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최근엔 가볍고 진화 효과도 뛰어난 스프레이 소화기가 나와 어르신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 소방관이 시민에게 스프레이 소화기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소방청

분말 소화기, 사용한 뒤 가스·분말 재충천… 주방엔 K급 소화기 비치

소화기 몸통 잡고 안전핀 뽑아야… 약제 굳지 않게 위·아래 흔들어줘야

[백세시대=배지영기자] 난방 기구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겨울과 건조한 봄철에는 크고 작은 화재 위험이 늘 도사리고 있다. 화재의 절반 이상은 개인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만큼 화재 위험에 항상 대비하기 위해 가정 내 소화기를 꼭 비치해야 한다. 

소화기는 사용 방법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인명, 재산 피해를 막는 데 효과적이지만, 평소에는 소화기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해 간과하기도 한다. 또한 화재 장소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소화기나 그 용법도 천차만별이다. 이에 소화기의 다양한 종류와 올바른 사용 방법을 알아본다.

◇화재의 종류

화재의 종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소화기가 다르다. 그렇기에 모든 소화기에는 소방법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화재 종류를 표시해야 하는데 보통 A, B, C, D, K로 표기한다.

A급 화재는 일반화재로 나무, 종이, 섬유, 플라스틱 등 일반적으로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이 타고 나서 재가 남는 화재를 가리킨다. B급 화재는 기름, 휘발유, 알코올 등과 같은 유류가 타고 자서 재가 남지 않은 화재를 말한다. C급 화재는 전기가 흐르고 있는 전기기기나 기타 전기 설비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이다. D급 화재는 공기 중에 날리는 금속분진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이며, K급 화재는 주방에서 동식물 기름을 취급하는 조리기구에 일어나는 화재이다.

◇소화기 종류

▶분말 소화기=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소화기다.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 불에 잘 타지 않는 기체의 고압가스를 이용해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나 제1인산암모늄 분말을 뿌린다. 분말이 불에 닿으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나 여러가지 기체를 발생시켜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일반, 유류, 전기 화재 진압에 적당하다. 

다만, 사용 직후엔 반드시 용기를 거꾸로 하여 남은 가스를 방출시키고 고압가스와 분말이 재충전된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며, 분사한 분말을 뒤처리하기가 힘들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포말 소화기= 소화기를 거꾸로 흔들면 속에 있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황산알루미늄 용액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알루미늄이 생성된다. 이때 이산화탄소 거품과 수산화알루미늄 거품이 공기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 소화기는 목재, 섬유 등 일반 화재뿐만 아니라 가솔린 등 유류, 화학 약품 화재에 적당하다. 하지만 거품으로 인한 감전 위험이 있어 전기 화재에는 부적절하다.

▶이산화탄소 소화기= 이산화탄소를 액화시켜 충전한 것으로 액화 이산화탄소가 용기에서 방출되면 고체 상태의 드라이아이스로 변해 화재 장소를 이산화탄소 가스로 덮어 공기를 차단한다. 이때 드라이아이스 상태의 온도는 -78.5℃까지 급격히 낮아져 냉각 효과가 크다. 다만, 방출 노즐을 잡을 때에는 동상을 입을 염려가 있어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야 한다. 유류, 전기 화재 진압에 적합하다.

▶할론 소화기= 할론 가스를 소화 약품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 화재나 유류, 화학 약품, 전기, 가스 등 화재 전반에 걸쳐 폭 넓게 사용된다. 별도의 점검이 필요하지 않고 남은 약제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K급 소화기= 동식물유(식용유)로 인해 발생되는 화재 발생 시 유막을 형성시켜 식용유의 온도를 낮추고 산소 공급을 차단해주는 소화기로, 음식점이나 주방 화재 진화에 적합하다. 

▶투척용 소화기= 불을 향해 던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법이 무척 간단하다. 열기에 용기가 깨져 불길을 누그러뜨리는 효과가 있으며, 액체형이라 탈출 시 시야를 방해하는 일도 없다. 화재 위험이 큰 공간에 미리 설치해두면 좋다.

