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생활정보

'한글' 로 글자수 세기(원고지 매수 세기 포함)

오늘은 한글글자수 세기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문서 전체의 글자수 세기가 중요하신 거라면

따로 블록을 지정하고 복붙을 해서 굳이 

다른 글자수 세기 사이트에 가셔서

확인하시지 않아도 되는

아주 유용한 꿀팁이 되실 거에요.

글자수 세기와 더불어

글을 투고하거나 글짓기 대회 등

글자수 제한 조건을 내걸어 

원고지 매수 단위로 내가 쓴 글이 몇 매인지

아셔야 되실 상황도 있으실 텐데요,

예를 들어,

원고지 10매면 글자수는 몇 자인지? 

쪽수로는 몇 쪽에 해당되는지 등

원고지 매수에 맞는 글자수로도 글의 분량을 

파악해야할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때도 굉장히 유용한 기능이 한글에서 제공되니 

꼭 확인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정말 간단해요.

먼저 테스트할 문서를 소개합니다.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테스트할 문서.

테스트할 문서는 한글로 작성되었으며,

글자 포인트 10pt줄간격 160%이고,

총 7문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A4 용지로 따지면 대략 1쪽 분량이네요.

1) 문서정보 클릭

먼저, 아래의 그림과 같이

[파일]-[문서정보]를 차례차례 클릭해 주세요.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한글의 [파일]-[문서정보] 클릭하기.

2) [문서통계]를 클릭

문서 정보에서 '일반' 탭이 보이실 거에요.

'일반' 탭에서는 글이 저장된 위치, 크기, 

만든 날짜, 수정 날짜 등의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요.

3번째의 '문서 통계' 탭을 클릭해 주세요.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문서 통계 클릭.

3) 글자수, 원고지 매수 확인

한글에서는 문서 통계를 통해

공백이 포함된 글자수와

공백이 제외된 글자수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아래에 200자 기준 원고지 매수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문서 통계에서 글자수, 원고지 매수 확인하기.

테스트한 글의 경우

공백을 포함해 1,966자이며, 

원고지는 10.9장(거의 11장)이 나옴을

알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파악하시려면

원고지 1장이 200자 정도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특이한 점은 글자에 포함된 한자수쪽수,

표, 그림수, 문단 수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단수는 제가 문단바꾸기를 통해

7개라고 보는 것과는 다르게 한글에서는 17문단

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좀 격차가 있네요.

그래서 글자수 세기도 타당성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지 의심이 들어서 잡코리아의 글자수 세기를

이용해 보았습니다. 결과는 아래와 같아요.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잡코리아의 글자수 세기.

잡코리아에서는 공백을 포함해

1,971자로 보았습니다. 

한글의 1,966자와 불과 5자 차이가 날 정도로

한글에서의 글자수 세기 기능이 결코

부정확하지 않음을 잘 알 수 있습니다. 

한글의 문서통계 기능으로 글자수를 세는 기능

참 유용하죠?

글이 길어질 경우 복붙을 하지 않아도 되니

더욱 유용할 듯해요.

다만, 문서 전체에 대한 글자수 세기만 제공하니

부분적인 글자수 세기 기능은 

다른 사이트의 글자수 세기 기능을 이용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조금 아쉬운 부분이네요.

그럼, 도움되셨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한컴오피스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으로 문서작업을 하면서 글자수를 맞춰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서의 분량이 많을때에는 일일이 세는것이 힘들기때문에 자동으로 정리해서 보여주는 기능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아래한글 글자수 세기 또는 한글 단어수 세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과정이 간단하기때문에 여러분들도 쉽게 따라해볼 수 있을거에요.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일단은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글자수를 세어보기 위해서는 문서가 준비되어 있어야 할텐데요, 별도로 준비를 한것은 아니고 제가 며칠전에 작성했던 

포스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보았습니다. 한눈에 봐서는 문서의 분량이 어느정도 되는지 잘 가늠이 안되는데요, 정확하게 세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이제 화면 상단 좌측에 있는 [파일] 메뉴를 눌러줍니다. 하위항목들 중에서 [문서 정보] 항목을 눌러주세요. 단축키를 활용하시려면 [Ctrl + Q, I]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어떤식으로 표시되는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기본적으로는 [일반] 탭으로 되어있는데요 [문서 통계] 탭을 눌러서 통계영역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공백을 포함한 글자수, 공백을 제외한 글자수, 글자에 포함된 한자수, 낱말, 줄, 문단, 쪽, 원고지, 표, 그림, 글상자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원고지로 몇 장이 나오는지도 표시되는 것은 좀 신기하네요.

한글 블록 글자수 - hangeul beullog geuljasu

이번에는 블럭으로 지정한 영역의 글자수 알아보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문서에서 원하는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하시면, 화면 하단에서 몇 글자가 지정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을 보시면 총 894자 중에서 444자가 선택되었네요. 이것으로 한글 단어수 세기 및 글자수 세는방법에 대한 안내를 모두 마치도록 하구요, 남은 하루도 알차게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