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in 뜻 - suhag in tteus

수학 기호(數學記號)는 수학에서 쓰는 기호이며 수, 계산, 논리 등 수학의 개념을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흔히 사용하는 기호로 사칙연산의 + (더하기표), − (빼기표), × (곱하기표), ÷ (나누기표) 등이 있다. 또한 많은 수학 기호의 이름은 유명한 수학자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들의 이름을 차용하여 짓기도 한다.

복잡한 수식에서는 기호의 남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기본 기호[편집]

기호
(HTML에서)
기호
(TeX에서)
이름 설명 예시
읽기
분류

+

수학 in 뜻 - suhag in tteus

더하기표

더하기;
플러스

산술

4 + 646의 합계이다. 2 + 7 = 9

분리합집합

...과 ...의 분리합집합

집합론

A1 + A2A1A2의 분리합집합을 의미한다. A1 = {3, 4, 5, 6} ∧ A2 = {7, 8, 9, 10} ⇒
A1 + A2 = {(3, 1), (4, 1), (5, 1), (6, 1), (7, 2), (8, 2), (9, 2), (10, 2)}

빼기표

빼기;
마이너스

산술

36 − 536에서 5를 빼는 것을 의미한다. 36−5 = 31

마이너스 기호

마이너스;
...의 음수

산술

−3는 숫자 3의 반수를 의미한다. −(−5) = 5

차집합

마이너스;

집합론

A − B는 집합 B에 있지 않은 집합 A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집합을 의미한다. {1, 2, 4} − {1, 3, 4} = {2}

±

플러스마이너스

플러스 마이너스

산술

6 ± 36 + 36 − 3를 모두 의미한다. 방정식 x = 5 ± 4의 해는 x = 7x = 3이다.

플러스마이너스

플러스마이너스

측정

10 ± 2 또는 10 ± 20%10 − 2부터 10 + 2까지의 범위를 의미한다. a = 100 ± 1 mm라면, a ≥ 99 mma ≤ 101 mm이다.

×

·

곱하기표

곱하기

산술

3 × 4 또는 3 ⋅ 434의 곱하기를 의미한다. 7 ⋅ 8 = 56

스칼라곱 점곱

dot

선형 대수학

uv은 벡터 uv의 스칼라곱을 의미한다. (1, 2, 5) ⋅ (3, 4, −1) = 6

벡터곱 외적

cross

선형 대수학

u × v는 벡터 uv의 벡터곱을 의미한다. (1, 2, 5) × (3, 4, −1) =
i j k
1 2 5
3 4 −1
= (−22, 16, −2)

÷

나누기표

나누기

산술

6 ÷ 3 또는 6 ⁄ 36 나누기 3을 의미한다. 2 ÷ 4 = 0.512 ⁄ 4 = 3

제곱근;
루트

...의 제곱근;
루트 ...

실수

x는 그것의 제곱이  x인 양수를 의미한다. 4 = 2

시그마

...에서 ...까지 ...의 합

산술

를 의미한다.

부정적분

...의 부정적분

미적분학

는 도함수가 f인 함수를 의미한다.

정적분

...의 ...부터 ...까지의 적분

미적분학

x 축과 x = ax = b 사이에 있는 함수의 그래프 사이에 지정된 넓이이다.

선적분

...를 따르는 ...의 선적분

미적분학

는 곡선 를 따르는 함수 를 의미한다. 에서 은 곡선 의 매개변수화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호

그러므로;
따라서

모든 분야

증명에서 논리적 귀결 앞에 쓰인다. 인간은 도덕적이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이다. (단, 이것은 항상은 아니다. 예 : 사람은 동물이다. 사자는 동물이다. ∴사람은 사자이다. 이것은 모순이다.)

왜냐하면 기호

왜냐하면;

모든 분야

증명에서 근거 앞에 사용된다. 11은 소수이다. ∵ 그 자신과 1 이외에 다른 약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계승

팩토리얼

조합론

n!는 1 × 2 × ... × n를 의미한다.