▶스프레이 소화기= 아동, 노약자들도 손쉽게 뿌릴 수 있도록 무게가 가볍고 사용법이 쉬워 초기진압 효과가 매우 높다. 특히 정기적인 점검 없이도 반영구적으로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가정용뿐만 아니라 캠핑용, 차량용으로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최근에 출시된 제품인 뉴퍼펙트의 ‘3X-FIRE’는 소화 후 잔재물이 없는 무색·무취의 무독성 액상으로 되어 있어 사용 후 뒤처리 문제가 없으며, 내부가 파우치 용기로 제작돼 외부 공기 압력으로 소화액을 분사하기 때문에 거꾸로 분사해도 분사가 된다. 또한 화재진압 속도가 빠르고 화재소화 능력이 뛰어나 초기에 화재 진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독성 등 잔류유해성이 없어 2차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일반 소화기로는 진화가 어려운 K급 화재에 이르기까지 모든 화재에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소화기 관리 방법

소화기는 직사광선과 높은 온도, 습도를 피해 보관해야 한다. 

또한 소화기의 약제가 굳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하는데, 분말 소화기를 거꾸로 돌렸을 때 약재가 굳지 않았다면 ‘스르륵’ 소리가 나지만, 굳었을 때는 덩어리가 ‘툭’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약제가 굳지 않도록 한 달에 한 번 정도 위아래로 흔들어주는 것이 좋다.

소화기 손잡이 부분이 녹이 슬거나 파손된 부분은 없는지 주기적인 관리와 점검도 필요하다. 소화기에 달려 있는 게이지는 더욱 세심한 점검이 필요한데, 압력게이지가 정상범위인 녹색을 가리키는지 수시로 확인해야 하며, 적색을 가리키면 재충전을 해야 한다. 또한 최초 생산일로부터 5년이 경과된 노후된 소화기는 교체해야 한다.

배지영 기자

저작권자 © 백세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KR20180034542A - 화재 진압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20180034542A KR20180034542A KR1020187005349A KR20187005349A KR20180034542A KR 20180034542 A KR20180034542 A KR 20180034542A KR 1020187005349 A KR1020187005349 A KR 1020187005349A KR 20187005349 A KR20187005349 A KR 20187005349A KR 20180034542 A KR20180034542 A KR 20180034542A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combustion materialinert gasconcentrationdeliveredfirePrior art date2015-07-31Application numberKR1020187005349A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마크 엘. 로빈Original Assignee더 케무어스 컴퍼니 에프씨, 엘엘씨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15-07-31Filing date2016-07-25Publication date2018-04-04 Priority claimed from US201562199449P external-priority 2016-07-25 Application filed by 더 케무어스 컴퍼니 에프씨,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케무어스 컴퍼니 에프씨, 엘엘씨 2018-04-04 Publication of KR2018003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542A/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LKYXEULZVGJVTG-UHFFFAOYSA-N 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H] LKYXEULZVGJVT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6416 CBr Chemical group BrC*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6414 CCl Chemical group ClC*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0)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5010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1 Fluoro olef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20004449 Ha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MEXUFEQDCXZEON-UHFFFAOYSA-N Bromochlorodi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Cl)Br MEXUFEQDCXZEO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JCQBQGAPKAMLL-UHFFFAOYSA-N Bromotri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F)Br RJCQBQGAPKAM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DTBXPJZTBHREO-UHFFFAOYSA-N bromine Substances BrBr GDTBXPJZTBHR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compound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282 hal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663 (C1-C6) perfluor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NLOLSXYRJFEOTA-OWOJBTEDSA-N (E)-1,1,1,4,4,4-hexafluorobut-2-ene Chemical compound FC(F)(F)\C=C\C(F)(F)F NLOLSXYRJFEOTA-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LDTMPQQAWUMPKS-OWOJBTEDSA-N (E)-1-chloro-3,3,3-trifluoroprop-1-ene Chemical compound FC(F)(F)\C=C\Cl LDTMPQQAWUMPKS-OWOJBT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0314 ClB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2296 Erithacus rubec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246 bromo group Chemical group Br*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09 chloro group Chemical group C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17 gas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1 light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53 low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ZVAJINKPMORJF-UHFFFAOYSA-N p-acetaminophenol Chemical compound CC(=O)NC1=CC=C(O)C=C1 RZVAJINKPMOR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MMOXUPEWRXHJS-UHFFFAOYSA-N pent-2-ene Chemical compound CCC=CC QMMOXUPEWRXHJ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297 pyr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5 spent fuel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5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57Polyhaloalka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92Gaseous extinguishing substances, e.g. liquefied gases, carbon dioxide snow

Abstract

연소 물질(burning material)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으로서, 화재 진압 방법은 (a) 질소, 아르곤 및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불활성 가스, 및 (b) 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및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을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및 (b)는 화재를 소화하기에 충분한 합계 농도로 전달된다.

