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 글자 색 고정 - wodeu geulja saeg gojeong

안녕하세요. 아이텔입니다. 오늘은 국산 워드프로세서인 한글에서 글머리 기호의 색 변경을 방지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 글머리 기호를 적용한 후에 글을 쓰게되면 글머리 기호는 일반 문자와는 다르게 뒤의 글자 특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다른 명칭으로 문단번호나 글머리표라고도 하죠.

이 글머리 기호는 특이하게 뒤에 써진 색깔을 계승합니다. 글머리 기호의 색깔을 고정하는 기능은 없어요..

이런 문제는 만약 글머리 기호 뒤에 일부 글자만 색을 넣을때 고민에 빠지게합니다. 뒤의 일부분만 빨간색으로 적용해도 글머리기호가 빨간색이 되어버려요.

해결을 위해서 논리적으로 글머리 기호는 뒤에 작성되는 어떤 텍스트의 색깔을 계승하는지 알아보기위해 위와 같이 다양하게 색깔을 적용해봤습니다. 결론적으로 위 그림과 같이 맨 뒤에 오는 글자의 색깔을 계승하게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글머리기호의 색은 텍스트의 맨 마지막 글자의 색을 기준으로 한다" 라는 사실을 기반으로 논리적인 해결책을 찾아야합니다.

그래서 생각해낼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위와 같이 스페이스바를 눌러 공백을 만드는 것입니다. 사진상에서는 표현을 위해 여러번 눌렀지만, 여러분은 한번만 누르셔도돼요.

그 뒤에 공백을 드래그 한 후 공백에 검은색을 지정해주면 글머리기호는 공백의 색을 계승하여 검은색이 됩니다. 뒤에 오는 색이 오만가지 색이더라도 상관없어요. 이렇게하면 글머리기호는 무조건 검은색 고정입니다!!

해결되셨다면 하트를 꾹 눌러주세요!! 블로그 방문에 감사드려요.

2012. 3. 29. 20:53

MS word에는 글자색 바꾸기 단축키가 없다. 따라서 매크로를 이용해 만든다.

[MS word 2010 기준]
1. Ctrl + F11 키로 Visual Basic 들어갑니다.
2. 왼쪽 윗 창의 Normal에서 Modules 폴더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insert → module
3. 다음의 코드 입력 : 저는 글자가 검정색이면 빨간색으로, 그 밖에 다른 색이면 검정색이 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다른 색으로도 충분히 응용 가능 합니다)

Sub 글자색() If Selection.Font.Color = wdColorBlack Then Selection.Font.Color = wdColorRed Else Selection.Font.Color = wdColorBlack End If End Sub

4. 저장하고 빠져 나옵니다.
5. File → Options → Customize Ribbon → Keyboard shortcuts : Customize 클릭
6. Categories 맨 밑으로 내려오면 Macros 가 있습니다. 클릭하면 옆에 방금 만든 매크로 이름이 뜹니다.
7. Press new shortcut key 클릭 후 원하는 단축키 설정(기존 있는 것은 덮어씌우지 않도록 조심!)
8. Assign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클릭 부탁드려요!

워드에서 글자만 쓴다면 밋밋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워드 프로그램에 글자 서식을 적용하고 글꼴을 수정하면 더 보기 좋은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워드는 글꼴 자체의 줄 높이를 그대로 줄 간격에 적용합니다. 글꼴에 따라 줄 간격의 기준 배수 1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글꼴을 변경할 때는 줄 간격까지 고려해놓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럼 먼저 워드프로세서의 글꼴 시스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글꼴 설정하기

본문을 드래그하여 선택하고 [홈] 탭의 좌측 상단에서 바로 글꼴을 변경할 수 있으며 단축키 Ctrl + D를 눌러 해당 글꼴의 세부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맑은 고딕' 글꼴을 '궁서체' 글꼴로 바꾸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예시 글꼴'이라는 글자가 '궁서체'로 바뀔 겁니다.

알아두면 좋은 팁 : 가끔 영문 글꼴이 '한글 글꼴'에 입력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작업을 하면서 여러 가지 오류가 생길 수 있고 편집하면서 정하지 않은 이상한 글꼴로 변경될 수 있으니 얼른 수정하셔야 됩니다.

