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노하드 직접 제작해서 채굴 컴에 활용해 보시라고 설치 방법 알려 드립니다..

 

노하드는 컴퓨터에 하드 없이 윈도우 사용하는것 입니다..

 

하드 디스크 또는 SSD 없이 윈도우 부팅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서버도 좋을 필요 없습니다.. 굴러댕기는 부품으로 조립해서 저도 사무실에서 사용중

 

입니다.

 

특히 동일한 채굴컴 여러대 있는경우 활용하기 좋습니다^^

 

한대에 윈도우 설치하고 채굴 프로그램 설치후 채굴컴 댓수만큼 복제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서버는 공짜인 리눅스를 사용하면 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내용이 많아서 제 블로그 자료 복사해서 올립니다.. 

 

내용이 불법 복제되는 경우가 많아서 사진에 워터마크 되어있는것 양해 바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우분투 최신 버전이 16.04 버전 입니다.. 아래 사이트로 가셔서

   서버 버젼을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사이트 주소는 http://www.ubuntu.com/ 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다운받은 우분투를 CD로 구워 BOOTING 을 합니다.

   설치 하기전 하드 디스크를 어떻게 구성할까 생각해 봅니다.

   아래는 예) 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부팅을 하면 언어 선택이 나옵니다.. 윈도우를 사용할것이 아니니

   영어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Install 서버를 눌러 주시면 되구요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언어선택 영어 해주시면되구요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위치는 한국 해야 하는데 현재 화면에 없으니 other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asia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korea 있죠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사용할 언어 입니다.. 영어 클릭 ( 한글 해도 상관 없습니다. )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키보드 체크 할꺼냐?  NO , YES 상관 없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NO 하면 아래 키보드 선택하게 되는데 한국, 미국 상관 없음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한국 클릭 하면 키보드 어떤건지 아래 눌러주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서버의 이름을 정해 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서버에서 사용할 계정 ( 사용자 이름, 암호 ) 를 정해 줍니다.

o 우분투는 초기에 root 로 로긴을 못하게 해놨습니다..

o 위의 사용자 계정으로 로긴후 root 를 사용해야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타임존 설정 asia/seoul YES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제 디스크를 어떻게 사용할지 선택을 합니다..

o 메뉴얼 ( 수동 ) 으로 선택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보시면 하드가 SCSI3, SCSI4, SCSI5 3 개가 보입니다..

o 아래 하드 크기와 갯수는 상관하지 마세요.. 강좌용으로 제작한겁니다.

o 첫번째 하드에 리눅스를 설치할것이고

o 나머지 하드가 ZFS FILE SERVER 가 될것 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첫번째 하드를 선택하여 빈 파티션을 생성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첫번째 하드에 빈공간을 선택하여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파티션을 나눠 줍니다.. 새로운 파티션 생성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저는 37 G 중 30 을 선택 했지만 여러분은 자신의 하드 디스크 공간에 맞게

   나눠 주시면 됩니다.. ( /  root 파티션 입니다. )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마운트 포인트 /  boot flag = on 으로 수정 합니다.. 그래야 부팅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Done setting ... 을 눌러 저장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남은 공간을 SWAP 공간으로 잡기위해 파티션 설정 합니다.

o 보통 SWAP 공간은 자신의 메모리의 두배쯤 설정 하시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 파티션 설정할때와 같은 방식으로 나누고

o 아래 화면 ext4 파일 시스템을 눌러서 swap 으로 바꿔 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swap area 있죠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저장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첫번째 하드가 최종적으로 나누어진 모습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나머지 남은 하드는 건들지 않습니다..

o 다 설치하고 나중에 하면 됩니다..

o Finish 를 눌러 파티션 설정을 마침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설정된 파티션이 맞냐고 물어 보네요..YES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그냥 continue 눌러 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것도 no automatic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것도 그냥 continue 눌러 주시면 됩니다

o 서버 프로그램 설치할꺼 선택하는건데.. 여기 있는거 필요 없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부트로더 설치 yes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부트로더가 설치될 하드를 선택 첫번째 하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설치 끝 입니다..continue 클릭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설치가 끝나고 재부팅 됩니다..

o 이제 우분투 부팅되어 아래와 같이 로긴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그럼 사용자 계정을 입력합니다.. ( 설치할때 만든거 )

o 아이디, 패스를 입력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로그인이 끝나면 아래 처럼 계정이름@컴퓨터이름: 으로 커서가 깜빡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root 계정으로 로긴을 해야 나머지 설치가 편하니 root 계정을 설정합니다.

o su passwd root 를 입력하고 패스워드는 앞서 만든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root 로 계정을 바꿉니다..

o su root 입력하고 패스워드 입력 하면 root@컴퓨터이름 으로 커서 바뀝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ZFS 를 설치 합니다.

