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공기청정기 가동시 미세먼지 81% 이상 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제공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81% 이상 실내 미세먼지(PM 2.5)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내면적보다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높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월27일부터 지난달 7일 사이 79.2㎡(24평형) 아파트 공간에서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을 한 결과, 실내면적에 맞는 적정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은 81.7%로 환기(46.2%)나 미세먼지가 저절로 가라 앉는 자연 강하(23.8%)에 견줘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또한 46㎡의 아파트 거실에서 ㄱ(적정용량 46㎡), ㄴ(과용량 66㎡), ㄷ(초과용량 105.6㎡) 등 용량이 다른 공기청정기 3종을 가동해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 적정용량의 ㄱ 공기청정기는 81.7%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반면 적정용량의 1.5배인 ㄴ 공기청정기는 92.9% 효율을 나타내 실내면적보다 1.5배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했을 때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5배를 초과하는 ㄷ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은 92.5%로 ㄴ 청정기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1.5배를 초과하는 과용량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에서 공기청정기기의 위치가 거실 중앙, 벽면, 모서리에 따라서 미세먼지 저감 효율 변화를 본 결과 가동 위치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기청정기 가까운 곳이나 먼 곳이나 미세먼지 농도에 차이가 없었다.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공기청정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환기장치 등을 동시 가동할 필요가 있다.

공기청정기 가동 때 초기에는 최대 바람량으로 10분 이상 가동한 뒤 10분 이후부터 중간 풍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용법이라고 보건환경연구원은 설명했다. 또한 바깥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자연 환기가 불가능할 경우는 환기장치와 주방 레인지후드, 욕실 배기 팬을 동시에 가동한 뒤 공기청정기를 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홍용덕 기자

환기장치·주방 레인지후드·욕실 배기팬 동시가동 효과적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아파트서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

(수원=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81% 이상 실내 미세먼지(PM 2.5)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다.

또 실내면적보다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

[경기도 제공]

특히 외부 대기 질 악화로 자연 환기가 불가능할 경우엔 실내 환기장치와 주방 레인지후드, 욕실 배기 팬을 동시에 가동한 뒤 공기청정기를 켜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월 27일부터 지난달 7일까지 열흘간 79.2㎡(24평형) 아파트 공간에서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을 했다.

실험은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의 미세먼지양을 측정해 실제 공기청정기의 효율, 공기청정기의 적정용량, 적절한 공기청정기의 위치,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공기청정기 이용법 등을 알아보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실험 결과 실내면적에 맞는 적정용량의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미세먼지 제거율은 81.7%로 환기(46.2%)나 자연 강하(23.8%)보다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실험 당시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환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 기여율은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공기청정기 효율 실험

[경기도 제공]

이와 함께 46㎡의 아파트 거실에서 A(적정용량.46㎡), B(과용량.66㎡), C(초과용량.105.6㎡) 등 용량이 다른 공기청정기 3종을 가동해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했다.

적정용량의 A 공기청정기는 81.7%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보인 반면 적정용량의 1.5배인 B 공기청정기는 92.9% 효율을 나타내 실내면적보다 1.5배 용량이 큰 공기청정기를 사용했을 때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5배를 초과하는 C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은 92.5%로 B 청정기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1.5배를 초과하는 과용량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거실 중앙, 벽면, 모서리 등 공기청정기의 가동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율 측정 결과, 가동 위치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기청정기 가까운 곳이나 먼 곳이나 미세먼지 농도에 차이가 없는 등 공간 전체의 제거효율은 동일한 것으로 측정됐다.

공기청정기 가동 시 초기에는 최대 바람량으로 10분 이상 가동한 뒤 10분 이후부터 중간 풍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효과적인 사용법이라고 보건환경연구원은 설명했다.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자연 환기가 불가능할 경우는 환기장치와 주방 레인지후드, 욕실 배기 팬을 동시에 가동한 뒤 공기청정기를 켜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분석했다.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올바른 공기청정기 사용법

[경기도 제공]

보건환경연구원은 이번 실험 결과가 담긴 홍보물을 배포해 올바르고 효율적인 공기청정기 사용법을 알릴 계획이다.

윤미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외부 공기 질이 나쁘지 않을 때는 자연 환기가 가장 좋은 실내 공기 질 유지 방법"이라며 "최근 미세먼지로 외부 공기 질이 좋지 않은 날이 많은 만큼 공기청정기를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도민들이 쾌적한 실내환경에서 생활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4/22 09:15 송고

고농도 미세먼지 시즌을 맞아 공기청정기는 집안 필수 가전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이제는 1가구 1공기청정기를 넘어, 방마다 공기청정기를 두는 시대가 됐습니다.

그런데 공기청정기, 왜 이렇게 비싼 걸까요? 안을 보면 필터와 팬밖에 없는 거 같은데 말이죠. 요즘에는 100만 원을 훌쩍 넘는 제품들도 적지 않습니다.

이렇게 만만치 않은 구매 비용 때문에 최소한의 부품만 가지고 공기청정기를 만들어 쓰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데요. 인터넷에도 DIY 공기청정기 제작 관련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에 먼지알지팀은 직접 DIY 공기청정기를 제작해봤습니다.

