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VA-Cable은 오디오카드 없이 가상장치에 사운드 입출력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애오. 보이스미터에서 가상 입출력 포트로 요긴하게 쓰이는데, 굳이 안 설치하셔도 보이스미터에서 기본적으로 몇 개 제공해줌니당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이제 PC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와 마이크에서 나오는 소리를 합쳐서 하나의 아웃풋 채널(가상 마이크 장치)에 집어넣는 방향으로 게시글을 작성해볼거애오. 뭔 소리냐면, 스피커랑 마이크에서 나오는 소리를 합쳐서 새로운 가상 마이크에서 PC소리랑 마이크소리가 동시에 나오는 가상 마이크를 만든다는 거애오.


방송 세팅은 PC 사운드랑 마이크 가상장치가 따로 있는게 편하지만, 캐니 세팅이 그 방향으로 잡혀있고 세팅 바꾸기 귀찮기 때무네 그냥 세팅된 대로 글 써볼거애오. 싱크만 맞춘 채로 PC는 PC용 아웃풋에, 마이크는 마이크용 아웃풋에 잡는 등 응용만 잘 하면 원하시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실거애오!



버전


VoiceMeeter는 세 개의 버전이 있는데, 사용 가능한 인풋/아웃풋 소켓 수를 제외하면 기능 자체는 거의 동일해용.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VoiceMeeter : 2개의 인풋(녹음장치), 1개의 가상 인풋, 2개의 아웃풋(재생장치)로 구성

단순히 두 개의 채널을 합치는 정도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많이 낮아용. 비추. 싱크 맞추는거 불가능은 아닌데 딱 싱크 맞추고나면 끝인 정도?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Voice Meeter Banana : 3개의 인풋 채널, 2개의 가상 인풋 채널, 3개의 아웃풋 채널

현재 캐니가 쓰고 있는 설정에서는 이게 최소한의 요구사항이애오. 그래도 좀 널널하게 쓰기에는 빡빡한 정도?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Voice Meeter Potato : 5개의 인풋 채널, 3개의 가상 인풋 채널, 5개의 아웃풋 채널

사운드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이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은 정도의 채널 수가 아닌가 싶어요.



필요한 채널 수에 맞춰서 준비를 하시면 되는데, 최소 바나나 이상은 준비하셔야 편하게 설정할 수 있더용.

참고로 캐니는 인풋 3개, 가상인풋 3개, 아웃풋 4개 쓰고있더용.

그리구 지금 알려드리는 방식은 최소 인풋 2개, 가상인풋 1개, 아웃풋 3개 이상이면 가능한 세팅이에용. 모야 바나나면 되자나?!

알아서 준비해보세용. 어디 잘 뒤져보니까 크랙판도 있긴 있더라...





가상인풋과 가상아웃풋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버전 기준으로, VB-Audio 가상 케이블까지 설치하면 총 4개의 가상 입/출력 장치가 생겨용. 보면 왼쪽에 있는 목록(스피커 장치)이랑 오른쪽에 있는 목록(녹음 장치)의 이름이 동일하죵?


왼쪽은 가상 스피커, 오른쪽은 왼쪽의 가상 스피커에 부착된 스테레오 믹스라고 생각하시면 되용.


즉, 왼쪽의 가상 스피커에 사운드를 재생하면 오른쪽의 녹음 장치에 그대로 출력됨미다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캐니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세팅이애오

처음 보는 입장에선 드럽게 어렵고 복잡하니까 떼어서 말씀드릴개오




글 다 써놓고 보니까 이해가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아서 그림으로 일단 도식화했어용. 왔다갔다 하면서 보시면 좀 이해가 되지 아늘가...?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가상 인풋과 아웃풋이애오.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좌측의 가상 인풋의 이름과 동일한 애들이 아웃풋으로 잡혀있어용.

아웃풋은 기본으로 저렇게 잡혀있는게 아니구, 상단의 A1~A5 버튼을 눌러서 설정할 수 있더용.


아웃풋은 스피커고, 인풋은 동일한 이름인 가상 스피커의 사운드를 그대로 송출해주는 스테레오 믹스!

그러면 현재 세팅에서 A1, A2, A3 채널로 송출되는 사운드는 다시 가상 입력장치로 들어가게 될거에용



프로그램 중간에 있는 얘네들이 가상 인풋이애오.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A1~A5는 저 중에서 활성화된 버튼에 해당하는 출력 채널에 해당 사운드를 송출하겠다는 의미애오.

