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환경측정 분진 기준 - jag-eobhwangyeongcheugjeong bunjin gijun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의 규정에 의하여 작업장에서 작업 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근로자가 얼마나 노출되는지를 측정ㆍ평가 한 후 시설 설비 등을 개선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생산성 향상에 기함

작업환경측정 대상 작업장은?

  • 상시근로자 1인 이상 고용사업장으로서 소음, 분진(6종), 고열, 금속가공유, 화학물질(182종) 등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옥ㆍ내외 작업장
    ※ 시행규칙 별표11의3(191종) 참조(www.molab.go.kr)
  • 단, 아래의 경우에는 측정대상에서 제외
  • 임시작업(월24시간 미만) 및 단시간작업(1일1시간 미만): 보건규칙 제166조
  •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허용소비량을 초과하지 않는 작업장: 보건규칙167조
  • 분진적용제외 작업장: 보건규칙 제4조

작업환경측정은 어느 때 실시하는가 ?

  • 작업장 또는 작업 공정이 신규로 가동되거나 변경되는 등으로 대상작업장이 된 경우 30일 이내 실시(‘04.1.1부터 적용)하고, 그 후 매 6월마다 실시
  • 단 아래의 경우에는 측정주기를 조정
  • 3월1회 : 발암성 물질이 노출기준을 초과하거나 기타 화학물질이 노출기준 2배 이상
  • 1년1회 : 최근 1년간 공정변경 등 작업환경측정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화가 없고, 최근 2회 측정결과 노출기준 미만인 사업장

작업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자격은?

  • 당해 사업장 소속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가진자
  • 지방노동관서에서 지정한 작업환경측정기관과 계약에 의하여 실시

작업환경측정방법은?

  • 개인시료포집(근로자가 측정기기를 착용, 호흡기 위치에서 측정)을 원칙
  • 개인시료 포집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지역시료 포집방법(측정기기를 일정한 지역에 고정시켜 측정)을 사용
  • 1일 작업시간 동안 6시간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6시간이상 연속 분리하여 측정
  • 6시간 미만 측정이 가능한 경우 : 유해물질 발생시간이 6시간이내 또는 간헐적 작업인 경우, 단시간 노출기준이 설정된 물질로서 단시간 고농도에 노출될 경우

측정시 노.사가 지켜야 할 사항은?

  • 작업장의 유해공정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공정 및 유해인자가 측정에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정상적인 작업상태 하에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협조
  •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 의결
  • 작업환경측정결과를 게시판 부착, 사보에 게재, 집합교육, 기타의 방법으로 근로자에게 고지
  • 근로자대표의 요구가 있는 경우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한 기관으로 하여금 측정결과에 대한 설명회 개최

작업환경측정 결과 강구해야 할 조치

측정 평가 결과에 따라 강구해야 할 조치

측정 평가 결과에 따라 강구해야 할 조치평가결과강구해야 할 조치노출기준미만
노출기준 초과가능
(Possible Overexposure)
노출기준 초과현재의 작업상태 유지
재측정, 시설설비등 작업방법의 점검후 개선 및 적정보호구 지급
시설․설비 등에 대한 개선대책수립 시행 및 적정보호구 지급

작업환경 개선요령

작업환경 개선요령개선대상개 선 방 법세부개선요령화학물질
(유기용제, 분진, 특별관리물질, 허가대상물질 등)

  • 유해물질 발산을 억제
  • 유해물질 비산을 억제
  •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
  • 원료의 대체와 사용억제
  • 생산공정, 작업방법의 개선
  • 적정한 작업량의 확보
  • 발생원 밀폐 및 포위
  • 발생원과 작업장의 격리
  • 국소배기 및 전체환기설비 설치
  •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근본적 대책수립시까지 임시대책으로 보호구 착용
소음
고온
  • 소음원의 제거
  • 소음의 저감화
  • 흡음 및 차음설비 설치
  • 소음원과 작업자의 격리
  •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
  • 기계 등의 소음발생요인 제거
  • 작업방법, 공정의 개선, 재료의 변경
  • 엔진의 흡기, 배기, 강제송풍 등 소음발생원의 소음기 부착
  • 실내의 내벽에 흡음재료 부착 또는 차음벽의 설치, 소음원의 밀폐
  • 설비의 자동화, 원격조작 등에 의한 소음원 격리
  •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근본적 대책수립시까지 임시대책으로 보호구 착용

반응형

< 작업환경측정의 목적 >

○ 정 의

작업환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당 근로자 또는 작업장에 대하여 사업주가 측정계획을 수립한 후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평가 하는 것(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5)

○ 목 적

인체에 해로운 작업을 하는 작업장의 유해인자 발생수준이나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정도를 측정평가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함

