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이 부분에 염증이 나타나면 외이도염이라고 부릅니다. 주로 젖어있는 상태를 오래 유지해 세균이 쉽게 번식하거나, 면봉 혹은 손가락으로 상처를 입혔을 때 자주 생깁니다. 초기에는 가려움을 동반하고 점점 농성 진물이 나며 악취까지 유발합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1) 실리콘 팁의 재질 문제?

가장 먼저 제기됐던 것은 실리콘 팁의 재질 문제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삼성측에서 아니라고 부인했고, 저도 아니라고 봅니다. 제품 출시 전 공식 기관 테스트에서 유해물질 테스트를 진행했고, 유해물질 성분은 없다고 판정받았다고 하네요.

반응형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2) 마찰이 유력한 범인!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는 마찰입니다. 위와 같이 나무가지를 비벼서 불지피는 원시기법을 아시나요? 핸드드릴이라고 하는데요. 반복되는 마찰을 이용해 불을 지피는 기법입니다.

 

무선이어폰을 착용할 때도 무의식적으로 이런 마찰이 발생합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 인이어와 오픈형

무선이어폰은 인이어와 오픈형으로 나뉘는데, 에어팟1,2 갤럭시 버즈 라이브의 경우 오픈형에 속합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 오픈형의 특징

오픈형들은 귓구멍 안쪽까지 들어갈 수 없는 구조입니다. 그냥 귀에 달랑달랑 붙어있으면서도, 최대한 떨어지지 않게 설계되어있어요. 밀착감은 떨어지지만 외이도와 마찰이 매우매우 적습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 인이어의 특징

반면 갤럭시 버즈 프로는 인이어(in ear)입니다. 이어팁이 외이도 안쪽까지 들어가야 안정된, 밀착된 느낌을 줍니다.

 

 

이런 밀착감이 이어폰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삼성이나 애플같은 업체에서는 대충껴도 최대한 귀에 밀착되도록 구조를 설계합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 구조, 설계의 문제?!

근데 만약 이어폰의 설계가 잘못돼서 막 꼈을 때 밀착감이 안느껴진다면요?

당연히 밀착감을 느끼기 위해 왼쪽 오른쪽 시계방항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귀 안쪽까지 쑤셔넣게됩니다. 끝까지 넣으려는 노력을 하는거죠. 이 행동이 마치 원시시대 불지피던 핸드드릴 기법과 유사하죠. 마찰을 유발하게 됩니다.

 

단, 나무와 달리 물렁물렁한 이어팁이기에 바로 외이도염이 생기지 않아요. 50~100번정도 반복하면서 귀에 조금씩 상처가 나고, 그 상처로 세균이 들어가 외이도염을 일으키는 것이죠.

 

결론 : 애초에 이어폰이 쉽게 밀착되도록 설계되지 못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인위적으로 마찰을 일으키면서 이어폰을 쑤셔넣게 됩니다. 밀착감을 위해서요. 이로 인해 외이도염이 발생한다고 생각해요.

처음엔 생긴 게 특이해서 어떻게 귀에 껴야하나 싶었다. L,R 과 같이 문구가 써있는 곳을 귀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잘 돌려끼면 쏙 들어간다. 아직 적응이 되지 않아 낄 때마다 반바퀴 정도는 돌린다는 후문.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삼성 갤럭시 버즈 라이브 VS 애플 에어팟 2세대 비교

갤럭시 소유자임에도 불구하고, 에어팟은 근 1년동안 계속 껴왔다. 애플 이어폰을 쓴 건 100% 디자인 때문이었다. 슬림하게 잘 빠진 모양을 보고 안 살 수가 있었을까...? 그리고 음질도 좋았기 때문에 페어링 이슈나 끊김 현상이 있었을지라도 계속 써왔으나 불가피한 상황으로 버즈를 처음 써보게 되었다.

