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어머니의 어머니 호칭 - sieomeoniui eomeoni hoching

[우리예절 바로알기] 어머님 호칭 바로알기

  • 입력 2016.03.18 05:25
  • 지면 22면
기자명 성희제 

김태현 한국전례원 충남지원장

요새 의외로 자기의 어머니를 `어머님`이라 부르는 사람이 많다. 어머님이란 호칭은 자기를 낳아주신 어머니가 아니라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때의 호칭이다. 자기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는 어머니라고 하고 어머님은 시어머니를 부를 때 쓰는 호칭이다. 나의 어머니를 님자를 붙여 부르지 않고 그대로 어머니라고 하는 것은 어머니와 자식 사이는 공경한 예스러움 보다 친함이 앞서기 때문이다. 또 어머니를 엄마라고 부르는 사람이 의외로 많은데 그것은 말을 배우는 아이들의 호칭이지 어른의 호칭은 아니다 초등학교 취학할 때쯤 되면 어머니라고 부르도록 지도해 어머니의 호칭을 어른스럽게 함으로서 스스로 성숙했음을 인식시키는 교육을 해야 한다.

자기의 어머니라도 글로 쓸 때는 어머님이라 쓴다. `어머님께 올립니다`, `어머님 읽으세요` 이렇게 쓰는 것은 옛 편지투의 `자주전상서`(慈主前上書)와 같은 뜻으로 주(主)는 님이란 뜻의 글자다. 어머니를 가족이나 타인에게 지칭할 때는 어머니라고 한다. 물론 어릴 때는 엄마라 지칭할 수도 있다. 어머니를 조부모에게 지칭할 때에 어미라고 할 수 없다. 할아버지, 할머니는 손자 손녀에게 어미라고 할 수 있지만 손자, 손녀는 어머니라고 지칭해야 한다.

손자나 손녀에게 너의 어머님이라고 하면 며느리나 딸에게 님자를 붙이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상대의 어머니가 남이지만 나의 제자라든가 기타 아랫사람이라면 너의 어머니, 자네 어머니가 좋고 며느리나 딸 기타 집안의 아랫사람이라면 너의 에미 또는 그냥 에미라고 하면 된다. 한문식으로 말할 때는 상대가 누구이든 그 어머니가 나의 아랫사람이 아닌 경우라면 모두 자당(慈堂) 님이라 호칭한다. 자당이란 너를 어여삐 여기시는 집이라는 뜻이 된다. 대상이 아낙이기 때문에 거처하는 집으로 호칭을 삼는 것이다. 상대와 대화 중 제3자의 어머니를 지칭할 때는 아무개의 자당 또는 아무개의 자당님이 좋다.

그러므로 친구의 어머니를 부를 때는 어르신 또는 어르신네라고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돌아가신 어머니는 선비라고 말하고 지방(紙榜)이나 축문(祝文)에는 현비라고 쓰고 보통 `돌아가신 저의(나의)어머니`라고 하고 부고에는 대부인(大夫人)이라고 쓴다. 요사이 친구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 어머님이라 부르는 사람이 많다. 어머님이란 상대의 어머니를 부를 때의 호칭이기 때문에 `어머님 언제 오셨어요?` 라고 물으면 당신의 어머니가 언제 오셨느냐는 말이 된다. 그러므로 친구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는 `어르신네`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어르신네란 남자에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성별에 상관없이 나이 많은 사람에게 하는 말이다. 남에게 그 어머니를 말할 때는 친구에게 `어머님께서는 안녕 하신가?` 라고 말하면 `너의 어머니는 안녕 하시냐?`는 뜻이다. 더 분명하게 말하려면 상대에 따라서 너의 어머님, 자네 어머님, 선생님의 어머님을 골라서 쓰고 만일 상대의 어머니가 나의 아랫사람이라면 너의 어머님이라고 하면 아랫사람을 높이는 것이 되어 곤란하게 된다. 이제 핵가족화 되고 외국 문물이 범람하드라도 우리의 고유한 바른 호칭으로 예절바른 국민이 되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희제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ȥ�� �� �þ�ӴϿ� �� �ư�, ��þ� ���� �޴��� ȣĪ�� �� �ѹ��� �� ���� ���ٴ� ������ �翬�� �ö�� ��Ƽ����� �ָ��� �ް� �ִ�.

���ͳ� �� Ŀ�´�Ƽ �Խ��ǿ��� '�þ�Ӵϰ� ����� �θ��� ȣĪ'�̶� ������ ���� ���� 9�� �ö�Դ�. �� ���� ���� 7��4733���� ���, 120���� �Ѵ� ����� �޷ȴ�.

������ "������ �þ�Ӵϰ� �� �̸��� �θ� ���� �� �ѹ� �־���"�� "�ô� ģô ��ȥ�Ŀ� ���� ���µ� �� �� ó������ ���������� ���� �þ�Ӵϰ� ������ '00��(�� �̸�) �ʵ� �ͼ� ���� ��������'"��� �ߴٰ� ���� ���´�. �̾� �״� "�� �� ó�� (�þ�Ӵϰ�) �� �̸��� �˰� �־������ؼ� ������ �޾Ҵ�"��� ���� ��Ƽ����� ������ ���.