o ZFS 는 파일 시스템으로 스냅샷등의 기능이 있어 백업, 복원등을 이용

   할수 있어 사용한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명령으로 ZFS 를 설치 한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y/n 묻는다.. 당연히 y 누른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설치가 끝나면 file sever 에서 사용할 하드디스크를 zfs 를 이용해서

   raid 로 묶어 줍니다.

o raid 는 용량이 작은 하드 여러개를 하나로 묶어 큰 용량으로 사용합니다.

o raid 묶는 방법이 많이 있지만 기본은 합치고, 복제하고 입니다. 이것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여기서는 raid 0 방식으로 여러개를 하나로 묶어 줍니다..

o raid 0 는 여러개의 하드로 데이터를 분산시켜 읽거나 쓰기 때문에 속도가 빠릅니다.

   단점은 하드 디스크 한개만 고장나도 데이터 복구 어렵습니다.

o 그래서 이런 단점을 보완한 raid 방식이 많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raid 1 은

   raid 0 + 1 라고 보시면 됩니다.

o 그외에도 raid 방식이 많습니다.. 이부분은 각자 공부해보시기를...

 

o 아래 명령으로 zfs 라는 fool 이 sdb + sbc 레이드 0 로 만들어 집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위의 명령으로 아래처럼 안될때 아래처럼 -f 옵션을 주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ISCSI 서버를 설치 합니다.

o 아래 명령을 입력 합니다.. 인터넷 연결되어 있는 상태 이어야 합니다..

o 위의 zfs 도 인터넷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어야 합니다.

o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받아서 설치를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y/n 묻죠 당연 y 하시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iscsi server 를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후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o vi 편집기를 사용해서 아래 파일을 수정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파일을 열면 아래처럼 되어 있는데  첫번째줄 false 를 true 로 수정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저장하고 나와서 iscsi target 을 실행합니다.

o 아래처럼 오류가 없이 커서 껌벅여야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TFTP 서버를 설치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TFTP 도 아래 파일을 수정합니다.

o vi 편집기로 수정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의 3 번째줄 DIRECTORY 부분을 수정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tftpboot 로 폴더를 변경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수정된 폴더를 생성해야겠죠

o / 폴더 상태에서 명령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마지막 서버인 dhcp 서버를 설치 합니다..

o 아래처럼 install -y 를 넣어주면 중간에 y/n 를 묻지 않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명령으로 dhcp 서버를 재시작되어도 자동 실행되게 만들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DHCP 서버를 재시작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네트워크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o ip 를 수동으로 변경시킵니다.

o /etc/network 폴더에 interfaces 파일을 수정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파일을 열면 아래처럼 되어 있는데.. 아래 두줄을 보면 컴퓨터의

   랜카드 이름이 enp0s3 으로 되어 있는데.. 컴퓨터 랜카드 마다 저 이름이

   다릅니다.. 각자의 컴퓨터에 되어 있는 이름이 있으니 그부분까지

   똑같이 따라하지 마세요.. 각자 다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저는 컴퓨터 ip 를 192.168.5.30 으로 해주었습니다.. ( 각자 환경에 맞게 수정 )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ZFS 로 파일시스템을 생성 합니다.

o zfs list 는 현재 만들어진 fool 이름이 보여줍니다.

o zfs create zfs/os 하면 zfs pool 에 os 가 만들어집니다..

o 쉽게 폴더 가 생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o ZFS 는 저의 강의 자료 살펴 보시면 나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zfs list 하니 만들어진 이름이 보여집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만들어진 폴더안에 윈도우를 설치할 이미지 파일을 만듭니다.

o 아래 dd 명령으로 100 기가 짜리 빈 파일 win7.img 를 만듭니다..

o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만들면 됩니다.

o 뒤에 count=숫자 에 따라서 용량이 정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쉽죠 ^^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처럼 완료되면 용량이 나오면서 만들어 집니다..

o 아래는 테스트로 1G 만든겁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ls , ll 명령으로 보면 파일과 용량이 보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만들어진 이미지를 iscsi 서버에 연결을 합니다.

o 아래 폴더의 ietd.conf 파일을 편집하여 서버에 연결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뭔가 잔뜩 있지만 맨 아래로 내려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처럼 3 줄을 적어주면 됩니다..

o 여기서 중요한것은 하나의 이미지당 하나의 iscsi 를 만들어야 합니다.

o 하나의 이미지를 여러 컴퓨터에서 쓰면 해당 이미지는 손상이 됩니다

   Target iqn.cleanpc.co.kr:os 에서 iqn....:os 는 사용자가 만들어 줍니다. 아무거나

   아래 path.... 는 해당 이미지가 있는 폴더와 파일을 연결합니다.

