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박사 난이도 - migug bagsa nan-ido

“How much importance is coursework?”
우리 학교는 박사과정 입학생이라면 첫 학기에 반드시 들어야 하는 세미나가 있다. 이 세미나는 박사과정을 잘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대략적인 학업의 흐름과 논문 다루는 법, 지도교수와의 관계 형성, 코스웍, 취업, 코호트 학생들과 어울릴 기회 제공, 연구에 관한 전반적인 인트로 따위의 내용을 다룬다. 더불어, 첫 학기 동안 꼭 밟아야 하지만 처음 정착하면서 놓치기 쉬운 단계들을 적절한 시기에 놓치지 않고 할 수 있도록 팔로우업을 돕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한 번은 이 세미나에서 학과 교수님 몇 분을 초청해 질의응답을 하는 세션을 가졌는데 누군가 코스웍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물었다.

우리 과는 정해진 카테고리 내에서 최소 6개의 과목을 들어야 한다. 한 학기에 2과목 정도 들으면서 연구와 병행하는데, 지도교수님의 조언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과목을 더 듣기도 하고 원하는 과목이 원하는 학기에 열리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코스웍을 끝내는데 2년 정도가 걸리는 셈이다. 박사과정 5년 중 2년 안에 박사 자격시험(퀄)도 쳐야 하는데 어쨌든 수업을 들으면 과제와 시험으로 꽤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한다. 이 정도면 코스웍에 대한 부담이 적진 않다. 나 역시도 지난 1년간 4과목을 들었고 다음 학기에도 졸업 요건에 포함되는 과목 1개와 연구에 필요한 과목 1개를 수강 신청했다.

세미나에서 나온 질문에 교수님들의 답변은 “No, but yes"였다. 박사과정 학생에게는 코스웍보다 연구가 훨씬 중요하지만, 안 들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A+을 받기 위해서 주당 20~30시간씩 투자할 필요는 없다고 하셨다. 어떤 교수님은 자기가 아무리 코스웍은 중요하지 않다고 아무리 말해도 학생들이 듣지 않고 A+를 받기 위해 기를 쓴다며 한탄하셨다. 교수님이 언급한 학생이 A+을 위해 노력한 이유는 따로 있다. 세미나에서 학생들이 대놓고 이런 질문을 한 이유와 같다. 바로 펀딩이다.

당연히 학교마다 조건이 다르겠지만, 우리 학교는 Graduate student assistantship, 쉽게 말해 박사과정 학생들이 받는 펀딩에 조건이 붙는다. TA든 RA든 Fellowship이든 돈을 주는 주체는 학교로 동일하기 때문에 펀딩을 받는 모든 학생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Program requirement에 따라 졸업 최소 요건에 충족하는 과목들의 평균 학점을 3.5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학기에 고작 2과목 듣는데 4.0 만점에 3.5를 유지하라는 건 각각의 과목에서 최소 A-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B+가 3.33/4.0, A-가 3.66/4.0이니 말이다. 수업의 난이도보다는 요구조건과 필요에 따라 수업을 선택하는 박사생들 입장에서 절대 쉽지 않다. 미국 대학은 대체로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점수를 획득하기 위해서 부던히 노력해야 한다. 이걸 학점을 번다, ‘earn your grade'라고 표현한다. 상황이 이러니 “연구에 집중해 -> 그럼 수업은? 학점은? 펀딩은? -> 그래도 연구가 중요해 -> 시험도 보긴 봐야지 -> 연구 -> 학점 -> 연구 -> 학점 -> …” 도돌이표다. 코스웍 안 중요하니 연구에 더 집중하라는 입장과 펀딩 안 잘리려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 계속해서 대립한다. 아무튼 이 이야기로 세미나에서도 꽤 열띤 토론을 이어갔던 것 같다. 아마도 모든 코스웍이 끝날 때까지 이러지 않을까 싶다🤣

석사라면 얘기가 조금 달라진다. 미국 대학들은 아주 많은 석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크게 비논문 석사와 논문 석사로 나뉜다. 논문 석사는 말 그대로 연구에 중점을 두고 학위 논문을 제출해야한다. 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2년과정의 학위 프로그램이다. 논문 석사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경우라면 박사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을 수 있는데, Ph.D 지원과정에서 성적표를 제출하고 학점이 심사요소로 반영되기 때문에 아주 손을 놓을 수는 없다. 반면, 비논문 석사는 졸업을 하는 데 논문이 필요하지 않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대로 코스웍만 마치면 된다. 짧게는 9개월(1 academic year)에서 길게는 2년까지 기간도 다양하다. 짧고 굵게 학위를 마치고 취업을 하고 싶은 학생들이 많다. 이 경우에는 코스웍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당연하게도 코스웍이 대학원 과정의 전부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원하는 직무로 취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목들과 학점을 잘 설계해야 약간의 플러스를 챙길 수 있다.