Description

화재 진압 방법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화(fire extinguishing) 조성물 및 소화 조성물을 보호되는 위험 구역으로 또는 그 안으로 전달하는 방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소방(firefighting) 제제 및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화재의 크기, 위치 및 관련된 가연성 물질의 유형과 같은 요인에 따라 특정 화재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 소방 제제가, 폐쇄된 구역 내에 숨 쉴 수 있는 대기를 남겨두는 화재 예방 응용, 인클로저(enclosure)를 유효량의 제제로 완전히 채우는 ("플러딩(flooding)하는") 전역 플러딩(total flooding) 응용 (예를 들어, 전산실, 저장 볼트(storage vault), 전기통신 스위칭 기어 룸(telecommunications switching gear room), 도서관, 문서 보관소(document archive), 석유 파이프라인 펌핑 스테이션(pumping station) 등), 또는 제제가 화재 위치로 향하는 스트리밍 응용 (예를 들어, 시판되는 핸드-헬드(hand-held) 소화기)을 포함하는 응용에서 화재 예방 산업에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한 소화제(extinguishing agent)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물과는 달리 "클린(clean) 소화제"로서 기능하여, 인클로저 또는 그의 내용물에 손상을 (있다 하더라도) 거의 주지 않는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할로겐화 탄화수소 소화제는 브롬-함유 화합물인 브로모트라이플루오로메탄 (CF3Br, 하론(Halon)1301) 및 브로모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탄 (CF2ClBr, 하론1211)이었다. 이들 브롬-함유 할로카본은 화재를 소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휴대용 스트리밍 장비로부터 또는 수동으로 또는 몇몇 화재 감지 방법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 전역 플러딩 시스템(automatic total flooding system)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분자 구조 내의 Br 및 Cl 원자의 존재로 인해, 이들 화합물은 성층권 오존의 파괴 ("오존 고갈")와 연관되어 왔다. 몬트리올 의정서 및 그의 부속 개정안은 하론1211 및 하론1301 생산을 중단할 것을 명령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층권 오존의 고갈로 이어지지 않는 소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분야에서는 보통 사용되는 브롬-함유 소화제에 대한 대용물 또는 대체물이 필요하다. 그러한 대용물은 오존 파괴 지수(ozone depletion potential; ODP)가 낮아야 하고; 화재, 예를 들어, 클래스 A (쓰레기, 목재, 또는 종이), 클래스 B (인화성 액체 또는 그리스), 및/또는 클래스 C (통전된 전기 장비) 화재를 효율적으로 소화, 제어, 및 예방하는 능력을 가져야 하고; "클린 소화제"이어야 하며, 즉,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이어야 하고, 휘발성 또는 가스상이어야 하고, 사용 후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대용물은 또한 독성이 낮고, 공기 중에서 인화성 혼합물을 형성하지 않고, 소화 응용에서의 사용을 위해 허용가능한 열안정성 및 화학 안정성을 가질 것이다. 또한, 적합한 하론 대체물은 기후 변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나타내어야 하며, 즉 지구 온난화에 크게 기여하지 않아야 하며, 이는 낮은 지구 온난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GWP)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문헌[M. L. Robin, "Halogenated Fire Suppression Agents", in Halon Replacements: Technology and Science, A. W. Miziolek and W. Tsang, eds., ACS Symposium Series 611,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August 1994, Chapter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상이한 플루오르화 탄화수소가 소방 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카본 (HBFC)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HCFC)이 하론 제제에 대한 대용물로서 제안되어 왔다. 소화제로서 효과적이며 하론 제제에 비해 더 낮은 ODP를 특징으로 하지만, HBFC 및 HCFC는 여전히 성층권 오존의 파괴에 기여하며, 그 결과로 그들의 사용 및 생산은 단계적으로 중단되도록 예정되었다.

