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스마트폰 관련주에 대한 반등 기대가 커지고 있다. 내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회복할 것이란 전망이 증권업계에서 속속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공급망 문제로 출하량 부진을 겪었던 스마트폰 시장이 내년에는 공급 우려 해소와 신제품 출시 효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스마트폰 관련주, 그중에서도 성장성이 높은 폴더블(접고 펼 수 있는)폰 관련주 매수에 나설 때라는 조언이 나온다.

“내년 상반기 강한 반등”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폴더블폰 관련주인

는 지난 한 주(15~19일)간 15.08% 올랐다. 같은 기간

(13.10%),

(8.41%),

(8.01%),

(5.21%) 등 스마트폰 관련주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스마트폰 관련주는 지난 8월 말까지 강세를 보이다가 9월 들어 떨어지기 시작했다. 주요 생산기지가 문을 닫고, 반도체 부품 부족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급감했다는 소식이 악재로 작용했다. 3분기는 스마트폰 시장 성수기인데도 불구하고 올해는 출하량이 지난 2분기 대비 4.2%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이달 초 단기 저점을 찍은 뒤 반등하고 있다. 베트남 삼성 공장을 비롯한 주요 생산기지가 정상화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등 주요 비메모리 반도체 수급도 나아지고 있다. SK증권은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둘러싼 공급 우려가 내년 1분기면 완전 해소되고, 2분기부터는 출하량이 강한 반등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내년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올해보다 7%가량 늘어난 14억8000만 대를 기록할 것”이라며 “패키지 기판, 수동부품, 폴더블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이 안정적인 애플과 삼성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시장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없어서 못 파는 폴더블폰

올해 폴더블폰은 위축된 시장 상황에서도 선전했다.

의 폴더블폰인 Z폴드3와 Z플립3(사진)는 3분기에만 총 300만 대를 출하했다. 4분기에도 400만 대 내외의 출하량이 예상된다. 올해 총 출하량은 800만 대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되지만 내년 출하량은 2000만 대로 관측된다. SK증권은 2023년에는 폴더블폰이 3500만 대 넘게 출하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표적인 폴더블폰 관련주로는 KH바텍이 있다. 이 회사는 폴더블폰의 접고 펴는 부품인 힌지를 삼성에 공급한다. 3분기 실적에도 힌지 효과가 그대로 반영됐다. 2분기 412억원이었던 매출이 3분기엔 3배 이상 늘어난 1438억원을 기록했다. 효과는 내년에 더 커진다. KH바텍의 내년도 매출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올해보다 43.8% 증가한 4966억원이다. 영업이익도 올해 200억원대에서 내년엔 500억원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스마트폰용 기능성 필름을 제조하는 세경하이테크도 폴더블폰 관련주로 꼽힌다. 폴더블폰용 특수보호필름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 공급 중이다. 내년도 매출과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올해보다 각각 29.2%, 100.6% 늘어난 3374억원과 323억원이다. 폴더블폰에 필요한 경연성회로기판(RF-PCB)을 만드는 비에이치도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다. 비에이치의 내년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62.0% 늘어난 985억원이다.

전기차 수혜까지 기대되는 카메라모듈

스마트폰 시장 회복이 기대에 못 미칠 것을 우려한다면 카메라모듈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도 있다. 트리플(카메라 3개 이상), 쿼드러플(4개 이상) 카메라모듈 채택이 보편화하면서 스마트폰용 카메라모듈 시장은 출하량 증가 속도보다 더 가파르게 성장했다.

가 대표적이다. 특히 이들 종목은 스마트폰뿐 아니라 전기차용 카메라모듈 매출이 늘어나면서 성장성을 더하고 있다.

LG이노텍과 삼성전기는 이달 들어 각각 37.47%, 9.43% 올랐다. LG이노텍은 애플과의 전장 부품 협업 기대 효과가 컸다. 두 회사 모두 주가는 올랐지만 실적 전망도 함께 개선되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은 크지 않다. LG이노텍의 12개월 선행 PER은 8배다. 삼성전기의 12개월 선행 PER도 6개월 전 13배에서 11배로 낮아졌다.

고윤상 기자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삼성 갤럭시 Z 폴드3와 플립3.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시리즈’가 흥행을 이어가면서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8월 23일 오전 11시 기준 스마트폰 필름 제조사 세경하이테크는 전일 대비 14.15% 급등한 2만3800원에 거래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세경하이테크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광학필름을 제조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폴더블폰의 힌지(접히는 부분)를 공급하는 파인테크닉스와 KH바텍도 각각 14.07%, 8.43%씩 오름세다. 이외에도 인터플렉스(8.23%), 디케이티(7.5%), 원익큐브(6.83%), 비에이치(5.72%) 등 관련 부품주들이 일제히 상승 중이다.