#공기청정기 제작기와 효과 실험은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5만 원이면 제작…한 달 전기료도 186원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조윤석 십년후연구소 소장이 직접 만든 소형 공기청정기 '은하수'를 들어보였다. 임현동 기자

지난달 19일 서울 마포구의 십년후연구소. 친환경 DIY 공기청정기인 ‘은하수 공기청정기’를 제작해 판매하는 곳입니다. 조윤석(54) 십년후연구소장이 스타트업 CAC에 소속된 나일해씨의 개발품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었다고 합니다.

“미세먼지의 40%는 전기를 생산하는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나오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전기를 사용하고 싶었고요. 3W의 소비전력만 쓰기 때문에 24시간 종일 가동해도 한 달 전기료는 186원에 불과할 정도로 적은 전기를 사용하죠.” - 조윤석 소장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DIY 공기청정기의 주요 구성품. [사진 왕준열]

부품은 정말 간단했습니다.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헤파필터와 먼지를 빨아들이는 팬, 팬과 필터를 연결하는 종이 프레임, 철제 안전망, 전원 어댑터, DC케이블, 나사, 전선연결캡이 전부입니다. 5만 원대면 이 부품을 전부 살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케이스도 없앴습니다.

팬은 컴퓨터 본체의 열을 식히는 데 사용되는 냉각팬을 활용했습니다. 조 소장은 “일반 PC용 팬보다 날개를 더 달아서 풍량이 조금 더 많이 나오고, 소음은 상대적으로 적은 거로 골랐다”며 “바람이 약한 거 같다며 환풍기를 다는 분들이 있는데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곤란하다”고 말했습니다.

필터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원통형 H12 등급 헤파필터를 사용했습니다. 초미세먼지를 99.5% 걸러주는 성능을 가진 필터입니다. 조 소장은 “13등급이 되면 그만큼 필터가 촘촘해 더 강력한 힘을 써야 하기 때문에 전기가 많이 필요하다”며“(에너지와 성능 사이에) 적당한 조화가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이 밖에 필터와 팬을 연결하는 프레임은 친환경 종이 재질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수치가 제일 낮은 접착제를 사용해서 제작했다고 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제작 가능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기자가 직접 제작한 DIY 공기청정기. [사진 왕준열]

이 부품들을 가지고 기자가 직접 DIY 공기청정기를 제작해 봤습니다.

나사를 이용해 종이프레임과 팬, 철제 안전망을 고정한 뒤에 케이블과 어댑터를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필터 위에 프레임을 얹으니 공기청정기가 완성됐습니다. 제작에 걸린 시간은 불과 3분. 초보자도 쉽게 만들 수 있을 만큼 제작 과정은 간단했습니다.

전원을 연결하니 팬이 돌아가면서 주변 공기를 빨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휴지가 필터에 달라붙을 정도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도 꽤 강했습니다.

조 소장은 “필터의 정전기로 미세먼지를 잡는데 바람이 지나가면서 먼지들이 필터 옆에 달라붙는 것”이라며 “바람이 너무 세면 오히려 먼지가 안 붙고 지나가기 때문에 최적화된 풍량 상태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작은 공간서 미세먼지 매우나쁨→좋음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파티클 가시화 장비로 확인한 DIY 공기청정기 가동 전후의 미세먼지 모습. [사진 왕준열]

그렇다면 DIY 공기청정기는 실제로 집안 미세먼지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을까요? 십년후연구소는 실제 10평 남짓한 실내 공간에서 DIY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실험했는데요.

미세먼지 간이측정기를 통해 공기청정기 사용 전후의 실내 초미세먼지(PM2.5) 수치를 비교했습니다. 실험 결과, 가동 전 72~95㎍/㎥로 ‘매우 나쁨(76㎍/㎥~)’ 수준이었던 실내 공기가 공기청정기를 가동한 지 20분이 지나자 ‘좋음(~15㎍/㎥)’ 수준인 15㎍/㎥까지 떨어졌습니다.

미세입자를 눈으로 볼 수 있는 ‘파티클 가시화 장비’로 실제 미세먼지가 얼마나 정화되는지를 확인해보니 가동 이후 공기청정기 주변의 미세입자가 확연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조 소장은 “(난방하면) 방 안의 공기가 밑에서 위로 상승하면서 순환하는데, 이런 방안의 자연대류 흐름에 맞춰 팬으로 바람을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효율을 높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일반 공기청정기와 비교해 넓은 공간을 정화할 수 없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그는“원룸 크기인 5평 정도의 공간에서 30분 안에 외부 미세먼지 농도의 50%까지 떨어뜨릴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우리 DIY 공기청정기의 목표는 거실이나 근사한 공간이 아니라 작은 방이라든지 청년들이 주로 사는 원룸에 놓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천권필 기자

공기청정기 먼지제거 효과 - gong-gicheongjeong-gi meonjijegeo hyogwa

먼지알지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mgrg.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