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오재기 - su ojaegi

1. 본문

 수오재(守吾齋)라는 이름은 큰형님이 자신의 집에다 붙인 이름이다. 나는 처음에 이 이름을 듣고 이상하게 생각하였다. ‘나와 굳게 맺어져 있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가운데 나보다 더 절실한 것은 없다. 그러니 굳이 지키지 않더라도 어디로 가겠는가? 이상한 이름이다.’

 내가 장기로 귀양 온 뒤에 혼자 지내면서 생각해 보다가, 하루는 갑자기 이 의문점에 대해 해답을 얻게 되었다. 나는 벌떡 일어나 이렇게 스스로 말하였다.

 “천하 만물 가운데 지킬 것은 하나도 없지만, 오직 나만은 지켜야 한다. 내 밭을 지고 달아날 자가 있는가. 밭은 지킬 필요가 없다. 내 집을 지고 달아날 자가 있는가. 집도 지킬 필요가 없다. 내 정원의 여러 가지 꽃나무와 과일나무들을 뽑아 갈 자가 있는가. 그 뿌리는 땅속 깊이 박혔다. 내 책을 훔쳐 없앨 자가 있는가. 성현의 경전이 세상에 퍼져 물이나 불처럼 흔한데, 누가 능히 없앨 수가 있겠는가. 내 옷이나 양식을 훔쳐서 나를 궁색하게 하겠는가. 천하에 있는 실이 모두 내가 입을 옷이며, 천하에 있는 곡식이 모두 내가 먹을 양식이다. 도둑이 비록 훔쳐 간대야 한두 개에 지나지 않을 테니, 천하에 모든 옷과 곡식을 없앨 수 있으랴. 그러니 천하 만물은 모두 지킬 필요가 없다.

 그런데 오직 나라는 것만은 잘 달아나서, 드나드는 데 일정한 법칙이 없다. 아주 친밀하게 붙어 있어서 서로 배반하지 못할 것 같다가도, 잠시 살피지 않으면 어디든지 못 가는 곳이 없다. 이익으로 꾀면 떠나가고, 위험과 재앙이 겁을 주어도 떠나간다. 마음을 울리는 아름다운 음악 소리만 들어도 떠나가며, 눈썹이 새까맣고 이가 하얀 미인의 요염한 모습만 보아도 떠나간다. 한번 가면 돌아올 줄을 몰라서, 붙잡아 만류할 수가 없다. 그러니 천하에 나보다 더 잃어버리기 쉬운 것은 없다. 어찌 실과 끈으로 매고 빗장과 자물쇠로 잠가서 나를 굳게 지켜야 하지 않으리오.”

 나는 나를 잘못 간직했다가 잃어버렸던 자다. 어렸을 때에 과거(科擧)가 좋게 보여서, 십 년 동안이나 과거 공부에 빠져들었다. 그러다가 결국 처지가 바뀌어 조정에 나아가 검은 사모관대에 비단 도포를 입고, 십이 년 동안이나 미친 듯이 대낮에 커다란 길을 뛰어다녔다. 그러다가 또 처지가 바뀌어 한강을 건너고 새재를 넘게 되었다. 친척과 선영을 버리고 곧바로 아득한 바닷가의 대나무 숲에 달려와서야 멈추게 되었다. 이때에는 나도 땀이 흐르고 두려워서 숨도 쉬지 못하면서, 나의 발뒤꿈치를 따라 이곳까지 함께 오게 되었다. 내가 나에게 물었다.

 “너는 무엇 때문에 여기까지 왔느냐? 여우나 도깨비에 홀려서 끌려왔느냐? 아니면 바다 귀신이 불러서 왔느냐. 네 가정과 고향이 모두 초천에 있는데, 왜 그 본바닥으로 돌아가지 않느냐?” 

 그러나 나는 끝내 멍하니 움직이지 않으며 돌아갈 줄을 몰랐다. 그 얼굴빛을 보니 마치 얽매인 곳에 있어서 돌아가고 싶어도 돌아가지 못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결국 붙잡아 이곳에 함께 머물렀다. 이때 둘째 형님 좌랑공도 나를 잃고 나를 쫓아 남해 지방으로 왔는데, 역시 나를 붙잡아서 그곳에 함께 머물렀다.

 오직 나의 큰형님만이 나를 잃지 않고 편안히 단정하게 수오재에 앉아 계시니, 본디부터 지키는 것이 있어서 나를 잃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이것이 바로 큰형님이 그 거실에 ‘수오재’라고 이름 붙인 까닭일 것이다. 큰형님은 언제나
 “아버님께서 내게 태현(太玄)이라고 자를 지어 주셔서, 나는 오로지 나의 태현을 지키려고 했다네. 그래서 내 집에다가 그렇게 이름을 붙인 거지.” 

라고 하지만, 이는 핑계 대는 말씀이다.

 맹자가 “무엇을 지키는 것이 큰가? 몸을 지키는 것이 가장 크다.”라고 하였으니, 이 말씀이 진실하다. 내가 스스로 말한 내용을 써서 큰형님께 보이고, 수오재의 기(記)로 삼는다.