결론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본인이 판단해야 하는 것 같다. 나 역시도 학교가 제시하는 커리큘럼에 완전히 만족하진 않는다. 그래도 기본기를 다지는 데 필요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성실하게 임했다. 간당간당하지만 첫 학기 학점도 다행히 맞췄다. 두 번째 학기 때는 첫 학기에 파악한 수업의 전반적인 난이도와 스타일을 바탕으로 시간분배를 더 적절히 할 수 있었고 더 좋은 성적을 받았다. 내 연구에 필요하다고 생각된 과목도 있었기 때문에 아주 쓸모가 없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래도 학점은 최소 조건만 맞추는 게 스트레스를 덜 받는 방향인 것 같다. 굳이 1등 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면접전략

Aug 22, 2018 by june, Shin, consultant

미국 대학원 박사 면접 형태별 난이도 및 전략

Graduate Program Admission Interview

미국 대학원 박사 면접 형태별 난이도 & 전략

Robin Shin, Consultant

12 Jan 2018

아래 글은 치즈랩 컨설팅 어드바이저가 작성한 글로, 어드바이저는 미국 Boston College Assistant Professor 및 Emerson College Tenured Professor로서 admission committee로서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박사면접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12월부터 2월까지는 대학원 면접 시즌입니다. 2차 합격자들은 3월, 4월까지 면접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앞서 석사 면접과 마찬가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지원자에게는 무조건 face-to-face 면대면, offline campus visit 면접이 유리합니다.

난이도는 면대면 면접 < 온라인화상면접 < 전화면접 순입니다.

(1) Offline face-to-face interview 캠퍼스에 초청해서 직접 만나는 면대면 면접 – 저난이도(easy)

영어가 모국어가 아니어서 언어적 측면에서 당황하거나 막히더라도  표정, 포즈, eye contact 등과 같은 비언어적 소통 (non-verbal communication)으로 약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박사 과정 학생 대상의 campus visit의 경우 학교/교수 입장에서는 향후 짧게는 3년 길게는 6~7년 동안 RA (research assistant) TA (teaching assistant) 로 hire할 후보들을 만나는 과정인 동시에, 입학후보학생의 입장에서는 지도교수(advisor)가 될 교수들을 직접 만나보는 기회입니다.

Coursework을 수료하고, 박사논문을 써서 박사학위를 받고, job market에 진출하는 과정까지 보낼 학교를 정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인생에 있어서 몇 안되는 중요한 결정과정이기 때문에 campus visit은 자신의 강점을 appeal하는 동시에, 학교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입니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이 허락한다면 직접 campus visit을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Campus visit interview를 제안하는 학교들은 재정적으로 안정적이고, TA/RA 기회가 많은 좋은 학교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2) Skype/Hangout/Appear-based online face-to-face interview 온라인 화상 면접 – 중간난이도 (medium)

언어적 약점은 스크린 근처에 스크립트를 붙여놓거나, 키워드를 하이라이트 해놓고 기억하는 등의 방법으로 극복할 수 있습니다. 비언어적 소통도 할 수 있습니다. 전문 면접 강사들과 실전처럼 철저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으실 수 있는 면접 방법입니다.

Phone call interview 전화면접을 거치지 않고, 바로 온라인 화상면접을 하는 학교도 있고, 일단 전화면접으로 영어 말하기 실력을 검증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사실에 근거한 답변을 해야합니다.

Reference Check했을 경우, 합격/불합격에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Phone call interview 전화면접 – 고난이도(hard)

박사과정 인터뷰의 경우, 수많은 지원자 pool중에서 1차는 서류 심사, 2차는 전화 심사, 3차는 Skype 또는 Campus visit의 단계를 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굴을 보지 않고 전화 통화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영어 실력이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눈빛도, 표정도, 손짓도, 발짓도 전달할 수 없고 오로지 “말”로만 평가받기 때문에 가장 연습이 많이 필요한 인터뷰입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외국학생들을 대상으로 spoken English 실력 (영어말하기 실력)을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평가하기 위해 일부러 전화인터뷰를 제안하기도 합니다.

특히 아시아권 학생들의 TOEFL점수 GRE점수에 대한 미국 교수들의 신뢰도가 낮기 때문이죠. 그래서 일단 1차 서류 심사를 통과한 아시아 및 외국 학생들의 말하기 실력을 검증하는 단계인 것이죠. 아시아 학생들 중에 TOEFL GRE 만점을 받고도 학부학생을 대상으로한 수업진행이 안되는 경우, 토론식 수업 세미나에서 말한마디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GRE TOEFL점수에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전화인터뷰를 철저히 준비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박사학위를 받는다는 것은 인생에 있어서 몇 안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어떤 학교에서 어떤 어드바이저와 함께 하느냐가 커리어 측면에서 많은 것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접 전 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가를 항상 고민하고, 이를 말로써 표현하는 철저한 준비(=스피킹 면접 준비)를 해야겠습니다. 준비와 실행 없이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것을 다시 강조하고 싶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미국 박사 어드미션 커미티의 입학생 대상 평가 기준과 평가 방법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가지 중요한 사항은 예상질문에 대한 답변을 만들 때, 자신의 영어수준을 고려하여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인터뷰시 대답을 잊어버리거나, 면접관(Interviewer)이 질문의 영어수준을 더 어렵게 높일 수 있고, 이 경우 질문 자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면접관이 누구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영어가 원어민 수준으로 유창하거나 100% 외국인인 경우, 준비한 답변의 영어표현이 콩클리쉬(broken English)일 경우, 오히려 감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표현을 교정하기 위해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2017. Pinstory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