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안녕하세요.

오늘은 단독주택 건축비용에 대해서 정리를 하려고 합니다.

단독주택을 지을때, 아래와 같이 1층은 30평,

그리고 2층은 20평으로 지으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단독주택은 총 평수가 50평인 것입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따라서, 50평 규모의 주택을 건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평당 건축비를 가지고 견적을 냅니다.

결론 부터 말씀드리면, 30~ 50평 규모의 주택의 평당 건축비는 5백만원 ~9백만원 정도합니다.

그리고, 중급주택의 경우 평당 6백만원정도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중급주택은 호반건설에서 지은 아파트와 같은 급으로 건축을 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위의 예시에서 보여드린 그림에서느

50평 x 6백만원 = 3억

즉, 토지비용을 제외하고 3억정도의 건축비가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5백만원 ~ 9백만원의 평당 건축비는 어떻게 차이가 발생되는 것일까요?

1. 단독주택 평당 건축비 차이 정리

실제로 단독주택의 평당 건축비를 인터넷에서는 평당 400만원 정도로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독주택은 건축의 시작부터 다양한 공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어떠한 자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가격의 편차가 너무나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단독주택을 지으시려는 분들은 적어도, 이곳에서 나만의 공간

나만의 세계를 지으시려고 하시는 분들이기 때문에

평당 400만원의 날림으로 집을 지으시지는 않습니다.

우선, 건축사에서 통상적으로 이야기하는 평당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중급주택 : 평당 6백만원

2) 중상급 주택 : 평당 7백만원

3) 고급 주택 : 평당 9백만원

사실 우리가 사는 주거환경은 예전에 비하여 많이 상향이 되었습니다.

요즘 아파트 입주하는 사진을 보면, 정말 으리으리하게 아파트가 정말 잘 지어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이저회사(더샵, 푸르지오, 레미안...) 등과 같은 건축회사의 인테리어 자재는

어떻게 보면 중상급 주택정도에서 시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따라서, 단독주택을 지어서, 직접 사시려는 분들은 

적어도 평당 7백만원 정도에서 시작을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구체적으로 들어가는 건축 비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단독주택 건축비용 상세 내역 정리

우선 100평의 대지에 50평 주택을 지은다고 가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토지구매비용 (대지비용)

평당 토지가격 : 200만원으로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토지구매비용 = 200만원 x 100 = 2억


2) 토지 취득세 + 등록세

토지 취등록세는 토지비용의 3.4% 정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토지 취등록세 = 2억 x 0.0034 = 6,800,000원


3) 토지설계 및 인허가비

땅을 매입하면, 땅에대한 설계를 받아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100평 기준 300~400만원 예상하시면 됩니다.

토지설계 및 인허가비 = 400만원 (보수적으로 잡도록 하겠습니다.)

4) 건축설계비 

이제 내가살 집에 도면을 그리셔야 합니다.

건축사무소에가셔서 설계도면을 요청하시면 되고,

평균적으로 평당 15만원 정도입니다.

건축설계비 = 50평 x 15만원 = 750만원


5) 건축인허가비 
도면이 완성이 되면 단독주택을 건축하기 위해서 허가를 내달라는 신청을 해야합니다.

보통 평당 10만원 정도로 계산합니다.

건축인허가비 = 50평 x 10만원 = 500만원

6) 건축비 (건축공사비)

평당 600만원으로 계산하도록 하겠습니다. (중급주택 기준)

건축공사비 = 50평 x 600만원 = 3억

7) 기반시설 인입비

전기와 수도를 인입하는 비용입니다.

평균적으로 5백만원 정도합니다.

기반시설 인입비 = 5백만원

8) 정화조 설치비
정화시설이 대지에 들어와 있지 않으면 정화조를 설치해야 합니다.

대략 5백만원 정도 비용이 들어갑니다.

정화조 설치비 = 5백만원

9) 경계 측량 지적현황 측량

경계 측량을 지적공사에 신청해야 받으셔야 합니다.

100평기준 100만원합니다.

경계 측량 지적현확 측량비 = 100만원

10) 주방, 가구
단독주택이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가구로 선택한다는 가정에서

보수적으로 2천만원 잡도록 하겠습니다.