미국 특허 제5,124,053호에는, 소화제로서의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HFC)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HFC는 효율적인 화재 진압, 0의 ODP, 낮은 독성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클린" 제제이어서 사용 후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다. 그러나, HFC는 중간 GWP를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지구 온난화에 다소 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구 온난화에 크게 기여하지 않는 소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플루오로올레핀은, 나파(Nappa) 등의 미국 특허 제8,287,75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방 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화학식 E- 또는 Z-R1CH=CHR2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6 퍼플루오로알킬 기임)의 플루오로올레핀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루오로올레핀은 지구 온난화 지수가 약 50 미만이고, 상기 화염 진압 조성물은 오존 파괴 지수가 0.05 이하임 - 이 하론 제제에 대한 대용물로서 제안되어 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연소 물질(burning material)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이 개시되는데, 본 방법은 (a) 불활성 가스 및 (b)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별도의 용기 내에 압축 액체로서 저장된 플루오로올레핀을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및 (b)는 화재를 소화하기에 충분한 합계 농도로 전달되고, 불활성 가스 (a)는 5%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화합물 (b)는 1%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연소 물질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이 개시되는데, 본 방법은 (a) 불활성 가스 및 (b)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별도의 용기 내에 압축 액체로서 저장된 플루오로올레핀을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및 (b)는 화재를 소화하기에 충분한 합계 농도로 전달되고, 불활성 가스 (a)는 5%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화합물 (b)는 1%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이 개시된다.