������ �þ�Ӵϰ� �� �۾��̸� �θ��� ���� �׻� '��, ��, ��, ��' ���̸�, ģ�� ��ӴϿ� ���� ȣĪ�� '�ϳ� ����, �ϳ���, �� ��Ӵ�'��� ��.

�״� "�þ�Ӵϲ����� '�� ������ �׷���? ���� ���� �ϳ� �� �������Ŵ�'��� ���ϴ� �� �����̴�"�� "�𸣰� �׷��ô� �� �ƴ϶� ���� ������ �����ϰ� �Ͻô� �� �� ������ ���� ��� ���巯����"�� �ϼҿ��ߴ�.

�þ�ӴϿ��� ȣĪ�� ���� �������⸦ �϶�� ��Ƽ���� ������ �̾����� �۾��̴� "���� �� ���� �� ����� �𸥴�"�� "�ƹ������� �ʰ� ���� �󱼷� �����µ� �ű�� ��� ���� ��Ⱑ �ִ� ����� �� ���̳� �ɱ��"��� ���ߴ�.

Ư�� �ٸ� ����� �տ����� �� �Ժη� ���ϴ� ���� ȣĪ�� ���� �ʾ� ���� ������Ⱑ ��ƴٰ� �ߴ�.

�״� "�þ�Ӵ� �ڽŵ� ���� �տ����� ��������� ȣĪ�� ����� �� ���� ���� �߸��� ������ �ƴϱ� �Ϻη� �� �θ��Ŵ�"�� ���ߴ�.

�� �Ŷ��� ���� ���� ���� �ƿ� '�����ΰ�'����Ѵٰ� �о����.

�״� "�Ƹ� �� ������ �þ�Ӵϰ� ������ ȣĪ�� ����� �� ������ ���� ������ ��"�̶�� "�ô쿡 ������ �Բ� ���� �þ�Ӵϴ� �� �������׸� ��� ���� �ɱ� ������ ���� ���ó�� �ִ´�"�� ���ߴ�. ��������� �ϰ� ���� ���� �ڽ��� �Ƶ��� ���ؼ� ���� ���ϱ� �����̴�.

�̿� ���� ��Ƽ����� �۾��� ���� ��� �پ��� ���� �ذ� ����� �����ߴ�.

���̵� '�亯��'�� "�����ؼ� (�þ�ӴϿ���) ������. ������ ����� ������ ��Ʈ���� �ް� �ִ����� �� �ɿ�"��� �þ�Ӵϰ� �۾��̿��� '��, ��' ���̶�� �θ� ������ ������ �� ���� �����ߴ�.

���̵� 'ceunj**'���� "Ȥ�� �Բ��� �Ŷ����� '��!'��� �Ͻ� ���� ��������?"��� "��Ӵ��� �쿬�� ��� �Ϻη� �׷��� ���ϼ��� ������ Ȥ�� �ѹ��� �׷����� ���ٸ� �ѹ� ��Ӵ��ϰ� �����ϰ� ��ȭ�ϰų� ������ �Ἥ ����غ���"�� ���ߴ�.

[�����Ӻ���]
[�� ���ϰ��� & mk.co.kr, �������� �� ����� ����]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호칭

작성자 페이 등록일 2020. 7. 9. 조회수 879

안녕하세요.

아버지의 남자 형제를 부를 때 결혼은 안 했으면 '삼촌'이라고 부르고

결혼을 했으면 '작은아버지' 또는 '숙부'라고 부르고

그리고 그의 부인을 '작은어머니' 또는 '숙모'라고 부르는 거 맞나요?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부를 때는 결혼 유무와 상관 없이 '외삼촌', 그의 부인을 '외숙모'라고 하는 거 맞나요?

그럼 '외숙부'라는 호칭은 결혼한 남자 형제만 가리키나요?

아내가 남편의 부모를 부를 때 '시아버님, 시어머님'이 아닌 대부분 '아버님, 어머님'이라고 부르는 것 같은데 왜 앞에 '시'를 빼고 부르나요?

친근감을 나타낸 호칭이라서 그렇다면 남편이 아내의 부모를 부를 때도 '장인어른, 장모님' 말고 '아버님, 어머님'이라고도 부를 수 있나요?

[답변]호칭, 지칭어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0. 7. 11.

안녕하십니까?

호칭에 대하여 국어원에서 규정한 바는 없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 보이고 있는 바를 참고하였을 때, 아버지의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특히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은 ‘삼촌’이 맞습니다. 또, ‘아버지의 남동생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주로 기혼자를 일컫는 말’은 ‘작은아버지’, ‘숙부’이며 ‘아버지의 형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은 ‘큰아버지’라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은 ‘외삼촌’이며 '외숙부'는 이와 비슷한말로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사전 풀이만으로는 결혼 여부에 따라 그 쓰임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해 드릴 수가 없습니다.
한편 ‘시아버지/시어머니’에서 ‘시-’를 빼고 그와 같이 부르는 이유를 알 수는 없습니다. 아울러 ‘아버님’은 ‘시아버지’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인’을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기도 하고 ‘어머님’은 ‘시어머니’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장모’를 친근하게 이르거나 부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