주방, 가구비용 = 2천만원


12. 정원, 마당

잔다, 담장등이 공짜로 있는것은 아닙니다.

이것도 비용이 들어갑니다.

보수적으로 평당 15만원 잡도록 하겠습니다.

정원,마당 조경비용 = 60평 x 15만원 = 900만원

13. 건축물 취득세
공사비의 2%

건축물 취득세 = 3억 x 0.02 = 6백만원


14. 건축물 등록세
공사비의 0.8%

건축물 등록세 = 3억 x 0.008 = 240만원

16. 농어촌 특별세
취득세의 10%

농어촌 특별세 = 6백만원 x 0.1 = 60만원

2억 +  680만원 + 400만원 + 750만원 + 500만원+ 3억 + 5백만원 + 5백만원 + 1백만원 + 2천만원
+ 900만원 + 6백만원 + 240만원 + 60만원

572,300,000

약 5억7천만원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단독주택 건축비에 대한 정리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100평 땅에 집짓기비용 얼마나 필요할까요?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마루2021. 6. 19. 17:22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안녕하세요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 카페지기 마루입니다. 오늘은 많은 전원생활을 꿈꾸시는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내 집을 짓는데 얼마나 들어갈까? 라는 내용에 대한 글을 써보겠습니다.

단독주택건축비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년 오르는 시공비 때문에 예산을 어떻게 잡아야하는지에 대한 고민들도 많고, 흔히들 물어보는 건축 평당건축비 이외에 단독주택건축비용 예산이 어떻게 산출되고 집짓기비용은 어느정도 들어가는지 대략 알아보겠습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의 정확한 예시와 설명을 위해 100평 대지에 40평 건물(건폐율 20% 자연녹지지역)을 짓는다고 할 때 예를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이 집짓기비용은 전원주택 건축회사의 실제 시공사례를 토대로 작성한 내용이기 때문에 예산을 잡는데 참고용으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전에 작성했던 100평에 30평 전원주택 건축비용에 대한 글입니다. 이 글과 같이 참고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https://blog.naver.com/o6o3gjr44/222291269633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자 그럼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100평 땅에 집짓기비용 얼마나 들어갈지 대략 계산해보겠습니다.

■ 대지비용 -​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가장 첫번째 지출이 바로 집을 지을 땅을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도시인근 지역은 200만원에서 2천만원까지 땅값이 차이가 큽니다.

도시지역중 특히, 판교나 청라지역은 평당 1000천만원이상소요됩니다. 비 도시지역은 중 양평은 평당 100만원 이상은 생각하셔야합니다. 지역마다 땅값은 많은 차이가 있으니 본인이 40평 단독주택 건축을 하고 싶으신 위치의 땅값을 계산해보면 될겁니다.

■ 취등록세 - 토지비용 4%(법무사, 부동산 수수료 등) 정도 비용이 발생됩니다. 집짓기비용의 필수로 들어가는 금액입니다.

■ 토목 설계+인허가비 - 40평 단독주택을 지을 대지를 구매하셨으면 건축사무소를 통해 땅에 대한 설계를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내 땅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어느정도로 평탄화 작업을 해야하는지 알아야합니다. 100평을 기준으로 평균 300~400만원정도 금액을 책정하시면 적당합니다. 이 부분도 집짓기비용에서 업체마다 차이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건축인허가비용 - 도면이 완성된 후 집을 지어도된다는 해당 토지에 지자체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비용이 건축인허가 비용입니다. 인허가 비용은 지역마다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평균 기준인 3.3㎡(평당) 10만원정도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4

■농지전용부담금 - 논이나 밭을 대지로 전용했을 경우 농지 전용부담금이 발생됩니다. 이 때 공시지가의 30% (또는 평당 5만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하게됩니다.

■경계/지적 현황 측량 - 지적 공사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지적 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청 방법은 매우 쉬우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100평 정도 경계 측량을 하면 80~100만원 사이의 비용이 발생됩니다.