많은 태양 및 실시 형태가 상기에 기재되어 있고 이는 단순히 예시적이며 비제한적이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태양 및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할 것이며 구체적인 용어가 이를 기술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된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원리의 그러한 변경, 추가적인 수정 및 응용이 일반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플루오로올레핀/불활성 가스 소화 시스템의 사용은 상기에 기재된 문제들을 없애거나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합한 실린더에 저장된 플루오로올레핀 화재 진압 제제 및 적합한 제2 실린더에 저장된 불활성 가스 화재 진압 제제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화 방법이 제공된다. 플루오로올레핀 실린더 및 불활성 가스 실린더 둘 모두는 보호되는 위험물(hazard) 내에 위치된 배출 노즐에 적절한 배관 및 밸브를 통해 연결된다. 화재 감지 시에, 진압 시스템이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및 불활성 가스 제제는 그들 각각의 저장 실린더로부터 동시에 방출되어, 보호되는 위험물로 플루오로올레핀 및 불활성 가스가 동시에 전달되게 한다. 전형적인 감지 시스템, 예를 들어 연기 감지기, 적외선 감지기, 공기 샘플링 감지기 등이 진압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위험물에 적절하다고 간주되는 경우 감지와 제제 전달 사이의 지연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화재 감지 시에 불활성 가스 제제가 먼저 인클로저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나중에, 즉 특정 화재 시나리오(scenario)의 필요에 따라 불활성 가스 방출 동안 또는 방출 후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는 바와 같이, "플러딩" 방법을 사용하는 소화는 화재가 감지된 전체 인클로저 또는 공간(room)을 플러딩하기에 충분한 소화제(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인클로저 내의 가스들의 완전한 혼합을 가정하면, 연소 물질에서의 소화제(들)를 포함하는 가스들의 조성은 인클로저 내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의 가스들의 조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명확하게는, 화재가 소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연소 물질에서의 가스들의 조성이고, 소화 과정 초기에는 인클로저에서의 가스들의 혼합이 균질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된 청구범위는 "연소 물질에서의" 가스 조성을 언급한다.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배관 시스템을 통해 제제가 전달되도록 딥 튜브(dip tube)가 장착된 통상적인 화재 진압 제제 저장 실린더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업계 전반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실행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의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질소 또는 다른 불활성 가스와 함께 전형적으로 360 또는 600 psig의 수준으로 초가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가압 시스템에 연결된 적합한 실린더 내에 순수한 물질로서 저장될 수 있다.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주위 온도에서 그의 자체 평형 증기압 하에서 저장 실린더 내에 순수한 액화 압축 가스로서 저장되고, 화재 감지 시에, 플루오로올레핀 제제 실린더는 적합한 수단에 의해 가압되며, 일단 원하는 수준으로 가압되면 제제 전달이 작동된다. 인클로저로 화재 진압 제제를 전달하는 그러한 "피스톤 유동"(piston flow)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퍼플루오로카본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화재 진압 제제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로빈(Robin) 등의 미국 특허 제6,112,822호 (2000.09.05)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구체적인 플루오로올레핀 제제에는 (1) 화학식 E- 또는 Z-R1CH=CHR2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6 퍼플루오로알킬 기임)의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 (2)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 및 (3)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에는 E 및 Z-CF3CH=CHCF3, E 및 Z-CF3CH=CHCF2CF3, E 및 Z-(CF3)2CFCH=CHF, E 및 Z-(CF3)2CFCF=CHF, E 및 Z-(CF3)2CH=CHCF3, E 및 Z-CF3CF2CH=CHF, E 및 Z-CF3CF2CF=CHF, 및 CF3CH=CHF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에는 E 및 Z-CF3CH=CHCl 및 CF3CCl=CH2,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화합물에는 E 및 Z-CF3CH=CHBr 및 CF3CBr=CH2,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용한 구체적인 불활성 가스에는 질소, 아르곤, 헬륨, 이산화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불활성 가스 소화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은 불활성 가스를 소화에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화에 필요한 것보다 낮은 농도로 불활성 가스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불활성 가스 제제를 소화 그 자체 이외의 것을 위해 이용하기 때문에, 불활성 가스 제제는 소화에 필요한 높은 농도로 이용될 필요가 없다. 더 낮은 불활성 가스 농도를 사용하면, 위험물의 보호에 더 적은 수의 불활성 가스 실린더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 비용이 감소된다. 더 적은 수의 불활성 가스 실린더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린더를 수용하는 데 더 작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다. 더 적은 불활성 가스 제제가 인클로저 내로 방출되기 때문에, 인클로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감소되고, 인클로저 내의 산소 수준이 독성 수준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연소 물질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53%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내지 6%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34%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3% 내지 9%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24%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3% 내지 9%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53%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34%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내지 24%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8% 내지 20%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3% v/v 이하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는 5% v/v 이상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플루오로올레핀은 1% 내지 6% v/v의 농도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 및 플루오로올레핀은 연소 물질에서의 산소 농도를 부피/부피 기준으로 20%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 방법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불활성 가스 및 플루오로올레핀은 연소 물질에서의 산소 농도를 부피/부피 기준으로 16% 내지 20%의 범위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된다.