이 같은 강세는 삼성전자가 최근 공개한 ‘갤럭시 Z 폴드3’과 ‘플립3’ 등 폴더블 스마트폰이 대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영향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17일부터 오늘(23일)까지 해당 폴더블폰에 대한 사전예약을 진행하고 있다.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갤럭시 Z 폴드3·플립3의 이통3사 예약판매량 합계는 지난 20일까지 약 45만대 수준. 사전예약 기간이 17일부터 23일까지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통사 판매량만 60만대, 자급제 물량까지 포함하면 80만대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는 전작인 Z 폴드2의 판매량(8만대)을 10배가량 상회하는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최신 폴더블폰 인기는 젊은 층 유입이 늘어난 영향이다. 가격과 디자인 면에서 메리트를 높였다. Z 플립3은 전작인 Z 플립보다 가격을 40만원 이상 내린 125만원대에 출고됐다. 공시지원금 폭도 과감히 높여서 최저 60만원대에 구매가 가능하도록 했다. 넓어진 디스플레이와 삼성페이 기능 도입, 색상 다양화 등도 20대 소비자층에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갤럭시 Z 플립 예약 고객 중에서는 20대와 30대가 각각 27%, 30%로 가장 많았다.

증권가 전망도 밝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Z 폴드3과 Z 플립3에 대해 “약 60만~80만대 수준의 사전예약 판매량을 전망한다”며 “전작 대비 판매량이 최대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며, 갤럭시 노트20과 S21 시리즈에 비해서도 약 1.5~2배가량 빠른 판매 속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성공으로 글로벌 업체들도 관련 제품 출시를 앞당길 것”이라며 “관련주 등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장지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관련주

-2021년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 600만대 전망

-2022년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도 폴더블폰 출시 전망.

-폴더블폰이란 말 그대로 접을 수 있는 스마트폰.

-형태는 크게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과 밖으로 접히는 '아웃폴딩', 양쪽으로 접을 수 있는 '인앤아웃폴딩' 등 세 가지 방식으로 나뉨.

-폴더블폰의 생산을 위해서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강화 유리를 대신할 투명 PI 필름, PI 필름의 경도를 높일 수 있는 하드코팅 소재, 폴더블폰에 특화된 터치 집적회로(IC) 등의 기술이 필요.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가 핵심.

-폴더블폰 원가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중은 30~40%로 기존 스마트폰의 15~20%대비 월등히 높음.

-디스플레이의 주요 소재는 커버윈도우(UTG 혹은 CPI), 특수보호필름, 힌지, PI 바니쉬, 베이스필름 등이 있음.

-부품 가격은 UTG가 가장 고가. 이어 외장힌지, 내장힌지, 특수보호필름 순으로 높은 단가를 형성.

-스마트폰 생산업체는 원가 절감을 통한 수익 극대화보단 시장 개화·확대를 위해 부품 수급 안정화에 더욱 방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

-2021년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은 다양한 신제품 출시에 힘입어 2020년 대비 140% 증가한 600만대로 전망.

-전세계 대상으로 공격적인 폴더블폰 라인업을 출시할 것으로 보이는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83%에 달할 것으로 예상.

-2022년에는 샤오미를 비롯한 중국 제조사들이 폴더블폰 시장에 진입하고, 2023년에는 현재 국내 및 대만의 다양한 업체들과 폴더블 스마트폰 개발을 위해 협력 중인 것으로 파악되는 애플도 첫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


<다른 테마주 및 관련주들이 궁금하신분들은 하단의 카테고리와 관련글을 참고해주세요.>

KH바텍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대장주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휴대폰 등 휴대용기기 외장재 및 내장재 조립모듈 등 생산. 

-폴더블 스마트폰에 필수 부품인 힌지 개발·생산.

파인테크닉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에서 접히는 부분의 소재인 기구물과 폴더블 내장힌지(메탈플레이트) 개발·생산.

세경하이테크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대장주

-스마트폰 필름 전문 업체로,주로 마트폰 후면에 색상을 입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데코 필름 생산. 

-폴더블폰에 적용되는 특수보호필름 개발·생산.