   세번째줄은 한대만 연결되라고 하는겁니다..

o 컴퓨터 대수만큼 위 3 줄을 계속 만들어 주면 됩니다.. 사용자가 만들어주는

   이름만 다르게..이미지 갯수 만큼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파일 수정이 끝나면 iscsi 서버를 재시작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제 서버에서 만든 iscsi 디스크에 윈도우를 넣어야 합니다..

o 이제 PC 에서 하드 를 한개 연결해서 윈도우를 설치합니다.

o 설치가 끝나고 드라이버 및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o 그리고 Ghost 로 이미지를 만들어 놓습니다.

o 하드가 연결된 PC 에서 서버의 ISCSI 디스크를 연결합니다.

 

o 관리도구에 iscsi 초기자를 실행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서버의 주소를 대상에 입력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서버에서 만들어진 iqn... 이름이 나오면서 연결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제어판 / 관리도구 / 컴퓨터 관리를 실행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 맨아래 초기화 안된 디스크가 보입니다.

o 저는 테스트로 1G 입니다.. 강좌 내용 설명대로라면 100G 입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디스크를 초기화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만들어진 디스크에 마우스 갖다 대고 오른쪽 클릭 활성화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그리고 만들어진 Ghost 이미지 ( 윈도우 ) 를 iscsi 디스크로 복사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제 마지막 단계 입니다..

o 각종서버 설치 및 설정으로 윈도우 이미지를 서버에 넣어 주었으면

   PC 의 하드 디스크를 제거하고 CMOS SETUP 에 들어가 LAN 부팅

   으로 설정을 합니다.

o 서버의 DHCP 설정을 해서 PC 의 랜카드 MAC 주소를 입력하고

   LAN 부팅이 될수 있도록 설정을 할것 입니다..

o 아래 폴더에서 dhcpd.conf 파일을 편집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뭐가 많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맨밑을 내려 갑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참 우선 편집해야할 파일이 하나 있습니다..

o 아래 파일을 수정해서 서버의 랜카드 이름을 넣어 주어야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interfaces="" 에 자신의 랜카드 이름을 넣어 줍니다.. 저는 enp0s3 입니다

   여러분은 각자의 랜카드 이름을 넣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원래대로 dhcpd.conf 파일 맨아래 수정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subnet 줄은 자동할당될 아이피 주소를 설정합니다..

  range ... 는 어디서 어디까지 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해 줍니다.

o 랜부팅할 pc 는 host 줄 입니다..

o host master( 각자 알아서 )

o hardware ethernet 00:00..... 여기는 부팅할 PC 의 맥주소를 넣습니다..

o fixed-address 는 pc 에게 줄 주소 입니다..

o option root-path "iscsi:192...30 이것은 서버 주소

o option root-path ::::iqn..... 이것은 만들어놓은 iscsi 이름

o 여기서 중요 /tftpboot 폴더 안에는 undionly.kpxe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 첨부해 놓았습니다. )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수정이 완료 되었으면 DHCP 서버를 재시작 해야 합니다.

o 아래처럼 재시작 하면 아래처럼 됩니다..

o 문제는 예전 버전은 위의 dhcpd.conf 파일에 오타가 있다거나 하면 재시작

   했을때 오류라고 나오는데 지금은 안나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 명령으로 서버 상태를 확인해서 아래처럼 loaded : loaded

   active : active 가 나와야 합니다.. 문제가 있으면 fail 이라고 뜹니다...

o 그럼 다시 dhcpd.conf 파일을 자세히 보아 오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o 저도 아래 빨간색으로 host unknown 떳지만 저건 상관 없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그럼 스위칭 허브에 서버와 PC 가 연결되면

o 디스크 없는 PC 전원을 넣습니다..

o 아래처럼 랜카드가 연결되면서 IP 를 받아오구 부팅을 시작 합니다..

o 여기 까지 한방에 쭉 되면 기분 좋습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이렇게 부팅이 완료 되면 대략 1-2 분이 걸립니다..

o 부팅시간을 30 초 이내로 줄일수 있습니다..

o 레지스트리 편집을 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HL/SYS/CURR/CONTROL/CLASSIC/{4D36E972 를 열어서 0000... 차근이

  보면 본인의 랜카드 이름이 있습니다. 대략 0007 번 입니다..

  그럼 0007 삼각형을 눌러 LINKAGE 를 누르면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아래처럼 fileterlist 가 있습니다.. 더블클릭 해줍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필터값이 여러개 있습니다.. 맨위 하나만 남기고 다 지웁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o 윈도우 설치 방법에 따라 필터 항목이 아예 없는것도 있습니다..

o 재부팅 해보면 훨씬 빠르게 부팅이 됩니다.

 

Synology 노 하드 - Synology no hadeu

 



 

 

 

 

 

 

 

❤️ 51

좋아요

🤔

글쎄요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