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서비스 B 만기 - bencheu seobiseu B mangi

벤츠 차량의 경우 차량 점검 및 정비 시점이 일정 시기에 도달하는 경우 계기판에 '서비스A 또는 서비스B 000일 남음' 이라는 메시지가 점등된다. 영어 버전인 경우는 메시지가 영어로 나온다. 위의 사진들은 정비를 하면서 점등되었던 벤츠 차량들의 사례들이다. 보면 서비스A와 서비스B 뒤에는 숫자가 붙는다. 벤츠 차량 메뉴얼을 보면 서비스A는 '간단 정기 점검'이라고 나오며, 서비스B는 '주요 정기 점검' 이라고 나온다. 메뉴얼에는 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다른 참고 사이트를 통해 서비스A와 B에 대해 알아보았다.

//www.mercedesbenzofdenver.com/what-is-an-a-service-or-b-service-.htm

Mercedes Benz A-Service(서비스A 항목)

- 엔진오일 교체

- 오일 필터 교체

- 모든 오일량 체크 및 자기진단 주행거리 대비한 정비사의 추천 정비

- 타이어 상태 점검

- 브레이크 구성부품 점검

- 서비스 리셋을 통한 경고등 소등

Mercedes Benz B-Service(서비스B 항목)

- 엔진오일 교체

- 오일 필터 교체

- 항균 필터(에어컨 필터) 교체

- 브레이크 액 교체

- 모든 오일량 체크 및 자기진단 주행거리 대비한 정비사의 추천 정비

- 타이어 상태 점검

- 브레이크 구성부품 점검

- 서비스 리셋을 통한 경고등 소등

과거에는 주행거리에 따라 서비스 A~G까지 표시가 되었으나 대략 2009년 이후부터는 주행거리와 시간에 따라 포괄적으로 서비스A와 서비스B로 구분되어진다고 한다.

포스팅에는 벤츠 서비스A, 서비스B 메시지 없애는 방법이라고 했으나, 연식마다(벤츠 구형 및 신형) 차량의 조작 버튼이 다 다르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기판 조작 버튼이 아래 사진과 같은 벤츠 차량들(2010~2016년식 차량)의 서비스A, 서비스B 초기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 사진들은 벤츠S500 2014년식, 벤츠E300 2010년식, 벤츠A200 2016년식 차량의 계기판 조작 버튼 사진이다. 벤츠S500과 E300은 조작 버튼이 같으며 A200의 경우 버튼 구조가 조금 틀리다. 그래도 초기화하는 방식은 같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1. 먼저 키를 꽂고 우측으로 한 칸만 돌려 1단계(ACC1 상태)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스마트 버튼 식일 경우 스타트 버튼을 1회만 눌러준다.)

2. 계기판 모니터에 주행거리 표시가 나온 상태를 유지한다.

3. 핸들의 우측 통화 버튼과 좌측 OK 버튼을 동시에 5초간 눌러준다. (이때 우측 통화 버튼을 OK 버튼보다 한 박자 빠르게 눌러주어야 한다!)

수화기 버튼과 OK 버튼을 5초간 동시에 눌러주면 계기판 모니터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크게 '메시지', '타이어 입력', 'ASSYST PLUS(정비주기 알림)' 이렇게 세 가지 항목이 나온다.

다만 벤츠 신형 차량 중 ASSYST PLUS 메뉴에 들어가는 경우 “ASSYST PLUS 활성화는 이그니션 ON 에서 가능” 이라고 나오기도 한다. 이런 경우 열쇠 타입의 경우 키를 한 칸 또는 두 칸 더 돌리어 이그니션 ON 상태를 만들어주도록 하고, 스마트 버튼 식의 경우 버튼을 한 번 더 눌러주어 이그니션 ON 상태를 만들어준다.

셋 중 가장 신형인 벤츠 A200 차량으로 초기화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정비주기 알림] - [종합점검] - [점검 확인] - [오일 등급 설정] 을 해주면 초기화가 완료된다.

오일 등급(규격)에는 229.3, 229.5, 229.51 이렇게 세 가지가 나온다. 벤츠 차종마다 계기판에 나오는 등급이 조금씩 다르다. 어떤 차량은 229.52와 228.51도 추가되어 있다.

해당 차종에 나와있는 오일 등급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였다.

(1) 229.3

ACEA A3/B3/B4 등급과 벤츠 오일 규격인 MB 229.1과 호환되며 엔진오일의 점도 규격 0W-xx 와 5W-xx인 승용 디젤, 가솔린용 오일 규격이다.

(2) 229.5

ACEA A3/B3/B4 등급을 충족하며 오일의 저점도성을 강화하여 연비 향상을 높인 승용 디젤, 가솔린용 오일 규격이다.

(3) 229.51

229.5 규격을 만족시키면서 저공해 발생 및 오일 수명이 높아졌으며 유로4 이후의 벤츠 차량에 적용되는 승용 디젤, 가솔린용 오일 규격이다.

