딤. 물로톰의 경우 '다이스트림'으로 날씨를 바꾸고 마기라스의 특수 내구를 깎아낼 수 있지만, 공격을 당하고 나서 날씨가 바뀌기 때문에 맞다이맥스시 안전합니다.

갸라도스

-공격력 1업 갸라도스의 다이스트림 정도는 (다이맥스시) 견딜 수 있습니다. 2업 갸라도스는 어차피 게임을 터뜨릴 정도로 강력하니까 마기라스가 못막는다고 원망할 건 아닌듯.

님피아

-만만한 상대. 마기라스의 두꺼운 특방으로 하이퍼보이스를 견디고 약보 + 님피아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불비달마

-지진 정도는 견딥니다. 문제는 불비달마가 격투 기술 '엄청난힘'을 채용할 수도 있다는 사실. 격투 기술만 없다면 다이맥스 후에 약점보험을 켤 수 있는 상대입니다.

리자몽

-리자몽의 다이그래스를 버팁니다. 마기라스가 날씨를 스틸하면 '솔라빔'은 사용하지도 못하게 되고, 리자몽은 바위 4배라서 마기라스가 무섭습니다.

너트령 - 불꽃 기술만 있으면 문제 없음.

더시마사리

-물리형은 지진으로 더시마사리를 못 잡습니다. 특수형은 10만 볼트로 잡아낼 수 있습니다.

파르셀

-껍질깨기 파르셀의 공격을 마기라스는 버팁니다... 심각하군요. 하지만 파르셀도 물리 내구가 괜찮은 편이고 무엇보다도 마기라스의 약점보험을 터뜨리지 않아서 결국은 지지만, 특수형은 10만볼트로 파르셀을 1타 낼 수 있고 기합의 띠는 모래날림으로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물리형보다 특수형이 상대하기 더 쉬운 신기한 어태커 포켓몬.(파르셀이 원래 물리 내구가 장점임.)

코산호, 누오 - 못이김

킬가르도, 에이스번

-위에서 말했지만 매우 높은 확률로 격투 기술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하마돈

-특수형의 경우 냉동빔으로 2타에 뚫습니다. 확실히 특수형이 이용 가치가 있는 편.

5. 총평

요즘은 특수형이 더 잘 박히는 것 같습니다. 순수 대면 구축 파티는 적은 편이고, 적어도 한 두 마리의 내구형 포켓몬을 섞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기라스는 내구가 든든하니 약점보험 터뜨리기도 좋다, 특수형이 좋은 것 같습니다.

약점보험 마기라스를 사용하게 된 계기가 있습니다. 비슷한 포지션의 '내구조정 약보 드래펄트'를 사용한 것이 그 계기였는데요, 드래펄트가 자꾸만 뒤지는 겁니다(물론 제 불찰입니다만.). 물리형 포켓몬을 받아내려는 설계를 했지만 환경에 그렇다고 정말로 물리몬'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스카프 불비달마에게 너무 약했습니다. 요즘 스카프 불비달마를 쓰는 사람도 너무 많아졌고요.

그래서 내구가 단단한 마기라스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리턴도 크지만 리스크도 큰 드래펄트로 게임을 말아먹느니, 안정적인 마기라스를 약보 에이스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사용감이 좋았습니다. 한계치가 낮은 대신 안정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아주 좋았고 그래서 이렇게 강의글로도 승화할 수 있었습니다.

드래펄트는 물리형보다는 예상하기 어려운 형태를, 마기라스는 특수 형태를. 이게 맞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마기라스를 사용하면서 '안정적인 맛'을 느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