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소방청(청장 정문호)이 분석한 최근 3년간 119구급활동 결과에 따르면 기도 속 이물 응급환자가 119구급차를 이용한 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6년 2,063건, 2017년 2,342건, 2018년 2,914건(전년대비 24.4% 증가)이다.

2018년 5월 B시 소재 식당에서 50대 남성이 떡을 먹던 중 목에 걸려 숨을 쉬지 못하는 것을 보고 식당 주인이 119에 신고했다.

119구급상황관리사는 기도 내 이물로 인한 기도폐쇄로 판단하여 하임리히법을 안내하였다.

전화로 안내를 받은 식당주인이 처음에 응급처치를 거부하였으나, 상황이 위급해지자 상황관리사의 안내에 따라 하임리히법을

시행한 결과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 목에 걸려 있던 떡이 밖으로 나왔다.

구급대원이 현장 도착 했을 때 환자의 호흡 상태는 양호했으나 환자는 병원으로 이송된 후 간단한 검사만 받고 집으로 귀가한

사례가 있다.

지난해 11월 가정집에서 80대 남성은 음식을 먹다가 목에 걸려 119에 신고는 하였지만, 119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까지 보호자가 아무런 응급처치를 시행하지 않아 목숨을 잃은 사례도 있다. 또, 일본 도쿄소방청에 따르면 올 새해에 일본 도쿄에서 찹쌀떡을 먹다가 11명이 응급실에 가고, 1명이 숨지는 일도 있었다. 떡이나 음식물을 먹다가 목에 걸려 갑자기 쉼을 쉬지 못하고, 주변사람이 신속한 응급처치를 못하면 심정지로 생명을 잃을 수 도 있다.

음식물로 인한 기도폐쇄는 대부분 4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지만 성인도 예외가 아니다. 기도 속 음식물로 완전 기도폐쇄가 되는 경우 2~3분 이내에 음식물을 곧바로 제거해주지 않으면 매우 위급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기도폐쇄가 의심되면 ‘하임리히법’으로 알려진 복부 밀어내기로 복부에 압력 상승을 유도하여 기도 속 이물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특히, 기도폐쇄 환자가 말을 하거나 소리를 낼 수 있는 부분 기도폐쇄는 하임리히법을 실시하기 전에 기침을 하게 하여 이물이 빠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 ‘기도 이물’이란?

- 비강, 인구 강, 후두, 기관, 기관지 등을 통틀어 기도라 하고, 기도 속에 들어간 이물을 기도 속 이물 또는 기도 이물이라고 한다.

※ 기도 이물로 인한 기도폐쇄의 증상

- 부분기도폐쇄 : 숨이 몹시 가쁘고 목이 쉬고 말을 잘 못하며 기침하는 모습을 보임

- 완전기도폐쇄 : 숨을 쉬지 못하고 기침도 말도 전혀 못하고 갑자기 질식되면서 손으로 턱을 받치며 괴로워하는 모습 등의 증상 징후가 나타남

소방청 박세훈 구급정책협력관(응급의학전문의)은 “기도폐쇄 예방은 부모들이 어린아이가 장난감이나 작은 물체를 삼키지 않도록 항상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하다”며, 또한 “노인은 떡 등 단단한 음식을 먹을 때 잘게 잘라서 잘 씹어 먹는 것이 좋고, 평소 하임리히법을 익혀 위급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성인

▴ 환자를 뒤에서 양팔로 감싸듯 안고, 한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싼다.

▴ 주먹을 환자 명치와 배꼽 중간지점에 대고 뒤쪽 위로 밀쳐 올린다.

▴ 기도 이물이 나올 때까지 계속하고, 만일 환자가 의식을 잃고 심정지 상태에 이르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 환자가 임산부 이거나 비만일 경우에는 가슴밀기 또는 흉부압박을 실시한다.

■1세 이하 영하

▴ 허벅지 위에 머리가 가슴보다 아래를 향하도록 엎드려 놓고, 손바닥 밑 부분으로 아기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린다.