논리적 부정

...의 부정;
...가 아니다

명제 논리

!A는 A가 거짓이면 참이다. !(!A) ⇔ A
x ≠ y ⇔  !(x = y)

¬

˜

논리적 부정

...의 부정;
...가 아니다

명제 논리

¬A는 A가 거짓이면 참이다. ¬(¬A) ⇔ A
x ≠ y ⇔ ¬(x = y)

등호, 디비전 기호[편집]

기호
(HTML에서)
기호
(TeX에서)
이름 설명 예시
읽기
분류

=

등호(等號)

같다

모든 분야

가 같은 수학 객체를 나타냄을 의한다. (두 기호는 같은 값을 갖는다.)


\ne

같지 않다

모든 분야

and 가 같은 수학 객체를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두 값은 같은 값을 가지지 않는다.)


\approx

약등호(約等號)

근사값이다.

모든 분야

x ≈ y는 x가 y의 근사값임을 의미한다. ≃, ≅, ~, ♎︎ , ≒로도 쓸 수 있다. π ≈ 3.14159


\cong

합동 기호(合同記號)

와 합동이다.

기하학

△ABC ≅ △DEF는 삼각형 ABC는 삼각형 DEF와 합동이다.


\Leftrightarrow


\leftrightarrow

동치

~는 ...와 동치이다.

명제 논리

A ⇔ B는 B가 참이면 A는 참이고, B가 거짓이면 A도 거짓이다. x + 5 = y + 2 ⇔ x + 3 = y

방향 지시 기호[편집]

기호
(HTML에서)
기호
(TeX에서)
이름 설명 예시
읽기
분류

<

>

부등호

~는 ...보다 작다
~는 ...보다 크다

순서론

xy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xy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부분군

~는 ...의 진부분군이다.

군론

HG의 진부분군이다.

\to

함수 화살표

...에서 ~으로

집합론, 형 이론

f: X → Y 함수 f는 집합 X에서 집합 Y로 사상임을 의미한다. f: ℤ → ℕ ∪ {0}를 f(x) = x2로 정의하자.

\mapsto

함수 화살표

maps to

집합론

f: a ↦ b는 함수 f는 원소 a를 원소 b에 대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f: x ↦ x + 1라고 하자.

⟨|

\langle

브라 벡터

브라 ...;
쌍대

디랙 표기

⟨φ|는 벡터 |φ⟩의 쌍대를 의미한다.

|⟩

\rangle

켓 벡터

켓 ...;
벡터 ...

디랙 표기

|φ⟩는 φ 표시와 함께 표기되는 벡터를 의미한다. 힐베르트 공간 안에 있다. .

라틴 문자 기반 기호[편집]

기호
(HTML에서)
기호
(TeX에서)
이름 설명 예시
읽기
분류

전칭 기호

모든 것에 대하여;

술어 논리

∀ x: P(x)는 P(x)는 모든 x에 대하여 참이다를 의미한다. ∀ n ∈ ℕ: n2 ≥ n.

C

복소수

C;
복소수(의 집합)

ℂ는 {a + b i : a,b ∈ ℝ}를 의미한다. i = −1 ∈ ℂ

존재 기호

존재한다;
...이 있다

술어 논리

∃ x: P(x)는 P(x)가 참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x 가 존재하여야 한다는 의미이다. ∃ n ∈ ℕ: n은 짝수이다.

∃!

uniqueness quantification

유일하다

술어 논리

∃! x: P(x)는 P(x)가 참이기 위해서는 오로지 하나의 x만 존재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 n ∈ ℕ: n + 5 = 2n.