//bevo.mercedes-benz.com/bevolisten/bevo-sheets-sort1.html

오일 등급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서비스 초기화는 완료된다. 서비스B 항목에 대한 초기화가 완료되자 서비스A0 라는 새로운 항목이 계기판에 점등된다. 현재 재설정해준 시점에서 1년이 되갈 때 계기판에 A0라는 서비스 경고등이 들어오게 된다. 그때 정비 및 점검을 받고 서비스를 다시 초기화해주면 된다. 서비스 센터에 방문하는 경우 그곳에서 초기화를 해주겠지만, 일반 사설 정비업소에서 점검을 받는 경우 초기화를 간혹 빼먹고 해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런 경우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운전자가 직접 초기화를 해주면 된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 여기까지 신형 벤츠 차량의 서비스 초기화 방법이다.

반면에 정비주기 알림이 ‘ASSYST PLUS’ 라고 나오는 경우 서비스 초기화를 위해서는 아래 사진과 같이 [ASSYST PLUS] - [종합서비스] - [점검 확인] 으로 들어가서 리셋을 진행해주면 된다.

영어 버전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도 위의 방법과 똑같이 초기화를 진행해주면 된다. 언어만 다를 뿐이지 초기화 방식은 같다. [ASSYST PLUS] - [Full service] - [Conf.Full Service] 로 들어가서 초기화를 진행해준다.

'철회되지 않음' 이라는 의미로 설정을 하고나면 취소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Confirm'(확인)을 눌러준다.

초기화를 진행해주고 나면 초기화를 마친 날로부터 날짜가 계산되어 다음 서비스 항목(서비스A 또는 서비스B)이 계기판에 점등된다. 아래 사진은 서비스 A항목을 초기화 하고 나서 계기판에 점등된 다음 서비스 항목 B 사진이다.

서비스 초기화에 사용되는 버튼 방식이 다른 벤츠 구형 차량(2010년 이전)의 서비스 리셋에 대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듯하다.

차량 연식마다 설정하는 방법이 조금 틀리어 헷갈리기도 하지만, 천천히 따라하다보면 할만하다.^^

//m.blog.naver.com/engineer0522/221498857804

벤츠 정기정검 알파벳 A 와 B 에 대해 알아봅니다.

모든 벤츠의 차량에는 ASSYST(Active Service System)이 장착되어 차량의 점검시기가 다가오면 계기판에 정기정검의 시기(남은 km를 표기)를 표시해줍니다. 정검을 받는 시기가 다가오면, 시동을 걸 때마다 계기판에 띄워줍니다.

정김정검 후에, 계기판에서 다시 다음 정기정검의 시기를 등록해서 운전자가 잊지 않고, 항상 정기정검을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그리고 밑에 사진처럼 알파벳 A 와 B로 나뉘어 정기정검 항목까지 구별해주죠.

벤츠 S클래스 계기판

저는 서비스 A 와 B 가 대체 무슨내용일까 해서 국내사이트에 들어가봤는데 정비내용은 없었습니다. 단지 A 와 B가 나뉘어져 있다는것 외에는 없죠. 어떤 내용을 수리하고 점검하는지가 없었어요.

출처 :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

그래서 벤츠 미국사이트(USA)에 들어가서 알아봤죠! 한국보다는 자세하게 나와있더라고요.

결국에는

정기정검이 엔진오일과 브레이크 오일, 브레이크 패드 상태 등을 확인하여 교체를 해준다거나 보충을 해주는 식이었어요.

그럼 서비스  A 와 B 는 어떤품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서비스 A (What is Service A?)

  • 엔진오일 교체
  • 오일 필터 교체
  • 유체 레벨 확인 및 수정
  • 타이어 공기압 점검 및 수정
  • 브레이크 부품 검사
  • 유지 보수 카운터 재설정
출처 : 메르세데스 벤츠(USA)

 서비스 B (What is Service B?)

  • 엔진오일 교체
  • 오일 필터 교체
  • 유체 레벨 확인 및 수정
  • 타이어 공기압 점검 및 수정
  • 캐빈 먼지 / 콤비네이션 필터 교체 (B의 추가항목)
  • 브레이크 부품 검사
  • 브레이크 액 교환 (B의 추가항목)
  • 유지 보수 카운터 재설정
출처 : 메르세데스 벤츠(USA)

▶ 벤츠에서 추천하는 정기정검 주기

위에 영어로 된 문장을 굳이 해석해 보자면,

A는 10,000mile 마일마다, B는 20,000mile 마다 받으라고 추천하는데요. (미국은 km가 아니라 mile(마일)로 거리 측정합니다.)

B의 정비 내용 속에 A가 기본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10,000mile마다 A 와 B를 번갈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만 마일에 A를 받았으면 2만 마일에는 B를 받고, 3만 마일에는 A를 받고, 4만 마일에는 B를 받는 식으로!

(A > B > A > B > A > B)

출처 : 메르세데스 벤츠(USA)

다음에는 직접 가서 정기정검 하는걸 찍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