BUT! 왜 갤럭시 유저로서! 그동안 버즈를 쓰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너무 만족스럽다. 왜냐면 페어링 속도가 아주 기가 막히기 때문. 그냥 케이스에서 빼자마자 바로 연결된다고 생각하시면 된다.

그리고 에어팟을 들고 다닐 때는 애플 전용 충전기를 따로 들고다녀야 되었다. 그러므로 난 항상 배터리 충전기를 최소 2개를 가지고 다녔다는 것. 완전 비효율이었다. 지금은 1개만 가지고 다녀도 폰, 이어폰 둘다 충전이 되는 효율 끝판왕을 경험중이다. 신세계.

삼성전자 측은 “환불 조치는 갤럭시 버즈 프로에 한정해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모든 제품에 해당하는 동일한 정책”이라며 “불편을 겪는 고객이 가까운 서비스센터를 내방하면 점검을 받을 수 있고, 점검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견서와 진료비 영수증 등 명확한 증빙이 있으면 서비스센터에서 제품 환불뿐 아니라 치료비도 보상합니다.

이에 앞서 삼성전자 커뮤니티인 삼성멤버스와 온라인 IT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갤럭시 버즈 프로 사용 후 외이도염이나 중이염에 걸렸다는 소비자 사례가 다수 보고됐습니다. 버즈 프로를 착용한 이후 귀에서 열과 간지러움·통증이 발생하고, 이어서는 진물이 흐르거나 상처가 났다는 주장입니다.

스마트폰의 이어폰 잭이 사라짐에 따라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의 사용 비율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그 성능도 점점 좋아지고 있는데요. 삼성의 갤럭시 버즈 시리즈도 나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만 가장 최신 제품인 버즈 프로에서 외이도염 이슈가 발견되어 논란이 되고 있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음질의 향상도 분명 있고, 노이즈 캔슬링 기능까지 넣었는데 외이도염이라니 경험해보신 분들께서는 많이 놀라셨을 겁니다. 사실 이 외이도염에 걸리는 이유도 단순히 버즈 프로 때문만의 원인은 아니라고 하는데요.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에어팟 프로, 구글 픽셀 버즈2, 갤럭시 버즈 프로

외이도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외이도염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외이도염이란 외이도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이러한 외이도의 방어기전이 깨져 세균이나 진균의 감염에 의해 흔히 발생합니다. 그러나 세균의 감염 외에 알레르기나 피부질환에 의해서도 발생을 합니다.

앞서 설명한 외이도의 방어기전에 문제가 생기면 세균이 침투하고 외이도염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선행 요인이 있을 때 흔히 발생합니다.

• 잦은 수영
• 습하고 더운 기후
• 좁고 털이 많은 외이도
• 외이도의 외상 또는 이물
• 이구(귀지)의 이상
보청기 또는 이어폰의 이용
• 습진, 지루성 피부염, 건선 등의 피부 질환
• 당뇨병, 면역저하 상태
• 땀이 많은 체질

[네이버 지식백과] 외이도염 [otitis externa]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이어폰 사용으로 인해서도 외이도염이 발생합니다. 이어폰을 귀에 끼우게 되면 통풍이 잘 되지 않아 귀가 습해질 수 있고, 이어폰을 통한 세균 감염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갤럭시버즈라이브 외이도염 - gaelleogsibeojeulaibeu oeidoyeom
갤럭시 버즈 프로

 

갤럭시 버즈 프로만 해당된다? NO!

커널형 이어폰은 종류를 막론하고 장시간 사용할 경우 모두 해당됩니다.

 

그래서 사실 갤럭시 버즈 라이브를 제외한 버즈, 버즈 플러스, 버즈 프로 모두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이 3개의 제품처럼 귓바퀴에 딱 맞게 들어가는 이어폰을 커널형 이어폰이라고 부릅니다. 에어 팟 1세대, 2세대, 갤럭시 버즈 라이브와 같은 오픈형 이어폰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