① 유해요인에 대한 근로자의 노출정도 파악

② 일상적인 작업환경의 정기적인 측정평가

③ 신규설비, 원재료, 작업방법 등의 평가

④ 작업환경개선 효과 확인

⑤ 국소배기장치 등 환기설비의 성능 점검

⑥ 특수건강진단결과 등에 의한 현장 실태의 재점검

※ 법적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42, 시행령 제32조의3부터 제32조의6까지, 시행규칙 제93조부터 97조의4까지,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고시)

작업환경측정 분진 기준 - jag-eobhwangyeongcheugjeong bunjin gijun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환경측정 제도, 방법, 시기, 횟수, 측정 자격

< 측정시기 및 횟수(시행규칙 제93조의4) >

○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가 있는 작업장 또는 작업공정에 대하여 신규로 가동되거나 변경되는 사유 등으로 측정대상 작업장이 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작업환경측정을 하고, 그 후 6개월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작업환경을 측정하여야 함

- 다만, 보건진단기관이 보건진단을 실시할 때에 작업장의 유해 인자 전체에 대하여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작업환경측정을 한 경우에는 사업주는 당해 측정주기에 실시하여야 할 작업환경측정을 별도로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음

*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세부 유해인자는 [붙임1] 참조)

작업환경측정 분진 기준 - jag-eobhwangyeongcheugjeong bunjin gijun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환경측정 제도, 방법, 시기, 횟수, 측정 자격

○ 전회(前回) 측정을 완료한 날부터 다음의 간격을 두어야 함

작업환경측정 분진 기준 - jag-eobhwangyeongcheugjeong bunjin gijun
산업안전보건법의 작업환경측정 제도, 방법, 시기, 횟수, 측정 자격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제4(측정실시 시기 및 기간)

 

○ 주기단축

- 작업환경측정결과가 화학적 인자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한 경우 다음 경우에 해당하는 사업장은 그 측정일부터 3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함

① 화학적 인자(발암성 물질만 해당)를 취급하는 작업장 중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② 화학적 인자(발암성 물질은 제외)를 취급하는 작업장 중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2배 이상 초과하는 경우

○ 주기연장

- 최근 1년간 작업공정에서 공정 설비의 변경, 작업방법의 변경, 설비의 이전, 화학물질의 변경 등으로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화가 없는 경우 다음 조건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측정을 1년에 1회 이상 할 수 있음(발암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공정은 제외)

① 작업공정 내 소음의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최근 2회 연속 85㏈ 미만인 경우

② 작업공정 내 소음 외의 다른 모든 인자의 측정결과가 최근 2회 연속 노출기준 미만인 경우

○ 작업환경측정 제외 대상(시행규칙 제93)

① 임시작업1) 및 단시간 작업2)을 하는 작업장(발암성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은 제외)

②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허용소비량3)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작업장(그 관리대상 유해물질에 관한 작업환경측정만 해당)

③ 분진작업4)의 적용제외 작업장(분진에 관한 작업환경측정만 해당)

④ 그 밖에 작업환경측정대상 유해인자의 노출수준이 노출기준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경우5)

【용어 정리】

1) 임시작업 : 일시적으로 행하는 작업 중 월 24시간 미만인 작업. 다만, 10시간 이상 24시간 미만인 작업이 매일 행하여지는 작업은 제외

2) 단시간작업 :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에 소요되는 시간이 1 1시간 미만인 작업. 다만, 1 1시간 미만인 작업이 매일 행하여지는 작업은 제외

3) 허용소비량 : 작업시간 1시간 당 소비하는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양을 작업장의 공기의 체적(세제곱미터) 15로 나눈 양

4) 분진작업 : 산업보건기준에관한규칙 별표1에서 규정하고 있는 25종의 분진작업

5) 작업환경측정대상 유해인자의 노출수준이 현저히 낮은 경우 : 「석유 및 석유 대체연료 사업법」에 따른 주유소. 다만, 검진결과 직업병유소견자 또는 직업성질병자 발생, 근로자대표가 요구하는 경우로서 산업위생전문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는 측정 실시(노동부고시)

 

< 측정 자격(시행규칙 제93조의2) >

○ 사업장에 소속된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가진 사람

○ 노동부장관이 지정하는 측정기관에 가능

< 사업주의 의무 >

작업환경측정 실시 (법 제42조제1)

○ 사업주는 측정대상 작업장에 대하여 측정자의 자격을 가진 자로 하여금 측정을 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함

※ 지정측정기관에 위탁시 작업환경측정 및 작업환경측정에 따른 시료의 분석까지를 위탁하여야 함(법 제42조제4)