상기의 이점에 더하여, 본 발명은 통상적인 플루오로올레핀 화재 진압 시스템의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예상외로 더 낮은 플루오로올레핀 농도에서 소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는 고가이고 플루오로올레핀 화재 진압 시스템의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현저하게 낮아진 전체 시스템 비용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문헌[M. Robin and Thomas F. Rowland, "Development of a Standard Cup Burner Apparatus: NFPA and ISO Standard Methods, 1999 Halon Options Technical Working Conference, Apr. 27-29, 1999, Albuquerque, N.Mex]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컵 버너(cup burner) 장치에서 n-헵탄 화염의 소화에 필요한 E-(CF3)2CFCH=CHF (E-1,3,4,4,4-펜타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1-부텐, E-HFO-1438ezy)의 농도에 대한 산소 수준 감소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컵 버너 방법은 가스상 소화제의 소화 농도를 결정하는 표준 방법이며, 미국 국내 및 국제 화재 진압 표준 둘 모두, 예를 들어 클린 제제 소화 시스템(Clean Agent Fire Extinguishing System)에 대한 NFPA 2001 표준 및 ISO 14520: 가스상 소화 시스템(Gaseous Fire-Extinguishing System)에 채택되었다. 산소, 질소 및 E-HFO-1438ezy의 혼합물은 28 mm (OD) 연료 컵 주위로 85 mm (ID) 파이렉스(Pyrex) 연통(chimney)을 통해 유동하였다. 연통은 533 mm 길이의 85 mm ID 유리 파이프로 이루어졌다. 컵은 45도 각도로 연마된 내부 에지(inner edge)를 가졌다. 와이어 메시 스크린 및 3 mm (OD) 유리 비드의 76 mm (3 인치) 층을 이용하여 공기, 질소 및 E-HFO-1438ezy의 철저한 혼합을 제공하였다. n-헵탄을 실험실 잭(jack)에 장착된 250 mL 분별 깔때기로 이루어진 액체 연료 저장조로부터 컵 버너로 중력 공급하여, 컵 내에 조정가능하고 일정한 액체 연료 수준을 가능하게 하였다. 연료를 프로판 미니-토치로 점화하고, 연통을 장치 상에 놓고, 산소 및 질소 유동을 개시하였다. 이어서, 컵의 연마된 내부 에지가 완전히 덮이도록 연료 수준을 조정하였다. 90초의 예비연소 기간을 두었고, E-HFO-1438ezy 유동의 증가 사이에 10초의 대기 기간을 두고 산소/질소 스트림 내의 E-HFO-1438ezy 농도를 작은 증분으로 증가시켰다. 화염 진화 후에, 사용된 연료를 배출하고, 새 연료로 시험을 수회 반복하였다. 화염 진화 직후에, 컵의 주둥이 근처 지점에서 가스 스트림의 샘플을 정밀 가스 시린지에 수집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하였다. 표준물을 준비하여 보정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표 1의 결과는 통상적인 불활성 가스 또는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진압 시스템과 비교하여 낮아진 양의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를 사용하여 화염 소화가 달성됨을 나타낸다. n-헵탄 화염을 질소 단독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32.2% v/v 질소의 질소 농도가 필요할 것이다 [NFPA 2001, 표 A.5.4.2(a)]. 본 발명의 불활성 가스와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의 조합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산소 농도가 18.3% v/v로 감소된 실행 3의 조건 하에, 12.4% v/v (O2 함량을 20.9 ― 20.9*12.4 = 18.3%로 감소시킴)의 질소 첨가 농도 및 3.0%의 E-HFO-1438ezy 농도에서 소화가 제공된다. 따라서, 질소 및 E-HFO-1438ezy 둘 모두에 대한 요건은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고, 이는 사람들에게 위험한 대기 조건을 피하면서 전체 시스템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것이다.

실시예 2

E-CF3CH=CHCF3 (E-1,1,1,4,4,4-헥사플루오로-2-부텐, E-HFO-1336mzz)을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결과가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을 사용하면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의 요건이 통상적인 시스템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표 2]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실시예 3

E-CF3CH=CHCl (E-1-클로로-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펜, E-HCFO-1233zd)을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을 사용하면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의 요건이 통상적인 시스템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표 3]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실시예 4

E-(CF3)2CFCH=CHF (E-1,3,4,4,4-펜타플루오로-3-트라이플루오로메틸-1-부텐, E-HFO-1438ezy)를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으로서 이용하고 질소 대신에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결과가 표 4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을 사용하면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의 요건이 통상적인 시스템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산화탄소 그 자체에 의한 n-헵탄 화염의 소화는 28% v/v CO2를 필요로 할 것이다 [NFPA 12, 표 5.3.2.2].

[표 4]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실시예 5

E-HFO-1336mzz를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으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4를 반복한다.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을 사용하면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의 요건이 통상적인 시스템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산화탄소 그 자체에 의한 n-헵탄 화염의 소화는 28% v/v CO2를 필요로 할 것이다 [NFPA 12, 표 5.3.2.2].

[표 5]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실시예 6

E-HCFO-1233zd를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으로서 이용하여, 실시예 4를 반복하였다. 결과가 표 5에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을 사용하면 불활성 가스 및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제제 둘 모두의 요건이 통상적인 시스템에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산화탄소 그 자체에 의한 n-헵탄 화염의 소화는 28% v/v CO2를 필요로 할 것이다 [NFPA 12, 표 5.3.2.2].

[표 6]

전기화재 진압 방법 - jeongihwajae jin-ab bangbeob

표 1 내지 표 6의 분석은, 이들 화재의 소화가 (1) 산소 농도를 소정 수준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불활성 가스 및 (2) 불활성 가스와 조합시 화재의 소화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농도의 양의 플루오로올레핀 제제를 화재로 전달함으로써 달성됨을 나타낸다.

