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 비료 역할 - gali bilyo yeoghal

칼리1. 칼리(가리,칼륨)의 기능과 칼리질 비료의 종류에 따른 특성

칼리는 광합성과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형성, 축적, 이동과 관계가 많고 생장점, 형성층, 생식기관 형성부근에 많이 존재하며,

개화결실을 촉진하는 활성제(活性劑 :activator) 역할로 세포속의 염분과 수분의 균형(팽압)을 유지시켜 수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그림14-1).

칼리질 비료로 사용되는 주요 원료와 비료에는 염화칼륨(0-0-60+Cl), 황산칼륨(0-0-52+S), 질산칼륨(13-0-46) 등이 있으며, 염화갈륨은 염도가 높고 황산칼륨과 질산칼륨은 염도가 낮아 원예작물에 적합하다.

특히 딸기, 양파, 감귤, 사과, 순무 등 염류에 민감한 작물에는 염화칼륨 원료 보다는 황산칼륨 또는 질산칼륨 원료로 구성된 밀라나 두프로 복합비료들이 일반 염화가리가 함유된 비료를 활용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그림14-2).

한편 염화칼리는 염류가 높으므로 담수상태에서 재배하는 수도작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담수상태에서는 비료 농도가 경감되기 때문이다.

리2. 칼리의 토양내 이동성과 칼리질 구성성분 차이에 따른 수량성 비교

칼리는 토양내 점토함량에 따라 이동성이 다르다. 즉 사질토에서는 칼리이동성이 많아 유실이 많고, 점질에서 이동성이 적기때문에 토양내 CEC(양이온치완용량)가 높아져 비옥도(EC,비료세기)가 높아진다(그림15-1).

한편 칼리질 비료 엽면시비를 보면 인산 함유된 인산칼리를 엽면시비 한 것은 대조구보다 건물중이 증가하였으나 염화나트륨을 추가로 첨가하였더니 대조구 보다 수량이 감소하였다(그림15-2). 그러므로 염화나트륨, 염화칼리 사용은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겠다.

토경재배 시 기비로 이용할 때도 마찬가지 이다. 일반적으로 염화칼리 베이스로 만들어진 일반 복합비료보다 황산칼리 베이스로 만들어진 야라밀라나 두프로 복합비료가 수량성이 증가하였다.

그 이유는 그림 15-3 처럼 염류가 낮기 때문에 염이 높은 다른 일반복합 비료들보다 흡수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림15-4는 염류에 예민한 작물과 덜 예민한 작물을 나타낸 것이다.

파프리카, 고추, 감자, 배추 등은 염에 내성이 강하나 딸기, 화훼류, 사과 등은 비교적 염에 민감한 작물들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작물들은 가급적 염화칼리 보다 염도가 낮은 황산칼리나 질산칼리로 구성된 두프로, 야라밀라 복합비료를 활용하도록 한고, 수경재배에서는 염도를 높이는 염화칼리나 질산나트륨을 처방을 자제하고 염도가 낮은 황산칼리와 질산칼리 위주로 처방하도록 한다.

칼리3. 칼리의 생리장애

그림16-1과 그림16-2는 칼리 영양장애를 나타낸 그림이다.
칼리결핍은 칼리질 비료가 부족한 사질토에서 주로 발생하며 오래된 잎의 엽연(가장자리)에 괴사현상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원예작물 재배에서 잘 보이지 않고 일부러 갈리를 시용하지 않을 경우에 볼수 있다.

일부 뿌리 병원성으로 인해 마치 칼리 결핍과 같이 보이기 때문에 칼리 결핍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딸기의 경우 뿌리가 상해 비료 농도가 조금만 높아져도 능동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엽연(가장자리)에 조직이 괴사된 것이다. 이는 갈리 결핍이라기 보다 뿌리에 병이 감염되어 조직이 무너진 결과라 하겠다.

우리나라 원예작물재배에서는 오히려 당도를 높인다고하여 재배 후기 칼리질 비료를 많이 공급하여 상대적으로 칼슘과 마그네슘 등이 부족한 사례가 있다.

칼리는 양이온을 대표하는 원소로서 다른 양이온인 칼슘, 마그네슘, 암모니아태질소 등과 경쟁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들 양이온들을 균형있게 공급하여 품질과 수량성을 높이도록 한다.