다음은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중 토목에 관한 비용입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정화조 설치 - 일반적으로 대지와 도심지역에서는 오.폐수 시설이 도로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조 설치는 안하셔도 됩니다. 대부분 도심지에서는 일반 정화조는 250만 원내외, 오수합병 정화조는 500만원 정도의 비용이 필요합니다. 수질보호구역(양평 등)은 대부분 오수합병 정화조를 설치를 필요로하니 단독주택 건축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수관로 공사비 - 40평 단독주택 건축 시 마당에 잔디만 깔아 놓는다고 배수가 되는 것은 아니고 비가 왔을 때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집 주변과 마당에 우수관로 공사를 해주어야 합니다. 100평 정도의 우수관로를 집 주변과 마당에 설치하면 약 300만원 정도 비용이 발생됩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그리고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즉 집짓기 비용을 계산하려면 집만 짓는 금액이 다가 아닙니다. 생활의 필요한 기반시설들도 모두 비용을 지불하고 갖춰야 합니다.

■기반기설 인입비 - 단독주택 건축이외에도 단독주택에서 생활에 필요한 전기나 수도, 가스 등을 인입하는 비용이 별도로 들어갑니다. 도심지의 경우 기반시설 대부분이 집 앞 도로에 설치되어 큰 추가 비용 없이 인입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의 경우 내 집만을 위해 모든 기반시설을 인입해야 하므로 생각보다 많은 건축비용이 들어 갈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600~1200만원 소요됩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건축공사비 - 흔히들 보통 평당가로 말을 하는 건축비, 즉, 목조주택가격에 대한 정보입니다. 집을 짓는 데 필요한 순수한 건축비를 의미합니다. 현재 건축공사비의 시장 형성 비용은 목조주택 기준 3.3㎡당 600만원대 후반부터 많게는 1200만원 이상됩니다. 업체별로 옵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건축법 기준에 맞춰 자재를 사용해 집을 짓는다고 했을 때 대부분 이 금액 사이에서 단독주택건축비용이 책정됩니다.

하지만 요즘 2021년 기준 자재값이 사실 너무 많이 올라서 말씀드린 원래 평균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보다 평당 100만원~200만원은 더 올랐습니다. 자재값이 내려가면 이 부분도 내려갈 수 있지만 사실 당분간은 힘들어 보입니다.

■건축설계비용 -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중 기초가 되는 건축설계비용의 경우 건축사사무소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건축가의 명성과 역량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긴하지만, 평균적으로 3.3㎡당 20~40십만원 정도에서 책정된다고 보시면됩니다.

마지막으로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 집짓기비용으로 가구나, 조경 등 기타비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가구비용 - 싱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같은 가구비를 별도로 체크해야합니다. 저렴하게 한다면 100만원짜리도 있지만 균일한 금액 산정을 위해 정가제를 운영하고 있는 브랜드 가구업체 기준으로 진행하도록 합니다. 가구비는 평균적으로 건축비의 10-30% 정도 들어가는데 싱크대, 붙박이장, 신발장, 수전, 냉장고장, 아일랜드 식탁, 레인지 등이 포함해야합니다. 좋은 가구를 사용할 수록 가격은 더 올라갈겁니다. 대략 20%정도로 계산 해놓으면 맞을 거 같습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조경공사비용 - 저는 개인적으로 단독주택을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마당을 어떻게 꾸밀건지가 정말 중요한 전원생활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비용 소요 예산 사정 책정 필요합니다. 잔디 시공비의 경우 3.3㎡당 평균 5만원 정도, 디딤석 및 석재 등과 같이 혼합하게 되면 3.3㎡당당 평균 10만원 정도 잡는 것이 좋습니다. 담장의 경우 단조난간은 3.3㎡ 10-15만원정도 비용이 필요합니다.

3층 주택 건축비용 - 3cheung jutaeg geonchugbiyong

이렇게 대략 40평 단독주택 건축비용을 각 부분별로 평균적인 금액을 산출해봤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집짓기비용은 실제 건축비랑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략 이런 부분들이 예산이 필요하고 이정도선에서 진행가능하구나를 정리하셔서 대략적인 예산을 계산해보는 것은 단독주택을 짓는 분들에게는 정말 중요한 일입니다.

이 밖에도 더 다양한 전원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으시려면 제가 운영하고 있는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 카페에 오셔서 많은 정보 얻어가시고 다른 분들에게 조언도 구해보세요 ^^

https://cafe.naver.com/jejudo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