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def 함수 - paisseon def hamsu

#함수정의 #definition #def #function #매개변수 #인수 #return

파이썬 def 함수 - paisseon def hamsu

파이썬 자체 내장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함수 정의'라고 합니다.


함수 정의 (Function Definition)

작업을 수행할 함수를 사용자가 직접 작성

파이썬 def 함수 - paisseon def hamsu

'함수 정의'는 크게 4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 인수, 반환값 등의 내용은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하겠습니다.

종류 매개변수
(인수를 받는 변수)
반환값
(return)
기본 구조
함수1
(일반적 함수)
O O def 함수(매개변수):
    return
함수2 O X def 함수(매개변수):
함수3 X O def 함수( ):
    return
함수4 X X def 함수( ):

def는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입니다.

'add'라는 함수명으로 2개의 변수를

더하는 함수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def add(par1, par2) :     #매개변수를 2개로 입력한다.(par1, par2)
    result = par1 + par2  #각 매개변수를 더해서 result라는 변수를 만든다.
    print(result)         #result값을 호출한다.

add(1,3)  #add함수를 호출해서 각 매개변수에 인수 1과 3을 순서대로 전달한다.
add(7,3)


##### result #####

4
10

함수의 기능을 이해하셨다면

위에서 설명한 대로

4가지 종류의 함수를 실습해 보겠습니다.


함수1. (일반적 함수)
매개변수O, 반환값O

return은 함수의 결괏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입니다.

return은 한 함수에서 1개만 사용가능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함수 유형입니다!

def add(par1, par2) :
    print("입력값은", par1,"과",par2, "입니다.")
    return par1 + par2

result = add(1,3)
print(result)


##### result #####

입력값은 1 과 3 입니다.
4

함수2.
매개변수O, 반환값X

반환값이 없는데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유는 함수 정의 시 수행할 문장에

결괏값이 될만한 내용을 입력했기 때문입니다.

return 유무에 따른 유형을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def total(a,b,c) :
    print("{0}, {1}, {2}의 총합은 {3}입니다." .format(a,b,c,a+b+c))

total(2,5,8)


##### result #####

2, 5, 8의 총합은 15입니다.

​함수3.
매개변수X, 반환값O

반환값에 입력된 내용까지

함께 실행됩니다~

def hello():
    print("인사를 하세요~")
    return "안녕하세요!"

a = hello()
print(a)     #print를 입력해야 return 값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 result #####

인사를 하세요~
안녕하세요!

​함수4.
매개변수X, 반환값X

매개변수와 반환값 모두 없는 경우엔

예문처럼 함수명을 호출해서

수행할 문장을 보여주는 기능만 합니다.

def hi():
    print("안녕하세요")

hi()


##### result #####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함수 정의'의 기본 구조 및

종류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파이썬 내용들로

return을 사용한 일반적 함수를

만들어 많이 실습해 보세요~

함수의 추가 기능들은

다음장에 리뷰하겠습니다.

파이썬 def 함수 - paisseon def ham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