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피 곰팡이 병 - gupi gompang-i byeong

#다이소 #물생활아이템 #종합개선제로 #구피 #곰팡이병을 치료했습니다. .2회 약욕에서 잘 되었습니다.다이소 수생활 약품을 믿을 수 있습니까?고민 많이 하셨죠? 국제 프리츠로 만든 제품입니다.​

구피 곰팡이 병 - gupi gompang-i byeong
>

국제 프리츠가 어딘지 모를 수도 있어요.근데 #물생할려라면 #골든엘바진은들어봤죠?골든엘바진을만든회사가 #국제프리츠약품이다ᄏ

>

한 방에 보시고 싶으시면 이쪽에서 확인하세요.곰팡이병에 걸린 구피의 홀로 #어항을 빙글빙글 도는 모습에서 #약욕방법 #계량방법 #완치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

>

전반적으로 한쪽이 하얗게 변했고, 백내장처럼 하얗게 변했어요. 어항을 맴돌던 곰팡이병으로 의심되는 구피약욕 후 빙글빙글 돌지 않고 다른 아기들처럼 생활합니다. ...

>

>

아프고 나서 수컷이 잘 따라다니지 않고 혼자 다녔는데 지금은 아무 문제가 없어요. ...


글감사냥꾼

[물생활] 열대어가 병에 걸렸다면? 예방이 중요~! 본문

물생활정보

[물생활] 열대어가 병에 걸렸다면? 예방이 중요~!

BlueSoul 2018. 7. 16. 15:01

■열대어의 질병

만약 키우고 있는 열대어가 병에 걸리면, 전염되는 속도는 엄청나게 빠르기도 하며 치료도 쉽지않기 때문에 열대어는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또한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질병들은 수질에 기인하며 좋은 수질을 공급해 주고 유지해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만약 병에 걸린 열대어가 있다면 치료법을 잘 숙지해 두었다가 치료제를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수초를 함께 기르고 있다면 치료약을 어항에 바로 투입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료약으로 인해 수초가 녹거나 해를 입게 되기 때문이다.

https://pixabay.com/

평소 어항을 자주 들여다 보면서 움직임이 이상한 물고기가 있는지, 몸이 하얗게 무엇인가 덮고 있는지, 수면 가까이 고개를 내밀고 움직임이 저하되었는지 또한 먹이반응이 약하고 비늘 색깔도 옅어 졌는지 늘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병이 걸린것으로 의심이 된다면 재빨리 격리시켜 두는것이 좋다. 만약 세균이나 기생충 감염에 의한 병은 전염가능성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다른 어항으로 옮기는 것을 추천한다. 집안에 남는 어항이 있다면 치료용으로 사용해도 좋다. 

■열대어의 격리

병에 걸린 열대어를 격리해주고 치료약을 넣어주며 상태를 지켭아야 하는데, 만약 부득이하게 본어항에 치료약을 넣었다면 물갈이를 해주거나 활성탄같은 여과재를 사용하여 잔여약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https://pixabay.com/

■열대어의 질병 종류

1)백점병

열대어의 감기라고도 하는 백점병은 가장 많은 질병발병율이 있다. 갑자기 저온수로 물갈이를 하거나 아침 저녁의 수온의 차이로 인해 열대어의 저항력이 감소할 때 잘 생긴다. 잘 발병 되지만 치료도 쉬운 편이다. 질병의 원인은 백점충에 의한 기생으로 열대어 개체가 바닥에 몸을 비비거나 긁는 행동을 하며 몸에 하얀 점 같은 것이 붙어 있어 발견이 쉽다.

치료방법 : 백점충의 번식을 막기 위해 수온을 28도 이상으로 올려 몇 일 지내보면 치료가 되는 편이며 발병 초기에 즉각 수온을 올려주어야 질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요즘은 다이소에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백점병치료제를 구입할 수 있으며 블루 색상은 메틸렌블루때문이며 심한 개체는 따로 격리시켜 담가주도록 한다.

[백점병 영상]

2)곰팡이병

수생균병이라고 하며 곰팡이균이 등, 몸에 기생하여 생기는 병이다. 아가미나 지느러미등에 하얀 곰팡이 같은것이 피어있으며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죽게 된다. 수질 악화로 인해 발병되며 수산용 페니실린을 이요한 약품으로 치료한다. 만약 곰팡이 병면이 크면 부드러운 거즈로 가볍게 닦아주고 약을 뿌려누다. 

C.F 텀블링병: 병에 걸린열대어는 제자리에서 뱅글뱅글 도는데 이를 텀블링병이라고 한다.

3)컬럼나리스, 네온테트라병

칼럼나리스에 걸리면 산소가 많은 곳에서 유영하고 힘없이 헤엄치기에 발견할 수 있으며 치사과 전염성이 높아서 바로 격리 시켜야 한다. 컬럼나리스균감염으로 발병하며 아가미기 상하고 거의 3일안에 죽는다. 

네온테트라병은 네온테트라가 잘 걸리며 꼬리의 시작점에 염증 비슷한 것이 나타난다. 지느러미가 녹기도 하며 기생충에 의한 감염으로 컬럼나리스와 함께 확실한 치료법은 없는 상태이다.

4)지느러미썩음병

비브리오, 에모나스 같은 세균에 의해 걸리며 지느러미가 썩거나 너덜해지게 된다.

5)마우스펑거스

입 주변에 곰팡이가 핀것처럼 돋는 것을 마우스펑거스라 한다.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질병으로 메틸렌블루, 페니실린등의 치료약을 사용한다. 수질오염이 큰 원인이다.

6)병원성 기생충, 원생동물

열대어와 함께 기생하는 기생충인 아아가미흡충, 닻벌레, 편모충등이 있는데, 플루벤다졸, 메트로니다졸을 이용하여 치료한다. 보이는 기생충이라면 직접 제거해 주는게 좋다.

■소금욕

치료에 맞는 치료약은 용량에 맞게 사용하며 남용하면 내성이 생겨서 치료가 어렵게 될 수 있다. 특히 고대어종류는 예민하기 때문에 적정 사용량의 절반이나 반의 반을 사용해 보도록 한다. 대부분 치료제가 없을때 소금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0.02% 정도의소금을 어항에 첨가하면 질병이나 기생충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소금의 삼투압작용은 수초에게는 해롭기때문에 열대어 사육 어항에만 투입한다. 임시방편으로 천연소금을 이용하여 질병 발병을 낮추고 질병을 낫게 할 수 있지만 어디가지나 임시방편일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구피 곰팡이 병 - gupi gompang-i byeong
https://pixabay.com/

■질병 예방

1)수질관리가 우선

대부분의 질병은 수질오염에 있기 때문에, 수질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시켜주는게 좋다. 어항에서 냄새가 나는지 살펴보고 많은 먹이를 주지 않아야 한다.

2)검역 필수

새로운 개체를 들일때에는 다른 어항에 넣어 검역을 하고 물맞댐을 하여 병에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가끔 새 물고기를 들여와서 다음날 어항 전체의 물고기들이 폐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 늘 서브 어항에 격리하여 최소 1주일 검역을 하고 본 어항에 넣어서 같이 기르도록 한다.


참고

열대어 기르기, 김영사 

열대어의 보석 구피, 씨밀레북스

처음 시작하는 열대어기르기, 코랄피시 편집부

열대어대백과,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