B1~B3은 캐니도 먼지 몰라용. 저거 알구시퍼용.


지금 스샷은 A5만 활성화되어있으니 가상 인풋을 모두 A5에 합쳐서 송출하겠다는 의미가 되는거애오.

그런데 아웃풋쪽 스크린샷에서 보면 가상 인풋이 각각 A1, A2, A3의 아웃풋이랑 동일한 이름으로 매핑되어있었으니, 아래와 같은 플로우가 되는거시애오.

(어딘가로부터 들어온) A1, A2, A3 아웃풋을 가상 인풋에 집어넣고, 들어온 가상 인풋을 모두 합쳐 아웃풋 A5에 집어넣는다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이제 좌측의 실제 인풋을 보면, 세 개의 채널이 등록되어있구 각각 A1, A2, A3에 집어넣구 있는 걸 알 수 있더용.


즉, 마이크는 A1에 일단 출력하고, 이 출력을 가상 인풋으로 다시 받아와 A5에 송출

MR이라고 등록된 스피커는 A2를 거쳐 A5에, PC 사운드라고 등록된 스테레오 믹스는 A3를 거쳐 A5로. 최종적으론 A5에 모두 합쳐지는 형태로 잡힌 건데, 가상 인풋의 최종 송출 위치만 A5 고정에서 A4/A5에 나눠 출력하는 식으로 바꿔주면 사운드채널 나누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용



여기까지 설정하면 입력되는 사운드들을 원하는 채널에 송출할 수 있게 세팅이 된 거애오. 하지만 이 글은 싱크를 맞추는 글인데, 싱크 얘기가 1도 안나왔더요.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메뉴 - 시스템 세팅 딸깍해오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A1~A3에 원하는만큼 딜레이 주시면 대오


좀 더 늦춰야하는 채널에 딜레이를 주는 식으로 세 채널의 싱크를 맞출 수 읻더용



세팅이 완료되면 스크린샷을 기준으로 최종 출력인 A5에 해당하는 재생장치와 녹음장치에 모든 게 병합된 아웃풋이 빠져나와용.

해당 녹음장치를 기본 녹음장치로 바꾸고, obs와 디스코드를 비롯한 마이크가 필요한 모든 곳에서 기존에 쓰던 마이크 대신 저 가상 장치를 사용하도록 바꿔주시면 대용.

물논, 마이크와 스피커의 세팅을 한 채널에 몰아넣은거기때매 obs에서 스피커 잡고있던거 끄고, A5 하나만 송출하게 바꿔주셔야 대오. 설정을 응용해서 A4/A5 이런식으로 나누셨으면 그 두개 등록해서 쓰시면 대오.





라이센스


구매하지 않은 버전은 실행할 때 3~5분 정도 대기시간이 읻더용. 그렇게 대기하고나면 4~6시간정도 사용할 수 읻더용. 사용시간이 끝나면 다시 3~5분 대기해야 사용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해당 가상 출력장치에 아무런 출력이 되지 아나용.


VoiceMeeter 오리지널이랑 바나나는 정해진 가격이 업더용. 도네이션웨어여서 원하는만큼 기부하면 라이센스가 활성화되는 형식이애오.


포테이토 기준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팬(€ 8.33), 가끔사용(€ 16.67), 정기적사용(€ 29.17), 전문적사용(€ 41.67), 개발진응원용라이센스(€ 83.33)로 나뉘는데, 뭐 딱히 기능이 다르고 한 건 아니어서 캐니는 팬 라이센스 활성화핻더용. 방법 안내나 하고 말까 했는데, 혹시나 국내결제 안될까 싶어서;;;


홈페이지 표기로는 팬 기준으로 8,33 이라고 마침표가 아니구 쉼표여서 833 유로인가? 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나라별 소수점 표기 방식이 달라서 그런거구 8.33 유로임미다! 게시글 작성시점 기준으로 12555원 나가네용


보이스미터 포테이토 크랙 - boiseumiteo poteito keulaeg

결제 완료되면 등록한 이메일로 코드가 발송되고, 앱의 좌상단 로고를 클릭한 뒤 이메일과 Response code를 입력한 뒤 보이스미터를 재실행하면 라이센스가 적용된 채로 실행댐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