옵션 창에 보이는 한글 글꼴(T)과 글꼴(F)
한글 글꼴(T) : 한글 등 아시아 언어에만 적용됩니다. 외국어는 폰트에 해당 언어가 포함된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글꼴(F) : 영문과 숫자, 기호 등에 적용되지만 '한글 글꼴 사용'을 선택하면 한글 글꼴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 글꼴을 영어에 적용 가능하게 하기

[파일] - [옵션] 탭을 클릭하여 좌측의 [고급] 탭을 클릭합니다.

다음, [한글 글꼴을 영어에 적용 가능(F)] 박스를 체크하면 [홈] 탭의 글꼴 입력란에 한글 글꼴을 입력했을 때 '한글 글꼴(T)'뿐만 아니라 '글꼴(F)'에서도 '한글 글꼴 사용'으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글꼴의 제목과 본문 표시

글꼴 란을 보면 '(제목)'과 '(본문)'으로 표시된 글꼴이 있습니다.

[글꼴] 대화 상자에서는 '+제목 한글'이나 '+본문 한글' 등으로 표시되는데, 이건 '테마 글꼴'로 반드시 '맑은 고딕'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테마 글꼴'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될 글꼴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테마와 테마 글꼴 변경하기

테마나 테마 글꼴은 [디자인] 탭에서 우측의 글꼴 화살표 표시를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테마'는 글꼴과 줄 간격, 색 등을 모두 변경하는 것이며 '테마 글꼴'은 같은 테마를 사용하면서 글꼴 조합만 변경하는 것입니다. 테마는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글꼴 크기 설정하기

[홈] 탭을 눌러 [글꼴 크기]를 바로 조정하거나 글꼴 단축키인 Ctrl + D(드래그한 후)를 입력하여 글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글꼴과 관련된 단축키

글꼴 대화 상자 : Ctrl + D
글꼴 대화 상자(글꼴) : Ctrl + Shift + F
글꼴 대화 상자(크기) : Ctrl + Shift + P
글꼴 크기 크게 : Ctrl + ] 또는 Ctrl + Shift + >
글꼴 크기 작게 : Ctrl + [ 또는 Ctrl + Shift <
굵게 : Ctrl + B
기울임 꼴 : Ctrl + I
밑줄 : Ctrl + U
밑줄(공백 제외) : Ctrl + Shift + W
밑줄(이중) : Ctrl + Shift + D
아래 첨자(취소) : Ctrl + =
위 첨자(취소) : Ctrl + Shift + =
대/소문자 전환 : Shift +F4
대문자로 : Ctrl + Shift + A
소문자로 : Ctrl + Shift + K
숨겨진 텍스트 : Ctrl + Shift + H
글자 서식 제거 : Ctrl + Spacebar
심볼(Symbol) 글꼴로 변환 : Ctrl + Shift + Q

글꼴 색 변경하기

글자를 드래그하여 선택하고 [홈] 탭 - [글꼴]의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여 색을 저장합니다.

원하는 색상이 없으면 다른 색(M) 버튼을 클릭하여 [색] 대화 상자를 열어줍니다. [표준]에서 색상을 지정하거나 [사용자 지정] 탭 화면으로 이동하여 색깔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용자 지정] 탭에서는 'RGB'나 'HSL' 등의 값으로 색상을 정할 수 있습니다.

글자에 그라데이션 효과 넣기

글자의 색을 변경할 때와 마찬가지로 [홈] 탭에서 글꼴 색 화살표 버튼을 클릭합니다.

맨 아래에 있는 그라데이션(G) 메뉴에 커서 옮기면 밝은 그라데이션과 어두운 그라데이션 창이 나옵니다.

원하는 그라데이션이 없다면 아래 기타 그라데이션(M) 버튼을 클릭하여 그라데이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워드 글꼴 자동 색

보통 검은색으로 자동 색이 지정되어 있습니다. 자동 색은 배경이 어두운 곳에서는 흰색으로 변경되는 색을 뜻하는데, 다른 문서로 복사하여 붙이거나 한글 등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 때 호환이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검은색으로 보여야 할 부분은 자동 색 대신 검정으로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워드 페이지 색 바꾸기

[디자인] 탭을 선택하고 우측의 [페이지 색] 버튼을 클릭한 후 원하는 색상으로 적용하면 됩니다.

[페이지 색]의 하단 메뉴인 [채우기 효과(F)]에서 그라데이션, 질감, 무늬, 그림까지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