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아플때 어디 - nun-apeulttae eodi

진료실 속 질병이야기

눈이 아플때 혼자 할수 있는 치료법. <대전 관절 류마티스내과 병의원>

 눈이 아프다고 저희 의원에 오시는 분은 보기 어렵지만, 관절이나 류마티스로 진료를 보러 오셨다가 눈에 통증이 있다고 얘기하시는 분들은 가끔 만나게 됩니다.

편두통처럼 머리도 아프고 눈도 아프다고 하시는 경우도 있지만, 눈도 침침하다고 호소하시는 분들도 많이 만납니다.

 전에 저희 어머니도 아침에 일어나면 눈이 빠지게 아프다고 하셔서, 제가 치료했던 경험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눈이 아프다고 하면 안과에서 진찰을 받는 것이 맞습니다. 눈 속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 큰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이 순서가 일 것 같습니다.

그러면 녹내장이나 백내장이라는 얘기를 들을 수도 있고, 망막질환 같은 질환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저희 같이 류마티스 질환을 주로 보는 병원에서 생각하면, 류마티스 질환 중에 강직성척추염 같은 염증성 척추 질환이나 베체트병 같은 혈관염으로 나오는 질환들에서 "포도막염"이라고 하는 눈안에 염증이 심한 질환과는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저희한데 눈이 아프다고 얘기하신 분들은, 대부분은 이미 안과에서 진료를 보신 경우가 많고, 치료도 했던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대도 해결되지 않아서 다른 관절과 척추 진료를 보시다가 말이 나온 김에 얘기를 하시게 됩니다.

 그러면 제 경험상 치료를 같이 해보거나 자가 치료법을 알려 드리는데 그 원리와 방법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제가 주로 하는 근육 치료라는 방법이 들어갑니다.

 눈은 머리에 있고, 그 머리는 얼굴 근육과 목의 근육들로 쌓여져 있습니다. 눈의 주위에는 많은 근육들이 있는데 눈을 움직이게 하는데 기본적으로 이런 근육들이 자리를 잡아 줍니다.

눈알을 움직이게 하는데 사용되는 눈 속의 근육들이 있지만, 눈알을 두개골 안에 넣어서 잘 잡아주어야만 눈알과 눈의 근육들이 제대로 작동을 합니다.

 쉬운 말로 두개골이라고 하는 상자 안에 어느 한 공간을 눈알과 눈을 작동시키는 조직들이 들어 있는데, 상자가 짜그러지거나 눌리면 눈에는 병이 생기고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그런 상자를 제대로 유지시키고 부드럽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머리를 싸고 있는 근육들입니다.

 그래서 목과 머리를 잡고 있는 근육들은 전부 다 눈에 영향을 미치게 하고, 좋지 않다면 질병이 생깁니다. 기본적으로 목을 바로 유지시키려면 허리와 등이 바르게 되어 있어야 하고, 목이 바르면 머리를 바르게 합니다.

 크게 본다면 우리 몸의 모든 근육이나 구조가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발바닥에 있는 근육이 한 개가 좋지 않다 하더라도 시력이나 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항상 외치고 있는 바른 자세와 습관, 운동들은 어떤 질병이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현재 아픈데 모든 몸을 전부 치료할 수는 없겠지요.

그래서 가장 눈에 중요한 부위를 일단 먼저 치료해야 합니다. 눈에 가장 가까운 근육이 제일 먼저입니다. 살인사건이 나면, 항상 가장 가까운 주변 인물을 먼저 조사하지요. 마찬가지로 어떤 문제가 생기면 가장 가까운 조직에 문제가 생겼는지를 보는 것이 일단 상황을 빨리 조절하게 합니다.

 눈에 가장 가깝고, 실제로 문제를 많이 일으키는 근육이 눈 옆에 있는 측두근이라는 근육입니다.

이 측두근은 머리의 측면을 싸고 있는데, 이 측두근은 눈을 담고 있는 머리뼈에 가장 많은 움직임을 만듭니다.

 한의학에서 태양혈이라는 혈자리가 있는데, 눈에 질환이 있으면 이 자리를 치료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태양혈이라는 자리가 측두근이 있는 자리입니다.