비에이치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터치 패널부분에서 적용이 예상되는 OLED 디스플레이와 터치 센서를 결합한 'Y-OCTA' 탑재 기판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 

인터플렉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FPCB도 생산해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공급.

원익큐브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플렉서블 OLED의 핵심 소재인 은나노와이어 기술 보유.

유티아이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마트폰, 태블릿 등에 사용되는 Camera Module, Touch Panel 등을 보호하는 강화유리 가공업체. 

-100미크론 이상의 폴더블폰 커버유리인 UFG(플랙시블 커버 윈도우) 개발 성공 및 양산준비 완료.

디케이티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비에이치의자회사로 FPCB에 사용되는 FPCA(연성회로기판실장부품)을 제조.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용 FPCA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짐. 

루멘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자유로운 형태 구현 가능한 플렉시블 마이크로 LED 개발.

뉴파워프라즈마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LCD, OLED 등) 박막공정 및 식각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핵심부품 제조. 

-폴더블용 UTG(유리커버글라스)를 생산하는 도우인시스의 지분 7.85% 보유(2021.03.31 기준).

에스텍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이음새 역할을 하는 힌지 개발·생산.

코오롱인더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세계 최초로 CPI(투명폴리이미드) 개발하고 양산 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기업. 

PI첨단소재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SKC와 코오롱인더스트리의 합작사로 폴더블폰 핵심 부품인 PI(폴리이미드)필름 제조기업.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TFT 기판’과 ‘베이스 필름’에 적용되는 PI필름 생산.

-삼성전자 폴더블폰 시제품용 PI필름을 생산 중.

파인텍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휴대기기에 적용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부품을 설계 및 제조. 

-삼성디스플레이에 폴더블 패널 제조용 본딩장비 공급.

켐트로닉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용 고경도 기능성 코팅액, 폴더블폰 UTG(유리커보글라스) 개발 중.

상보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BLU시트) 전문 제조사. 

-플렉시블 핵심 소재인 AgNW(은나노와이어) 소재를 이용한 ITO(Indium-Tin Oxide) 대체 투명전극을 개발 중.

-AgNW 투명전극의 무에칭 패턴 형성 원천기술 및 상용화기술을 보유.

-AgNW 필름 등을 생산.

SKC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화학사업, Industry 소재사업(필름사업) 등 영위. 

-폴더블폰 핵심 부품인 투명 폴리이미드(PI) 생산설비 완공.

-자회사인 필름가공업체 SKC하이테크앤마케팅(지분율 100%)가 고경도 코팅 기술 보유(2021.03.31 기준).

테이팩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접착테이프 OCA(Optically Clear Adhesive) 제조.

바이오로그디바이스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 부품인 FPCB(연성회로기판) Assy(완성부품) 제조·공급업체

-주요 제품 라인업은 휴대폰용 카메라의 액추에이터에 탑재되는 AF(자동초점)/OIS(광학식 손떨림 방지기능) FPCB Assy 제품을 생산하는 VCM 모듈 사업과 ISM 모듈 사업영위

에스코넥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폰 이음새 역할을 하는 힌지를 생산.

제이티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미국 코닝이 삼성전자 폴더블폰 신제품에 커버윈도 소재인 울트라신글래스(UTG)를 공급한다고 밝힘.

-지난해 코닝에 UTG 레이저 커팅장비를 납품하는 계약을 체결.

HB솔루션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폴더블디스플레이의 초박형 강화(flexible glass)를 생산공정(UTG공정· Ultra Thin Glass)을 세계 최초로 완전 자동화해 공급.

-폴더블 디스플레이 제조사인 도우인시스에 UTG 장비를 공급.

-도우인시스는 갤럭시Z플립에 처음 폴더블 유리를 공급한 데 이어 갤럭시폴드2 유리도 공급.

이녹스첨단소재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연성회로기판(FPCB)용 소재 및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등을 개발, 제조하는 업체.

동운아나텍

폴더 블 관련주 - poldeo beul gwanlyeonju

-아몰레드(AMOLED)용 DC-DC 컨버터를 中 료욜(Royole)이 개발한 세계 최초 폴더블 스마트폰 '플렉스파이(FlexPai)'에 공급.


지금까지 폴더블폰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테마주의 대장주는 글작성일 기준이므로 변동될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해당글은 종목추천이 아니며 사실과 다른내용이 포함되어 있을수 있습니다. 투자판단의 최종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니 이점에 유의하시고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필요없는 ♡공감 클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