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다 회귀 분석 - jungda hoegwi bunseog

초록

최근 몇 년간 서울시는 총 인구 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소형가구의 증가로 인해 총 가구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내 소형가구는 2010년 기준 전체가구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통계청에서는 2020년에는 전국의 1인 가구 수가 전체가구의 약 30%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1인 가구 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1인 가구가 연령별로 선호하는 주택유형이나 주변 환경 등이 다르게 나타나며, 본 연구에서는 연령별 차이가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로 이어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 요인이 되는 시설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에 기초한 서비스 권역 분석 후 도출된 면적을 공간적 단위의 면적 비율로 계산하여 이를 독립변수로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적 단위는 서울시 집계구이며, 이를 토대로 연령별 1인 가구 수와 분포요인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더미변수로 서울시 공간권역인 도심권, 동북권, 동남권, 서북권, 서남권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권역별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령별로 주로 분포하고 있는 공간권역이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20대는 대학가 근처 주택, 30대는 전월세 주택, 40~50대는 월세주택, 60대 이상은 연면적 $40m^2$ 이하의 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1인 가구는 연령별로 선호하는 주택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주택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While the number of total population in Seoul has been on the constant decline for the last few years, the number of household has increased due to the rising tendency of the smaller households. In 2010, the small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s accounted for 44% of the entire households, and Statistics Korea has reported that one person household, which will take up more than 30% of the whole household, will have been the most common type of household by 2020. This reason of rise will be differently shown according to age like the preferred housing type or surrounding environments, this research is suggest to research hypothesis that distinction of age leads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exercis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on the facilities, which become the spatial distribution factor of one person household,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gained from the concluded area calculated with the area ratio of the spatial unit followed by the service area analysis based on network. The spatial unit is the census output of Seoul, and based on th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 according to age and the factors of its distribution. Also, the spatial regions - downtown, northeast, southeast, northwest, southwest - are designed as dummy variables and the results of each region are found out. As a result, the spatial regions occupied according to age are found to be varied - people in their 20s prefer housings near the college, 30s lease or the monthly rental housings, 40s the monthly rental housings, and over 60s the housing with the floor area of less than $40m^2$ . Likewise, one person household has different types of housing environments preferred according to age, and thus a housing policy concerning this will have to be suggested.

본문요약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1인 가구의 연령별 가구 수를 중심으로 공간적 분포요인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후, 연령별 분포요인의 차이점을 서울시 공간권역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는 연령대 별 원하는 주택유형이나 시설환경이 각자 다르기 때문이며 1인 가구의 연령별 공간적 밀집 분포로 이끄는 요인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1인 가구의 연령별 가구 수를 중심으로 공간적 분포요인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후, 연령별 분포요인의 차이점을 서울시 공간권역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1인 가구의 주택수요 대응방안과 정책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가설 설정
  • 이때 사용하는 1인 가구 수는 모든 연령대를 사용하기로 하고, 집계구에 골고루 퍼져있다고 가정하며, 링크는 서울시 도로중심선을 사용한다.

    본 연구의 네트워크 모델에서 중간점은 자원을 배분하는 곳으로 공공시설들을 의미하고, 결절점은 공공시설을 이용하는 개체인 1인 가구의 수를 말한다. 이때 사용하는 1인 가구 수는 모든 연령대를 사용하기로 하고, 집계구에 골고루 퍼져있다고 가정하며, 링크는 서울시 도로중심선을 사용한다.

제안 방법
  •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 권역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 권역을 적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1인 가구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을 실시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있고, 기존과는 다른 연구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위의 전제조건을 만족하며, Table 3과 같이 1인 가구를 밀집시키는 요인을 사회 및 경제, 주택 및 가구, 교통, 편의시설, 교육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집계구별 1인 가구 수를 연령별로 총 가구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한 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종속변수 값들은 통계적으로 서로 독립적 이어야하고, 다중회귀분석의 경우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이 존재하지 않아야한다[9]. 본 연구에서는 위의 전제조건을 만족하며, Table 3과 같이 1인 가구를 밀집시키는 요인을 사회 및 경제, 주택 및 가구, 교통, 편의시설, 교육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집계구별 1인 가구 수를 연령별로 총 가구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한 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또한 서울시 공간권역을 더미변수로 하여 권역별 분포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을 실시할 변수로 공공시설인 지하철, 버스정류장, 복지시설, 의료시설, 대학교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을 실시할 변수로 공공시설인 지하철, 버스정류장, 복지시설, 의료시설, 대학교를 설정하였다. Chung[2]은 Table 4와 같이 시설별 생활권을 소 생활권, 중 생활권, 대 생활권으로 나누었는데, 소 생활권은 초등학교, 경로당, 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반경 300~400m로, 중 생활권은 2~4개의 소 생활권을 범위로 하고 종합복지센터, 경찰서, 중학교, 종합병원 등이 고려되며 반경 800~1,000m의 규모를 가진다.

데이터처리
  • 또한 종속변수가 정규분포하는지, 분산은 동일한지 살펴보고, 다중공선성 등 문제를 일으키는 변수는 제거하여 회귀분석을 재실시한 후, 도출된 회귀식이 유의한지 잔차와 VIF, F-test를 통해 살펴본다.

