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티드 이력서 작성 - wontideu ilyeogseo jagseong

원티드는 이직 준비를 시작하면서부터 자주 사용하게 된 서비스 중 하나다. '커리어 여정을 행복하게'라는 슬로건에 맞게 공고를 확인하고 지원하는 과정에서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인데, 실제로 원티드 내 이력서를 작성하려고 보니 특히 눈에 띄는 기능이 있어 이주의 경험으로 꼽아보았다.

1. 합격/불합격 단어 가이드 & 내 이력서 단어 체크

원티드 내에서 이력서 작성 시, 상단에 합격/불합격 단어 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 원티드 사용자의 이력서 및 해당 이력서의 합/불 데이터 기반으로 추려진 단어들로 추측된다. 내 이력서 단어 체크 기능을 활용하면 내 이력서에 가이드에 포함된 단어가 쓰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이력서 글자 수에 따른 안내 문구 노출

내 이력서에 포함된 글자 수에 따라 하단에 안내 문구를 노출한다. 또한 원티드 사용자의 평균 이력서 글자 수, 서류 합격자의 이력서 평균 글자 수 등, 실제 데이터 등을 활용했음 인지하게 해 신뢰를 높인다. 물론 절대적인 기준으로 봐서는 안되겠지만, 어느정도 잣대로 참고하기에는 좋은 지표로 생각된다.


3. 이력서 기반의 포지션 추천

이력서 작성을 마치면 해당 이력서를 기반으로 합격 가능성이 높은 포지션 추천해준다. (이력서 400자 이상 작성 시 제공) Wanted Ai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인공지능을 활용한 포지션 추천 기능으로 보이는데, 어떤 근거로 추천을 받은 건지는 알 수 없다. 

이 경험에 대한 단상
물론 이력서의 합격/불합격을 가르는 요소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냐가 가장 크겠지만, 지원자 입장에서 가볍게 참고하기 좋은 기능으로 생각된다. 내 경우엔 이직을 처음 시도하는거라 감이 잘 안왔는데 어느정도 이력서를 채워야할 지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되어 좋았다. 다만 3번의 AI 기반의 포지션 기능은 내 이력서의 요런저런점 때문에 이런 포지션이 매칭이 되었다는 걸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면 추천의 신뢰도가 더 높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든다. 그래도 이 정도가 서비스에서 가이드 해줄 수 있는 범위 내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 싶고, 특히 실제 사용자의 데이터를 잘 활용한 사례라고 생각되어 기록해본다.

��� ������ ���� �÷��� '��극��'�� ��ϴ� ���÷��̷����� �����������Ŀ���� �÷��� '��Ƽ��' ��� ��Ƽ�左�� ���� ��ȣ ������ ���� ���������� ü���ߴٰ� 8�� ������.

��극���� �з¡���� ���� �ý����� �����Ѵ�. �����ڴ� �̸� Ȱ���� �̷¼��� �����ϰ� �ۼ��� �� �ִ�. �������޿������� �� �����ο��� ������ �ҵ���� ���񽺸� �����̸�, 15������ �����ڸ� Ȯ���ߴ�.

�̹� ���࿡ ���� �� ���� �̿��ڴ� ������ ���񽺸� �ս��� �̿��� �� �ְ� �ȴ�. ��극�� �̿� �� ��Ƽ���� ä�� ������ �ٷ� ������ �� �־� ����Ȱ���� ���� ������ ä�� ����Ʈ�� �湮�� �̷¼��� ���� �����ؾ� �ߴ� ������ �ؼҵȴ�.

���÷��̷����� ��극���� ��� �� �ҵ���� ����� ��Ƽ�� �̿��ڿ��Ե� �����Ѵ�. �̷¼� �ۼ����� ó�� ���ǿ� �̸��� ���� ������ �Ѱ� �������� ���̶�� �����̴�.

�̺��� ��Ƽ�左 ��ǥ�� "�̹� �������� ��� ��Ī ������ ���� ����ȭ�� �� ���� ��"�̶�� "���÷��̷����� �پ��� ������ ���� ���� �����ϸ� HR��ũ ���°� ���忡 �⿩�ϰڴ�"�� ���ߴ�.