▴ 다시 아기를 뒤집어서 머리를 가슴보다 낮게 한 후, 가슴 양쪽 젖꼭지 중앙부위에서 약간 아래를 두 손가락으로 4cm 정도의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가슴압박을 한다.

▴ 기도 이물이 나올 때까지 계속하고, 만일 환자가 의식을 잃고 심정지 상태에 이르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음식을 먹을 때나 먹고 나서 목에 뭔가 걸린 느낌이 든다

음식을 삼키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사레가 자주 걸린다

반복적으로 폐렴에 걸린다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이러한 증상을 느끼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는 연하곤란(삼킴장애)라고 하는데요. 음식을 삼키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은 많은 분들이 경험하더라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참고 지내는 경우도 많고 목감기로 착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삼키기 힘든 현상이 질환의 증상일 수 있다는 사실!! 연하곤란(삼킴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우리가 음식물을 삼키는 과정은 의식하고 하는 행동은 아니지만 몸의 영양분을 얻기 위해 꼭 필요한 활동인데요. 삼키는 과정은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1단계는 구강부 단계로 음식물이 입안에서 분해되고 식도의 입구인 인두까지의 과정을 말합니다.

- 2단계 인두부 단계는 음식물이 코로 넘어가지 않게 코인두가 닫히고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성대가 닫히면서 음식물이 식도로 내려가는 과정입니다.

- 마지막으로 3단계는 식도부 단계로 식도에서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이 위까지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과정 중 어느 한 곳의 이상으로 인해 음식물을 삼키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을 연하곤란(삼킴장애)이라고 말합니다. 크게 구강인두 삼킴 장애와 식도 삼킴 장애로 구분될 수 있는데 구강인두는 1단계와 2단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고 식도 삼킴 장애는 말 그대로 식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를 말합니다.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2개 이상 해당하면 연하곤란 의심

☐ 음식이나 침을 자주 흘린다

☐ 식사 중 기침이나 목메임이 잦다

☐ 음식을 삼킨 후에도 목에 남아 있는 느낌이 있다

☐ 식사 후 목소리가 쉰 목소리로 변한다

☐ 물과 음식을 잘 넘기지 못하고 자주 사레들린다

☐ 물을 마시면 종종 코로 역류한다

☐ 물이나 음식을 삼킨 후 호흡이 가쁘다

☐ 30초 동안 침을 세 번 이상 삼키기 힘들다

▶ 역류성 식도염

위산이나 위의 내용물이 식도를 통해 역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중 하나의 증상으로 연하곤란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자극적인 음식, 커피, 잦은 음주 등으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 발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 20~30대의 젊은 층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평소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고 과식을 자주 하시거나 커피, 음주를 즐겨 하시는 분이라면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신경성 질환

뇌와 관련된 신경성 질환의 증상으로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주요 질환으로는 루게릭병, 뇌졸중, 소아마비, 치매 등이 있습니다.

근육을 담당하는 뇌신경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식도의 연동운동, 인두수축근, 구강근육 등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삼킴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히 침 흘림 증상도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침 생성이 증가되어서가 아닌 침 제어 능력의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근육 저하를 유발하는 질환

신경성 질환의 경우에는 씹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반면에 근육질환으로 유발되는 연하곤란은 씹는 과정은 별다른 어려움을 못 느끼고 인두 및 식도에서 장애를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육질환을 겪는 경우에 삼킴 과정에 관여하는 근육의 기능 저하로 인해 삼킴 장애를 동반되는 경우가 관찰됩니다.

대자인병원 재활의학과 김성균과장은 “최근 자극적인 음식, 과식, 음주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일시적・장기적으로 연하곤란을 겪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연하곤란이 오랜 기간 지속된다면 병원에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대자인병원 #연하곤란 #삼킴장애 #가래 #사레 #목이물감 #삼키기힘듬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

목에 음식물 걸림 - mog-e eumsigmul geol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