    먼저 변수별 척도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원 자료를 표준화 점수로 변환시킨 후 이를 활용하기로 한다. 또한 종속변수가 정규분포하는지, 분산은 동일한지 살펴보고, 다중공선성 등 문제를 일으키는 변수는 제거하여 회귀분석을 재실시한 후, 도출된 회귀식이 유의한지 잔차와 VIF, F-test를 통해 살펴본다. 그리고 연령별 1인 가구 수와 독립변수간의 관계를 회귀계수와 결정계수를 통해, 연령별1인 가구의 선호요인과 요인순위를 도출하고, 선호요인의 연령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Figure 2).

성능/효과
  • 그 결과 연령별 분포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를 주거정책으로 적용하면, 20대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에서는 대학교와 역세권 주변에 월세형 소형주택을 공급해야 하고, 30대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에서는 사업체와 역세권 주변에 전·월세형 소형주택을 공급해야 하며, 40대 이상에서는 전세위주의 소형 단독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 결과 연령별 분포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를 주거정책으로 적용하면, 20대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에서는 대학교와 역세권 주변에 월세형 소형주택을 공급해야 하고, 30대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에서는 사업체와 역세권 주변에 전·월세형 소형주택을 공급해야 하며, 40대 이상에서는 전세위주의 소형 단독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연령대의 1인 가구는 주로 40m2이하의 소형주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현행 소형주택공급관련 정책을 살펴보면, 도시형생활주택과 준주택 등이 이에 포함되고 있어,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에서는 이러한 소형주택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3].

후속연구
  • 그러나 2010년 인구주택 총 조사 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조사 자료가 갱신되면 최신자료를 토대로 연구하여 이와 다시 견주어봐야 할 것이며, 성별 1인 가구에 대한 분포요인의 차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와 20대를 제외한 회귀모델의 설명계수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시설별 이용권을 분류한 후 네트워크에 기초한 서비스 권역 분석을 수행한 결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것이 유의미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2010년 인구주택 총 조사 자료를 토대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조사 자료가 갱신되면 최신자료를 토대로 연구하여 이와 다시 견주어봐야 할 것이며, 성별 1인 가구에 대한 분포요인의 차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와 20대를 제외한 회귀모델의 설명계수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질문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회귀분석

회귀분석의 종속변수 값은 통계적으로 어떠해야 하는가?

종속변수 값들은 통계적으로 서로 독립적

회귀분석은 특정한 독립변수값에 해당하는 종속변수 값들은 정규분포를 해야 하며, 모든 정규분포의 분산은 동일해야한다. 또한, 종속변수 값들은 통계적으로 서로 독립적 이어야하고, 다중회귀분석의 경우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이 존재하지 않아야한다[9]. 본 연구에서는 위의 전제조건을 만족하며, Table 3과 같이 1인 가구를 밀집시키는 요인을 사회 및 경제, 주택 및 가구, 교통, 편의시설, 교육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집계구별 1인 가구 수를 연령별로 총 가구 수에 대한 비율로 계산한 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서울시

서울시에서 총 가구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형가구의 증가

최근 몇 년간 서울시는 총 인구 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소형가구의 증가로 인해 총 가구 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내 소형가구는 2010년 기준 전체가구의 44%를 차지하고 있으며, 통계청에서는 2020년에는 전국의 1인 가구 수가 전체가구의 약 30%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이란 무엇인가?

2개 이상 복수의 독립변수들을 이용한 회귀분석으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독립변수의 일정한 값에 대응하는 종속변수 값을 예측하는 모형을 산출 하는 방법

다중회귀분석은 2개 이상 복수의 독립변수들을 이용한 회귀분석으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독립변수의 일정한 값에 대응하는 종속변수 값을 예측하는 모형을 산출 하는 방법이다. 회귀분석은 특정한 독립변수값에 해당하는 종속변수 값들은 정규분포를 해야 하며, 모든 정규분포의 분산은 동일해야한다.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5)

  1. 1. Chae, J. E; Pak, S. Y; Byun B. S. 2014, An Analysis of Spatial Concentrated Area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Concentrating Factors in Seoul, Seoul Urban Studies, 15(2):1-16. 
  2. 2. Chung, H. Y. 1999, Theory of Urban Planning, Pakyoungsa. 
  3. 3. Hong S. J; Kim Y. J; Ahn, K. H. 2011, Residential Mobility Patterns and Pull-factors of Small Households in Seoul,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2(4):51-62. 
  4. 4. Jeon, B. W.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twork for Pedestrian Access to Public Facility - Focused on Neighborhood Unit of Chuncheon City, Graduated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doctor's degree. 
  5. 5. Kim, Y. H. 1992, A Study on the standard and arrangement of the convenience facilities in the residential complex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8(8):51-59. 
  6. 6.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9, Urban Planning Theory, Bosunggak Press. 
  7. 7. Lee, H. R. 2013, (A)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emale single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raduated school of University of Seoul, master's degree. 
  8. 8. Lee, H. Y. 200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ubmunsa. 
  9. 9. Lee, H. Y. 2014, Research Methodology, CheongRam Publishing. 
  10. 10. Lee, J. S. 2011,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ne Person Households, Graduated school of Kyungwon University, master's degree. 
  11. 11. Lee, J. S; Yang, J. S. 2012, Housing Policy Directions for Single- and Two-Person Household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12. 12. Ma, S. I.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Graduated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13. 13. Oh, S. G. 1995, A Study on the Layout of the Facilities based on the User's Behaviors in Multi-Family Housing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9):65-75. 
  14. 14. Shin, S. Y. 2010,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 The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45(4): 81-95. 
  15. 15. Yoo, C. J; Nam, K. W. 2014,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of One-Person Household - The Case of Busa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59-71.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