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탁사 매출 순위 - sintagsa maechul sun-wi

신탁사 매출 순위 - sintagsa maechul sun-wi

[한국금융신문 홍지인 기자]

국내 부동산신탁사들이 2020년 총 5337억원, 평균 381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지난해보다 12.9% 성장한 수치로 시장 성장과 함께 이익률도 높이고 있다.

다만 순이익 상위 3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50%를 넘어 소수 신탁사에게 이익이 집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국내 14개 신탁사들은 2020년 총 5337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2019년 4728억원보다 12.9% 증가한 수치로 동기간 영업수익(매출) 성장률 4.8%의 두 배를 웃돌았다.

매출 성장세보다 높은 순이익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사업 운영 성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2020년 가장 많은 순이익을 낸 부동산신탁사는 한국자산신탁이다.

한국자산신탁은 2020년 1225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전년 대비 54% 증가했으며 전체 신탁사 평균 순이익의 3배 이상을 벌었다. 2020년 부동산신탁사 전체 순이익 5337억원 중 23%에 달하는 수치다.

한국자산신탁은 지난달 9일 ‘영업수익 또는 손익구조 30%이상 변경’ 공시에서 영업수익 또는 손익구조변동의 주요원인으로 “신탁계정대 회수 및 자산건전성 제고에 따른 대손충당금 감소”를 말했다.

한국자산신탁은 차입형 토지신탁에 대한 공격적 수주를 펼치다 2018년 이후 분양실적이 저조해 자산건전성이 하락했다.

그러나 작년 지방 사업장에서 발생했던 신탁계정대여금을 대부분 회수하고 미분양 사업들에 대한 분양률도 회복되며 자산건전성 및 순이익률이 대폭 개선됐다.

2020년 순이익 2위는 하나자산신탁이다. 하나자산신탁은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안정적 수입 구조를 통해 808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3위는 책임준공확약 관리형 토지신탁 실적 성장을 바탕으로 669억원의 순이익을 낸 KB부동산신탁이 차지했다.

이어 한국토지신탁이 순이익 615억원, 아시아신탁이 순이익 457억원을 나타내며 모두 5개 회사가 평균 순이익(381억원) 이상의 실적을 기록했다.

2020년 가장 큰 폭의 순이익 성장률을 보인 부동산신탁사는 아시아신탁이다. 2019년 사업 인가 후 작년 첫 흑자 전환을 이룬 신생 신탁사들은 제외하고 가장 큰 성장률을 기록했다.

아시아신탁은 2020년 45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나타냈다. 2019년 254억원보다 80.2% 성장한 수치다. 동기간 매출 증가율(43.5%)보다도 매우 큰 수준이다.

아시아신탁은 지난달 8일 ‘영업수익 또는 손익구조 30%이상 변경’ 공시에서 영업수익 변동의 주요원인으로 “책임준공확약 관리형토지신탁 수주 증가에 따른 영업수익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시아신탁 관계자는 “(신한금융)지주 편입에 따른 효과 및 시너지 등으로 시장지위가 빠르게 상승할 수 있었던 것 같다”며 “편입 이후 리스크 관리나 내부통제 강화에 힘쓰고 있고 시스템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궁화신탁이 신탁사 순이익 성장률 전체 2위를 차지했다(신생 3사 제외). 무궁화신탁은 2020년 30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2019년 187억원보다 63.9% 증가한 규모다.

무궁화신탁 관계자는 높은 순이익 성장률에 대해 “코로나임에도 불구하고 본연의 신탁업을 선방했고 투자했던 자회사들의 실적도 좋아 300억대의 순이익을 기록했다”며 “자회사인 케이리츠투자운용의 2020년 사업성과가 좋아 지분법이익으로 7,80억 정도 반영돼 (성장에) 영향을 줬다”고 밝혔다.

작년 국내 부동산신탁사들의 2019년 대비 평균 순이익 증가율은 12.9%다. 아시아신탁과 무궁화신탁에 이어 한국자산신탁 54%, 하나자산신탁 23%, 대한토지신탁 16.6%, 우리자산신탁 13.5%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평균 이상의 순이익 성장 흐름을 보였다.

다만 순이익 규모 상위 3사가 전체 신탁사 순이익의 50.6%를 차지하며 이익 편중 현상을 보였다.

2020년 순이익 상위 3사인 한국자산신탁, 하나자산신탁, KB부동산신탁의 총 순이익 규모는 2702억으로 전체 신탁사 순이익 5337억의 50.6%다. 상위 3사가 시장 이익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토지신탁과 아시아신탁을 포함해 상위 5개사로 범위를 넓히면 상위 5개사의 순이익 점유율은 70.7%까지 늘어난다. 나머지 9개 회사가 30%에 미치지 못하는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한 부동산 신탁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책임준공형 토지신탁 사업이 은행 계열 신탁사들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책준 시장 규모가 큰데 신용도를 갖춘 은행 계열 신탁사들에 사업이 집중되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 같다”고 밝혔다.