합집합

합집합

집합론

A ∪ B는 A 또는 B에 또는 양쪽 모두에 있는 원소의 집합이다.[1] A ⊆ B ⇔ (A ∪ B) = B

교집합

교집합

집합론

A ∩ B는 A and B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이다.[1] {x ∈ ℝ : x2 = 1} ∩ ℕ = {1}

논리합, 격자에서의 "join"

또는;
max;
join

명제 논리, 격자론

A ∨ B라는 명제는 A 또는 B가 참이라면 참이 된다. 양쪽 모두가 거짓이라면 명제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는 max(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논리곱 또는 격자에서 "meet"

그리고;
min;
meet

명제 논리, 격자론

명제 A ∧ B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참이 된다. 다른 경우에는 거짓이 된다. 함수 A(x)와 B(x)에 관하여 A(x) ∧ B(x) min(A(x), B(x))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n이 자연수일 때, n < 4  ∧ n > 2 ⇔ n = 3이다

비문자 기호[편집]

기호
(HTML에서)
기호
(TeX에서)
이름 설명 예시
읽기
분류

:

such that

그러한 (such that);
...하기 위해서(so that)

모든 분야

:는 "그러한 (such that)" 또는 "...하기 위해서(so that)"를 의미하며, 증명이나 조건제시법에서 쓰인다. ∃ n ∈ ℕ: n는 홀수이다.

순환기호[편집]

≠0 <|> 1/|y|≠0, 0+x≠0 <|> 0-x≠0, x+y≠0 <|> -x-y≠0, x-3≠0 <|> -x+3≠0x ≠3, x+y=z <|> -x-y=z 역 ≠0이 아니고, 기호들을 역했을때

A⇔B≠0<|>B⇔A≠0(4차원)는 A⇔B이고, B⇔A이면, 기호들의 역이다.

목록[편집]

연산(관계연산)[편집]

부등식

연산자(기능연산)[편집]

  • 팩토리얼(계승) 준계승(sub factorial)
  • 또는 빅 오(Big O), 리틀 오(little o), 점근 표기법

  • 루트
  • 급수, 수열의 합
  • 곱집합, 데카르트 곱, 곱연산
  • 쌍대곱
  • 미분, 도함수
  • 곱셈, 스칼라 곱, 점곱, 그리고(and)
  • 적분
  • 또는 적분 연산 (치환적분)
  • 폐곡선관련 적분
  • 발산 또는 함수의 기울기 또는 델 (연산자) 또는 나블라
  • 편미분
  • 미분,도함수 또는 참고- 판별식
  • 크로네커 델타,텐서
  • 약수 함수
  • 베르누이 수 또는 벨 수
  • 오일러 수
  • 함수의 극한, 수열의 극한
  • subtype 상,하위 관계, 포함관계
cover 상,하위 관계, 포함관계

논리[편집]

아니다 (부정) 이다 , 함의

  • 동치
  • 그리고
  • 또는

  • 직합
  • 모든, 임의의,전칭기호
  • 존재한다
  • 유일하다






  • 정의하다, 참조-논리 기호
  • 한정 합동
  • 합동, 합동 산술
  • 항진, 언제나 참이다
  • 참이다, 참조-논리 기호
  • 모순, 참조-논리 기호
  • 명제 논리, 참조-논리 기호
  • 명제 논리, 참조-논리 기호
  • 노름(norm), 최접근 정수함수(Nearest integer function)
  • 약수이다
약수가 아니다

집합[편집]

포함관계기호
  •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 부분집합
진부분집합 여집합 또는 프랙털

수[편집]

정수 (합동 산술)정수환 가환환 p진 정수환 복소수의 실수부 복소수의 허수부

상수[편집]

  • 2의 제곱근
  • 기타 여러 수학 상수 들

괄호[편집]

폐구간 튜플, 행렬식
  • 우선 연산 기호 또는 행렬 또는 행렬식 또는 조합
축 좌표계, 튜플브라-켓 표기법#선형연산자와 브라-켓 선형연산자

행렬[편집]

같이 보기[편집]

  • 위키백과:TeX 문법(수학 기호)
  • 분류:인쇄 약물
  • 수학 상수
  • 기호의 남용

각주[편집]

  1. ↑ 가 나 Goldrei, Derek (1996), 《Classic Set Theory》, London: Chapman and Hall, 4쪽, ISBN 0-412-606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