화재시, 약 10% 내지 약 20% v/v 산소, 바람직하게는 약 14% 내지 20% v/v 산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 활동이 손상되지 않는 대기를 제공하기 위해, 약 16% 내지 약 20% v/v 산소의 범위의 수준으로 산소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불활성 가스가 전달된다.

21% v/v 산소의 주위 산소 수준을 가정하면, 10% 내지 20% 산소로의 감소는 약 52.4 내지 4.8% v/v의 불활성 가스 농도를 필요로 할 것이다. 14% 내지 20% v/v로의 산소 수준의 감소는 33.3 내지 4.8%의 불활성 가스 농도를 필요로 할 것이다. 16% 내지 20% v/v로의 산소 수준의 감소는 23.8 내지 4.8%의 불활성 가스 농도를 필요로 할 것이다.

소화에 필요한 플루오로올레핀의 농도는 이용되는 특정 플루오로올레핀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표 1로부터, E-HFO-1438ezy의 경우에, 필요한 농도는 약 1% 내지 6% v/v,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4% v/v의 범위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설명 또는 실시예에서 상기에 기재된 모든 작용이 요구되지는 않으며, 특정 작용의 일부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기재된 것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의 작용이 수행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작용들이 열거된 순서는 반드시 그들이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개념들이 기재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며, 모든 그러한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이득, 다른 이점, 및 문제 해결책이 특정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재되었다. 그러나, 이득, 이점, 문제 해결책, 및 임의의 이득, 이점, 또는 해결책을 유발하거나 더 명확해지게 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범위의 중요하거나, 요구되거나, 필수적인 특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함을 위해 별개의 실시 형태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소정 특징들이 조합되어 단일 실시 형태로 또한 제공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역으로, 간략함을 위해 단일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다양한 특징들이 별개로 또는 임의의 하위 조합으로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범위로 기술된 값들의 언급은 그 범위 내의 각각의 값 그리고 모든 값을 포함한다.

Claims (21)

  1. 연소 물질(burning material)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플러딩(flooding) 방법으로서, (a) 불활성 가스 및 (b)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올레핀, 하이드로브로모플루오로올레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별도의 용기 내에 압축 액체로서 저장된 플루오로올레핀을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a) 및 (b)는 화재를 소화하기에 충분한 합계 농도로 전달되고, 불활성 가스 (a)는 5%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고, 화합물 (b)는 1% v/v 이상의 농도로 상기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스 (a) 및 (b)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의 소화 농도 미만으로 전달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은 E 및 Z-CF3CH=CHCF3, E 및 Z-CF3CH=CHCF2CF3, E 및 Z-(CF3)2CFCH=CHF, E 및 Z-(CF3)2CFCF=CHF, E 및 Z-(CF3)2CH=CHCF3, E 및 Z-CF3CF2CH=CHF, E 및 Z-CF3CF2CF=CHF, 및 CF3CH=CHF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은 화학식 E- 또는 Z-R1CH=CHR2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6 퍼플루오로알킬 기임)의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올레핀은 E 및 Z-CF3CH=CHCl 및 CF3CCl=CH2,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올레핀은 E 및 Z-CF3CH=CHBr 및 CF3CBr=CH2,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화합물 (b)를 연소 물질로 전달하기 전에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b)는 불활성 가스를 연소 물질로 전달하기 전에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 및 화합물 (b)는 동시에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질소, 아르곤, 헬륨, 이산화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가스 (a) 및 (b)는 연소 물질에서의 산소 농도를 20% v/v 미만으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가스 (a) 및 (b)는 연소 물질에서의 산소 농도를 16% 내지 20% v/v의 범위로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는 약 5% 내지 약 53% v/v의 범위이고,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화합물 (b)의 농도는 약 1% 내지 약 6% v/v의 범위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는 약 5% 내지 약 34% v/v의 범위이고,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화합물 (b)의 농도는 약 3% 내지 약 9% v/v의 범위인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는 약 5% 내지 약 24% v/v의 범위이고, 상기 연소 물질에서의 화합물 (b)의 농도는 약 3% 내지 약 9% v/v의 범위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가 약 5% 내지 약 53% v/v의 범위로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가 약 5% 내지 약 34% v/v의 범위로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가 약 5% 내지 약 24% v/v의 범위로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농도가 약 8% 내지 약 20% v/v로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불활성 가스는 연소 물질에서의 불활성 가스 농도가 53% v/v 이하로 되는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b)는 연소 물질에서의 화합물 (b)의 농도가 약 1% 내지 약 6% v/v의 범위로 되기에 충분한 양으로 연소 물질로 전달되는, 방법.