결과 보고 (시행규칙 제94)

○ 사업주는 측정을 실시한 때에는 작업환경측정결과보고서에 작업 환경측정결과표를 첨부하여 측정을 마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지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함

- 다만, 시료분석 및 평가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시료채취를 마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보고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그 사실을 증명하여 지방노동관서의 장에게 신고하면 30일의 범위에서 제출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

○ 또한 지정측정기관이 작업환경측정을 한 경우에는 시료채취를 마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작업환경측정결과표를 전자적인 방법(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입력한 자료)으로 지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하며, 이 경우 연장사유 및 그 증명서류를 제출하면 30일의 범위에서 제출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음

서류보존

○ 법 제42조의 규정에 의한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서류 : 3년간 보존(법 제64)

○ 시행규칙 제94조의 규정에 의한 작업환경측정결과를 기록한 서류 : 5년간 보존(시행규칙 제144)

- 다만, 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발암성 확인 물질에 대한 기록이 포함된 서류는 30년간 보존

근로자대표 입회 (법 제42조제1)

○ 사업주는 근로자대표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작업환경측정시 근로자대표를 입회시켜야 함

측정결과에 따른 조치 (법 제42조제3)

○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결과를 당해 작업장 근로자에게 알려야 하며

- 그 결과에 따라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당해 시설 및 설비의 설치 또는 개선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함

설명회 개최 (법 제42조제6)

○ 사업주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또는 근로자대표의 요구가 있는 경우

- 직접 또는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한 기관으로 하여금 작업환경 측정결과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하여야 함

 

<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에 의한 작업환경측정 방법 >

(노동부고시 제2009-78, ’09.12.14)

예비조사 및 측정계획서의 작성(19)

○ 원재료 투입과정부터 최종 제품생산 공정까지의 주요공정도식

○ 해당공정별 작업내용, 측정대상공정 및 공정별 화학물질사용 실태

○ 측정대상 유해인자, 유해인자 발생주기, 종사근로자 현황

○ 유해인자별 측정방법 및 측정 소요기간 등 필요한 사항

측정시간(18)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등 간격으로 나누어 6시간 이상 연속분리 측정하되, 다음의 각 경우는 예외로 할 수 있음.

1일 작업시간 중 대상물질의 발생시간이 6시간 이하이거나, 불규칙작업으로 6시간 이하의 작업 또는 발생원에서의 발생시간이 간헐적인 경우로서 발생시간동안 측정한 경우

②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단시간 노출기준 (Short-term exposure limit, STEL)이 설정되어 있는 대상 물질로서 단시간 고농도에 노출되는 경우로서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간격으로 4회 이상 측정한 경우

③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최고노출기준 (Ceiling, C)이 설정되어 있는 대상물질에 대하여 순간농도측정을 위한 기기를 이용하여 최고노출기준값의 측정이 가능한 최소한의 시간동안 실시한 경우. 다만, 순간농도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1회에 15분간, 1시간 이상의 등 간격으로 4회 이상 단시간 측정 가능

시료채취 근로자 수 (19)

○ 단위작업장소에서 최고 노출근로자 2명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하며(, 근로자가 1명인 경우는 제외), 동일 작업 근로자 수가 10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 5명당 1(1개 지점) 이상 추가하여 측정하여야 함.(동일 작업근로자수가 100명을 초과하는 경우 최대 시료채취 근로자수를 20명으로 조정 가능)

○ 지역시료채취의 경우 단위작업장소에서 2개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측정(단위작업장소의 넓이가 50㎡ 이상인 경우 매 30㎡마다 1개 지점 이상을 추가 측정하여야 함.

측정치의 단위(20)

○ 가스, 증기, 분진, , 미스트는 ppm 또는 mg/, 석면은 개/, 소음은 dB(A), 고열은 WBGT(℃)로 표시

 

작업환경측정과 관련된 산업안전보건법 가이드 자료

작업환경측정과 관련된 산업안전보건법.pdf

0.80MB

 

출처 : 고용노동부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알기 쉽게 설명한 노동법

저작자표시 비영리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 산업재해법, 산안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급식실 조리사의 폐암 발생(산재 전문조사 사례)  (0)2021.07.30급식실 조리사에서 발생한 폐암(산재 사례 조사 연구)  (0)2021.07.30철도안전교육의 산안법 정기교육 인정, 특별안전보건교육 16시간 대상 직종  (0)2021.07.08정기안전보건 특별교육, 인화성 유기용제 화학물질, 폭발성,물반응성, 보건관리자  (0)2021.07.07산업안전보건 위탁기관 등록, 강의실 면적, 강사 실무경력 자격증  (0)202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