홍지인 기자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신탁사 매출 순위 - sintagsa maechul sun-wi
이미지 확대보기2021년도 부동산신탁사 실적 표(단위:원, %). / 자료제공=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한국금융신문 김관주 기자] 작년 부동산신탁사들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새로 쓰며 외형과 수익을 모두 키웠다. 장기간 유지된 저금리 기조 속에서 부동산 시장이 호조를 누린 영향이다.

11일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수익(매출) 기준 선두를 차지한 곳은 한국토지신탁(2051억원)이다.

한국토지신탁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882억원, 682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익성을 알 수 있는 자기자본이익률(ROE) 8.1%, 총자산순이익률(ROA) 4.8%다. 금융사 자본적정성 대표적인 지표인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374.0%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토지신탁은 ▲차입형 토지신탁 843억원 ▲차입형 도시정비 810억원 ▲리츠 379억원▲기타(관리형 토지신탁, 비토지신탁, 컨설팅, 대리사무 등) 552억원 등에서 2584억원 수주고를 올렸다. 이는 전년(2148억원)보다 20% 늘어난 수치다.

한국토지신탁 뒤를 코람코자산신탁이 바짝 쫓았다. 지난해 매출 1943억원, 영업이익 428억원, 당기순이익 312억원으로 확인됐다. 2020년 대비 각각 67.4%, 58.6%, 41.0%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 2019년 LF그룹에 편입된 코람코자산신탁은 국내 민간 리츠(REITs) 1위 운용사다. 신규 설립과 자산 매각을 통해 임대수익을 확보해 매출을 높이고 있다.

코람코자산신탁은 오는 28일 코람코더원리츠의 코스피 시장 상장도 준비하고 있다. 이는 코람코에너지리츠, 이리츠코크렙에 이은 세 번째 상장 리츠이자 영속형 오피스 리츠다. 앞서 진행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역대 상장 리츠 중 두 번째로 높은 경쟁률인 794.9대 1을 기록했으며 총 54조3000억원 규모 자금이 몰리는 등 흥행에 성공한 바 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하나자산신탁이 14개 신탁사 중 1위로 올랐다.

지난해 하나자산신탁 당기순이익은 927억원, 영업이익 1257억원이다. 1637억원 매출을 냈다. ROE와 ROA는 지난해 말 기준 각각 23.7%, 19.6%로 나타났다. NCR은 899.6%다.

하나자산신탁은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을 바탕으로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특히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828억원) 대비 119억원 증가했는데, 이는 리츠 자산으로 편입했던 오피스 물건을 매각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하나자산신탁뿐만 아니라 KB부동산신탁과 아시아신탁, 우리자산신탁 등 금융지주계열 부동산신탁사들도 한층 더 성장했다.

KB부동산신탁 매출은 지난 2019년 1211억원, 2020년 1388억원, 작년 1688억원으로 증가세에 있다. 매출로만 보면 하나자산신탁 다음으로 크다.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104억원, 815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0.4%, 21.8%씩 늘었다.

아시아신탁은 지난해 매출 145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1028억원보다 422억원 늘었다. 영업이익(1003억원)과 당기순이익(778억원)은 2020년보다 각각 59.7%, 69.9% 증가했다.

우리자산신탁은 지난해 영업수익 942억원, 영업이익 558억원, 당기순이익 403억원을 냈다. 이는 각각 18.6% 17.2%, 14.2% 늘어난 수치다.

한국자산신탁은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두 상위권을 지켰다. 한국자산신탁은 작년 매출액이 1676억원, 영업이익 1130억원 당기순이익 81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신탁수수료 약정액(수주액)은 2260억원으로 2020년보다 46.8% 증가했다. 이 중 차입형 토지신탁이 11건, 1160억원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관리형 토지신탁(490억원) ▲비토지신탁(490억원) ▲리츠(12억원) 순이다.

지난해 대한토지신탁과 무궁화신탁은 설립 후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대한토지신탁은 지난해 영업수익 1080억원, 영업이익 696억원으로 전년도보다 각각 8.4%와 67.4% 신장했다. 신규 수주 규모도 1183억원으로 전년도(804억) 대비 47% 늘어났다. 552억원을 기록한 당기순이익은 전년도(309억원)에 비해 68.9% 증가해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

대한토지신탁 측은 “연초부터 진천, 가평, 아산, 연천 등지에서 연달아 완판 분양을 달성하는 등 사업성 높은 우량 사업장을 선별 수주하고 미분양 물량을 집중적으로 해소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무궁화신탁은 지난해 영업수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239억원, 36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수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32.3%, 19.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73억원이다. 특히 2016년 도시정비법 개정 이후 투자해 온 도시정비사업에서 2021년도에 76억원 영업수익을 올려 부동산신탁 업계에서 최초로 도시정비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무궁화신탁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인한 차입형 토지신탁 사업 등 대손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거둔 사상 최대의 실적이라 큰 의미가 있다”며 “대손을 쌓은 사업장도 올 1분기 내 준공돼 대손비용의 환입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관주 기자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신탁사 매출 순위 - sintagsa maechul sun-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