KR1020187005349A 2015-07-31 2016-07-25 화재 진압 방법 KR20180034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US201562199449P 2015-07-31 2015-07-31
US62/199,449 2015-07-31
PCT/US2016/043818 WO2017023591A1 (en) 2015-07-31 2016-07-25 Method for the suppression of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80034542A true KR20180034542A (ko) 2018-04-04

Family

ID=5656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7005349A KR20180034542A (ko) 2015-07-31 2016-07-25 화재 진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 US20170028240A1 (ko)
EP (1) EP3328508A1 (ko)
KR (1) KR20180034542A (ko)
SG (1) SG10202000888XA (ko)
WO (1) WO2017023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A2955471A1 (en) * 2014-08-12 2016-02-18 The Chemours Company Fc, Llc Azeotropic and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hfo-e-1,3,4,4,4-pentafluoro-3-trifluoromethyl-1-butene and uses thereof
WO2018208832A1 (en) * 2017-05-08 2018-11-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fo-1224yd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CN114558269A (zh) * 2017-05-08 2022-05-31 霍尼韦尔国际公司 灭火组合物、系统和方法
CN107982837A (zh) * 2017-11-16 2018-05-04 浙江信达可恩消防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六氟丁烯气体灭火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346203B1 (en) * 2000-02-15 2002-02-12 Pcbu Services, Inc. Method for the suppression of fire
GB2370766A (en) * 2001-01-09 2002-07-10 Kidde Plc Fire and explosion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generating a fine mist of liquid suppressant entrained in inert gas
US8287752B2 (en) * 2005-11-01 2012-10-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ire extinguishing and fire suppression compositions comprising unsaturated fluorocarbons
US20130075063A1 (en) * 2011-09-26 2013-03-28 Ryan Hulse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cis-1,3,3,3-tetrafluoropropene and 1,1,1,3,3-pentafluoropropane
US10022576B2 (en) * 2013-03-13 2018-07-17 Arkema Inc. Methods for purifying and stabilizing hydrofluoroolefins and hydrochlorofluoroolefins
  • 2016
    • 2016-07-25 WO PCT/US2016/043818 patent/WO20170235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25 EP EP16745980.9A patent/EP332850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7-25 SG SG10202000888XA patent/SG10202000888XA/en unknown
    • 2016-07-25 KR KR1020187005349A patent/KR20180034542A/ko unknown
    • 2016-07-25 US US15/218,201 patent/US20170028240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170028240A1 (en) 2017-02-02
SG10202000888XA (en) 2020-03-30
WO2017023591A1 (en) 2017-02-09
EP3328508A1 (en) 201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7223351B2 (en) 2007-05-29 Fire extinguishing mixtures, methods and systems
KR20180034542A (ko) 2018-04-04 화재 진압 방법
JP2008023350A (ja) 2008-02-07 消火用組成物、および燃えている物質の火を鎮火するためのその供給方法
US20180318624A1 (en) 2018-11-08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ko)
US20200147432A1 (en) 2020-05-14 Fire extinguishing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WO2015048604A1 (en) 2015-04-02 Fire extinguishing and fire suppression compositions comprising 3-chloro-1,1,1-trifluoropropene
EP0447538A1 (en) 1991-09-25 Fire extinguishant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bromodifluoromethane
WO1991002564A1 (en) 1991-03-07 Fire extinguishing methods and blends utilizing hydrofluorocarbons
WO2020072721A1 (en) 2020-04-09 Compositions comprising 1,2-dichloro-1,2-difluoroethylene for use in fire suppression applications
AU2002237679B2 (en) 2007-08-16 Fire extinguishing methods utilizing hydrofluoroethers
(ko)
(ko)
(ko)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