가리 비료 역할 - gali bilyo yeoghal

 

����(%)

���뼺Į��(%)

��������

����������

13%

13%

46%

 
  • �������� ����(K)�� ������������ �������� ������ ����̸�, Ư��, ���������Ҵ� �����۹��� ������ �����Ǹ�, ���±⿡���� ���� ������ �����մϴ�.
  • ��Ȯ, ���⿡ ������������ ��Ȯ���� �����ų �� ������, �۹��� �������� ����, ��ä�� ��븦 �����ݴϴ�.
  • ���� ���뼺�̸�, �Ҽ����� ���� ����ú�/������/�������� ����� �� �ֽ��ϴ�.
  • ��ä/����/��ä���� �پ��� �۹��� ����� �� �ֽ��ϴ�.
 

[�����]

  1. ��ä�� : ���ֽô� 500-1,000��(���Ѹ��� 20-40g)���Ͻð�, ����ú�ô� 1,000��(20g)���Ͽ� 2-4ȸ ����Ͻʽÿ�.
  2. ������
  3. ��  ��

    ������

    ����ú�

    ��(g/��)

    ����ֱ�

    ��(1,000��)

    ����ֱ�

    ����

    500

    ��

    2kg

    ��ȭ�� �������� 2�ְ������� 2-4ȸ

    400

    ����

    700

    ����

    ����

    500

    -��ȭ��

    1kg

    ���� 15-20cm�� �� ����

    300

    -������

    50

    ��Ȯ��

    ���, ��

    400

    ����

    2kg

    ���Ϻ��⿡ 10�ϰ������� 2-4ȸ

    250

    ������

    1kg

    ��Ȯ 5-15���� �ú�

    • ���ֽ� : ���� 500���̻� ���Ͽ� ����Ͻð� 200��� 1ȸ 1kg����(1���� 30-50g)�� ����Ͻʽÿ�.(Ÿ ���� ȥ�� ���ֽ� �����Ͽ� ����Ͻʽÿ�.) ���� ������ ������ �ú�
    • ����ú�� : 1,000���̻� ���� ���Ͻʽÿ�.(�� �Ѹ��� 20g) ���� ������ ����, ���� ������ �ú�
    • ���� ���϶� Ȳ�꿰(SO4), �λ�, ������ ���� ���̸� ħ���� ����� �����Ƿ� ���� ���̽ʽÿ�.
    • ��κ��� ���� ȥ���� �� ������, ����� ���� ���Ͻð�, �ҷ����� �׽�Ʈ�� ����Ͻʽÿ�.
    • ���±⿡ ���ֽÿ��� ���ϼ��� ���� ����ϴ� ���� �۹������� ������ ������ 18�����Ϸ� �Ͻ� ��� �Ѹ��� ���� ��� �������� �� ������ ���ص� �� �ֽ��ϴ�.

 ���갡�� ���� �񼮽� EC ��

    1,000�� ��

    500�� ��

    1.6

    2.68

����������� ��

��  ��

��ȭ����

Ȳ�갡��

���갡��

���ڽ�

KCl

K2SO4

KNO3

������

����(ij����,�丣��,�̽���)

KG�ɹ�Į

����(����,����,�̽���)

����

���� 60%, ���� 35.5%

���� 50%, ��Ȳ 17%

���� 13%, ���� 46%

�������

���꿡�� ä��

��ȭ����+Ȳ��

��ȭ����+����

���ص�(g/��100�� 20��)

40

13

60

����������

116

46

74

�ֿ�뵵

������(��)�� �ַλ���ϸ� ����

��Ȳ�� �۹�����, �絵 �� ǰ���� ����, �����󵵰� ���� ��� ���,

�����ӵ��� ������, ���ҿ� ������ ������ ��� ���

�����

���ú�, ����ú�, ���ֿ� ��� ����

��Ÿ ȿ��

���Ұ� ����߿� �ܷ��Ͽ� ������ �꼺���

�ѹ�(����)�� �ߵ�� ���� ��ȭ

���������Ҵ� ���±⿡ ���� ����

�۹��ʿ䷮(1,000��)

���� 10-20kg, ���� 10-20kg, ��Ȳ 5kg, ���� 10-100ppm

    -. �ü������ ��� ���м��� ���� �ú��� �����ϴ� ���� ������,

    -. �������, �۹���������, ������ǵ��� �����Ͽ� �ú��� �����Ͻʽ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