������ ���÷��̷��� ��ǥ�� "��극�� �������� ���� �����ϰ� ��Ƽ���� ä�� ������ ������ �� �ְ� �ƴ�"�� "��Ƽ�左�� ������ ���� �������� ä�� ������ ������ �� ��"�̶�� �ߴ�.

[�Ӵ������� ��ŸƮ�� �̵�� �÷��� '���������丮']

원티드 이력서 특강

Apr 19, 2021

이력서 프로세스

  1. 준비
  2. 내용
  3. 완성도

총 세 단계의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세부적인 내용

준비

나의 커리어 스토리

  • 그동안 해온 일에 있어서 내가 추구해온 가치
  • 참여한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
    • 직무와 관련이 있는지 잘 살펴보아야 하고, 어떻게든 엮을 수 있는 포인트는 해석을 다르게 해서 서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 프로젝트 경험에 미루어볼 때 가장 잘하는 것
  • 앞으로 어떤 일을 하고 싶을 지
  • 같이 일하고 싶은 회사
    • 내가 일 하고 싶은 회사인지 잘 판단해야 한다. 회사와 나의 Needs가 서로 맞아야 채용될 확률이 높다.

채용 공고 분석

  • 채용 공고 선택
  • 자격 조건과 우대 사항을 기준으로 평가
    • 이러한 것들을 많이 보다보면 내가 원하는 직무에서 요구하는 기술스택이 비슷비슷 할테니 그것을 목표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 맞는 역할, 포지션으로 더 찾아보기
  • 해당 회사에서 일하는 방법 찾아보기
    • 회사의 업무 문화 등

내용

최대한 내용 많이 쓰기

  • 채용 공고에 맞게 스토리 재작성
  • 최대한 많은 내용을 쓰고, 정리는 그 후에
  • 줄여나갈 것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3 페이지 가량 길게 쓰는 것이 좋다.
  • 개인 프로젝트, 아르바이트, 교육 사항 등 자세히 적는다

프로젝트 자세히 쓰기

  • 개발 경력을 설명해주는 가장 큰 요소는 프로젝트이다.
  • 프로젝트 상황, 목표를 서술해 주는 것이 좋다.
  • 어떻게 개발 했는지 문제와 그에대한 솔루션 서술
  • 채용 공고와 자격 및 우대조건에 맞게 기술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플러스

완성도

평가자 입장에서 편집

  • 스토리와 장점이 잘 드러나게 두괄식으로 작성
  • 어필하고 싶은 것은 직접 쓰기
  • 자격 사항, 우대 사항에 관련된 내용은 적극적으로 드러내기

근거 제시하기

  • 개발을 얼마나 잘하는 지 확인할 수 있는 코드 (github 등)
  • 관심있는 기술에 대한 근거(블로그, 사이드 프로젝트 등)
    • 공부를 하고 있다는 실질적인 log가 필요하다.
  • 자기계발 노력, 기본기에 대한 근거제시 (교육 학위, 코테 등)
  • 회사에서 인정받은 성과나 개발결과 중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수치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매출, 사용자 수, 성능 향상, 비용 절감, 지표 등

Q&A

  • 눈에 띄는 이력서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은?

    • 우선 눈에 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해당 기업의 사람을 찾아가는 것이 베스트이다.
      • 채용 부스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 어느 프랑스 사람이 채용 부스에 와서 직접 이력서를 제출한 사례가 있음.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력서 차이?

    • 주로 대기업의 경우 양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 맞춰서 써야 한다.
  • 42에서 배우는 공통과제들은 내용이 다른 사람들과 중복될 가능성이 있는 데, 서술하는 것이 좋나?

    • 제일 베스트는 가장 먼저 과제를 끝내고 첫 번째로 면접을 보는 것
    • 하지만 그게 안된다면 앞서 지원한 사람과의 차별성을 두어야 한다.
      • 더 잘하기 위해 노력했던 점을 적어주면 좋다.
  • 자신감 뿜뿜은 어느정도까지?

    • 근거 "있는" 자신감이 중요하다.

0개의 댓글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