 우리는 눈이 아프면 저절로 옆 머리를 누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저절로 나오는 동작으로 실제로 측두근을 누르고 있으면 눈의 통증이 덜해지는 것을 스스로 알기 때문입니다. 

이 측두근은 눈 옆에도 있고 머리의 측면으로 뒷머리까지 넓게 있습니다. 이 근육을 특히 눈 바로 옆에서부터 눌러보면 많이 아픈 자리가 나옵니다. 그 자리부터 손으로 누르는 지압을 합니다.

 

손으로 누르는 지압은 힘이 많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머리의 무게를 이용해서 밑에 야구공 같은 단단한 물건을 가지고 머리를 누르면서 찾아도 됩니다.

 몇 십초 정도를 누르다 보면 아픈 통증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바로 옆으로 가서 또 눌러줍니다. 이런 동작을 반복하다 보면 측두근 전체를 눌러줄 수 있고 나중에는 머리로 눌러서 아픈 자리가 사라집니다.

그러면 이번에는 조금 더 강하게 머리로 눌러 줍니다. 그러면 덜 아팠던 부분이 더 아파지는데, 그것은 측두근이라는 근육이 속까지 눌러지게 돼서 풀리기 때문입니다.

이런 동작을 계속 반복하게 되면, 눈에 통증이 많이 좋아집니다.

이것은 편두통이 있을 때도 똑같이 합니다. 편두통의 원리도 같기 때문에 치료법도 같습니다.

또 한 가지의 질환도 같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는데, 치통이 있을 때도 같은 방법입니다.

 류마였습니다.

�� �Ƿ� ��ȭ�ϴ� '���й�'�� '������'

���س� �コ���� ����

  • �� -
  • �� +

2017/02/17 09:00

눈아플때 어디 - nun-apeulttae eodi

�� �� �Ƿθ� ��ȭ�Ϸ��� �� �ֺ��� �����ϰų� �������ϴ� �� ������ �ȴ�/����=�コ���� DB

���� 7~8�ð� ��ǻ�͸� ���� ���ϴ� �����ε��� ���� �� �Ƿο� �ô޸���. ȸ�� �ۿ����� ����Ʈ���� ���� �ð��� �������鼭 �� �ǰ��� ����ȣ�� ���� �� ������. �ð� �� �� �� �Ƿΰ��� ��ȭ�ϴ� ���й��̳� �������� �õ��ϴ� �� ������ �ȴ�.
�� �ذ� ���� ����� ������ ���׽� �������ϵ� �����ָ� �ȴ�. ���� �����ϰų� ���� �� ȿ�����̴�. ���� �� ���� ��ǫ �� ���� ���ڳ���(�¾���)�� �����ϴ� �͵� ����. ���ϰ� ������ �����ؼ� ���ݾ� ������ ��������. ���� �� ���� ��ǫ �� �κ��� ������ �͵� ����. ���� ���� �� �ٷ� �Ʒ� ��ǫ �� ���� '������'�� ������ ������ �͵� ȿ�����̴�.

�չٴ��� �̿��� ���й��� �õ��غ���. �� �չٴ��� 30ȸ ���� �񺭼� �������� ���� �Ѵ�. ���� �̸������� ���� ���� ���� ������ ��, �� �Ʒ�, �̰� ���̸� ���ʴ�� �̵��ϸ� �չٴ����� ��������. �� ������ 50ȸ �̻� �ݺ��Ѵ�. 25ȸ�� �ð� ��������, ������ 25ȸ�� �ð� �ݴ� �������� �������Ѵ�.

�������� ������ �ȴ�. ������ ����(���� 42~45��)�� ���� 10�а� �÷��δ� ���̴�. �Ϸ� 2~4ȸ �ϴ� �� ȿ�����̸� ������ ���� ���� ����� ����Ǯ�� ������ ���׽� ���� �������Ѵ�. ������ �� ���� ���� ä ������ ���� �Ѹ���, ���� �չٴ����� �� �����ִ� �͵� ����. �������� �� �Ŀ��� �����̳� �� �������� 1�� ���� ���� ������. ���� �����ϰ� �ϸ� �� �ֺ� ������ Ȯ��Ǹ鼭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