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ab On Grade 공법 - Slab On Grade gongbeob

1. S.O.G ?

S.O.G Slab On Grade 의 약자로,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땅바닥지지슬래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구조슬래브(Structural Slab)가 바닥하중을 슬래브 기둥/벽체 기초를 통하여 지반에 하중을 전달하는데 비하여, S.O.G 는 바닥하중을 슬래브 지반으로 바로 전달시킨다.

S.O.G 는 땅 바닥 위에 잡석지정 및 버림콘크리트 만을 설치하고 직접 슬래브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뜬 바닥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일반 구조슬래브(Structural Slab)와는 시공면에서도 차이가 있다.

S.O.G 는 바닥하중을 땅 바닥에 직접 지지시키는 관계로, 슬래브 하부 지반의 지내력이 어느 정도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이 있지만, 일단 지반조건이 바닥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면 바닥구조물 및 기초 구조설계상 경제적 설계로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를 한다. , SOG 슬래브의 경우는 소요필요지내력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

, S.O.G 는 사용중에 슬래브가 조금 깨지거나 꺼지는 경우에는 바로 그 바닥만 걷어내고 다시 보수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간단하다.

하지만, S.O.G 는 땅 바닥에 직접 기대어 상부하중을 지반에 전달시키고, 지반의 응력 및 변형상태에 따라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이 다르게 일어나므로 지반상태가 해석 및 설계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2. S.O.G 시공시 유의사항

1) 표면강도

- 표면강도를 올리기 위해 충분히 다짐 실시

- 표면경화제를 사용할 때는 제조업체의 정확한 시방에 의거하여 사용

2) Bleeding

- 하부에 방습층이 있어 Bleeding 증대

- Slump 값을 가능한 한 낮추거나 효과적인 유동화제 사용으로 단위수량 저감

- Bleeding 이 많을 경우 흡수 처리

3) 방습층의 설치

- 스페이서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4) 스페이서의 고정

- 쇄석 위에 바로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페이서 설치 유의

Question :

S.O.G 에 대해 알려주세요..

수고 많으십니다.
자료가 있음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Answer :

S.O.G 는 Slab On Grade 의 약자로,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땅바닥지지슬래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구조슬래브(Structural Slab)가 바닥하중을 슬래브 ⇒ 보 ⇒ 기둥/벽체 ⇒ 기초를 통하여 지반에 하중을 전달하는데 비하여, S.O.G 는 바닥하중을 슬래브 ⇒ 지반으로 바로 전달시킵니다.

S.O.G 는 땅 바닥 위에 잡석지정 및 버림콘크리트 만을 설치하고 직접 슬래브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뜬 바닥 하부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일반 구조슬래브(Structural Slab)와는 시공면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S.O.G 는 바닥하중을 땅 바닥에 직접 지지시키는 관계로, 슬래브 하부 지반의 지내력이 어느 정도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이 있지만, 일단 지반조건이 바닥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면 바닥구조물 및 기초 구조설계상 경제적 설계로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를 합니다.

S.O.G 는 땅 바닥에 직접 기대어 상부하중을 지반에 전달시키고, 지반의 응력 및 변형상태에 따라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이 다르게 일어나므로 지반상태가 해석 및 설계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됩니다.

구조엔지니어들은 이 지반상태를 “단위변형에 대한 응력”이라는 수직반력계수(Modulus of Subgrade Reaction)를 통하여  지반을 압축탄성스프링으로 치환(Elastic Foundation Theory)하여 이 압축스프링 위에 있는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을 유한요소해석법(F.E.M) 등을 통하여 분석하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 Beams on Elastic Foundation Theory " 관련 전문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서는 참고문헌을 통하여 보통 지반상태와 보통 콘크리트 양생조건 일때
S.O.G 에 대하여 간략히 몇 가지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의 땅바닥지지슬래브(S.O.G)는 차량중량 약 2.3 tonf 이상인 차륜하중이나 무거운 중량의 집중하중 및 약 2000 kgf/㎡ 이상의 정적 등분포하중이 걸리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 경우 참고문헌에 따르면
S.O.G 는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최소 3000 pounds per square inch (약 210 kgf/㎠) 이상으로, 슬래브 두께가 최소 4 inchs (10.16 cm) 이상를 확보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대 듬분포 설계 적재하중(활하중)에 따른 S.O.G 의 적정 두께를 권장하고 있는데, 그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Maximum Uniform Design Live Load = 150 psf (약 732 kgf/㎡) 일 때
  ⇒ Thickness of Slab = 4 inchs (약 10.16 cm)

② Maximum Uniform Design Live Load = 250 psf (약 1220 kgf/㎡) 일 때
  ⇒ Thickness of Slab = 5 inchs (약 12.7 cm)

③ Maximum Uniform Design Live Load = 400 psf (약 1952 kgf/㎡) 일 때
  ⇒ Thickness of Slab = 6 inchs (약 15.24 cm)

한편 균열유발줄눈(Crack Control Joints) 은

① 줄눈에 의하여 경계되는 바닥 최대면적이 600 ft2 (약 55.7 ㎡) 이내
② 줄눈의 간격은 25 ft (7.62 m) 이내
③ 첫번째 줄눈은 모서리(구석)에서 3.0 ~ 4.5 m 이내로 설치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와이어메쉬(Wire Mesh) 보강철근은 피복두께가 확보되는 슬라브 상단부 쪽으로 가까이에 양방향으로 배치하며, 이 때 철근량은 약 0.1 % 정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즉, 땅바닥지지슬래브(S.O.G)에 차량중량 약 2.3 tonf 이상인 차륜하중이나 무거운 중량의 집중하중 및 약 2000 kgf/㎡ 이상의 정적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좀 더 상세한 해석 및 설계방법이 필요하게 되는데 참고문헌 TM 5-809-12 (Department of the Army and Air Force)에 나오는 "CONCRETE FLOOR SLABS ON GRADE SUBJECTED TO HEAVY LOADS" 에 자세히 나와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귀하께서 어디에 S.O.G 자료가 필요하신지, 구체적으로 얘기가 없으신 관계로,
귀하께 적절한 답변을 드리기가 곤란하여 간단히 몇 자 올렸습니다. 
저희에게 S.O.G 에 대한 참고문헌들은 있으나, 모두 책자라 메일로 드릴만한 자료는 없군요.

어쨌든 저희 사이트에 관심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번에는 좀 더 구체적인 질문 부탁드리고요.... ^^

좋은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