2. 핵심 정리

• 갈래 : 한문 수필, 기(記)
• 성격 : 반성적, 회고적, 교훈적
• 제재 : ‘수오재’라는 집의 이름
• 주제 : 본질적 자아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
• 특징 : 
① 자문자답을 통해 사물의 의미를 도출함.
② 의문에서 출발하여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유도함.
• 구성 : 
기: ‘수오재’라는 이름에 대한 의문
승: ‘나’를 지켜야 하는 이유
전: 본질적 자아를 소홀히 한 삶에 대한 반성
결: ‘수오재기’를 쓰게 된 내력

3. 작품 해설 1

 이 작품은 전통적인 한문 문학 양식인 ‘기(記)’로, 글쓴이의 큰형님이 ‘수오재’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사연을 적고, ‘나’를 지킨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삶의 깨달음을 제시하고 있다. 글쓴이는 ‘나’를 현실적 자아와 본질적 자아로 구분한 후 간직하고 지켜야 할 본질적 자아를 잃어버려 세상의 유혹에 흔들리고 미혹에 빠진 것에 대한 후회를 드러내면서 본질적인 자아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있다.

- 수능완성 해설 참고

4. 작품 해설 2

 이 글은 ‘수오재’라는 이름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봄으로써,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삶의 깨달음을 도출하는 내용의 작품이다. 특히 이 글은 이러한 깨달음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나와 또 하나의 나를 구분하여, 현상적 자아에 대비되는 본질적 자아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 또 내가 귀양지에서 나와 대화를 나누고 나의 모습을 살펴본다는 내용은 반성과 성찰의 행위를 가시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 지학사, T-Solution 참고

5. 심화 내용 연구

1. ‘수오재기’의 주제 형상화 방식(천재교육 참고)

‘수오재기’는 ‘나를 지키는 것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 이러한 주제를 구현하기 위해 글쓴이는 ‘나를 지킨다’는 말의 의미를 깨닫지 못했다는 데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것은 독자와 자신이 유사한 상황에 있음을 제시하는 공감의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의문 제기 뒤에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면서 ‘나’를 지킨다는 말의 의미를 이해했음을 밝히고, 자신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주제를 드러내어 독자를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고 있다.

2. ‘수오재기’, 나를 지킨다는 것(지학사 참고)

 ‘수오재기(守吾齋記)’는 ‘나를 지키는 집’이라는 당호를 소재로 한 기록이다. 글쓴이의 큰형님이 집에 붙인 이 이름은 글쓴이에게, 또 독자들에게 의문을 던져 준다. 도대체 나를 지킨다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나 자신과 떨어질 수 없는 것인데, 왜 나를 지켜야 한다는 것일까? 글쓴이는 장기로 귀양 온 후에 갑자기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얻게 된다. 우리 인간들은 눈앞의 이익이나 쓸데없는 욕심에 얼마나 많이 흔들리며, 사랑 같은 것에 마음을 빼앗겨 자신을 주체할 수 없는 경우가 또 얼마나 많은가? 나와 굳게 맺어져 떨어질 수 없는 것 같으면서도 나를 내가 간직하기란, 밭을 소유하고 책을 가지는 등의 가시적인 것보다 너무나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이렇게 흔들리며 나에게서 떨어지기 쉬운 나(나의 마음)는 굳게 지켜야 하는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이 글에서는 ‘갑자기’얻게 된 것으로 서술하고 있지만, 이런 통찰은 그것이 가능하기 위한 바탕이 있게 마련이다. 그것이 무엇인지 추측할 수 있는 단서는 ‘장기로 귀양 왔다’는 사실이다. 외부로부터 격리된 귀양지에서 글쓴이는 왜 자신이 귀양을 와야 하는 처지가 되었는지 자신의 지난날을 돌아보았을 것이다. 그렇게 자신의 내부로 침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면서 글쓴이는 나를 지키지 못했던 자신의 삶을 돌이켜보고, ‘수오재’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된 것이다.

3. ‘수오재기’의 양식적 특징(천재교육 참고)

 ‘수오재기’는 전통적인 한문 문학 양식의 하나인 ‘기(記)’에 해당한다. 기(記)란 어떤 사건이나 경험을 하게 된 과정을 기록하는 것으로,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 교훈이나 깨달음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 글 역시 ‘수오재’라는 이름에 대한 사연을 적고, 그에 따른 자신의 깨달음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記)’라고 할 수 있다.

6. 작가 소개

정약용 – 다음 백과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9j1280a

정약용

조선 후기 유형원과 이익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실학을 집대성한 실학자.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 송보, 호는 사암, 여유당이며 그는 출중한 학식과 재능을 바탕으로 정조의 총애

100.daum.net

수 오재기 - su ojaegi

7. 엮어 읽기

‘염재기(念齎記)’, 박지원/집에 붙인 이름을 소재로 한 작품

수오재기 - 정약용.pdf

0.1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