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키 로 스킬 우선순위 - seki lo seukil useonsun-wi

이 스킬이 없어도 전투 도중 배후 인살이 가능하긴 하나, 튕겨내기나 간파하기로 체간을 다 쌓으면 이동이 불가능하고, 적을 죽이면 뒤로 돌아가기 전에 이미 적이 쓰러져 죽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하다.

. 이 스킬을 배우면 죽지 못하는 한베의 수련 메뉴에 이 기술이 추가된다. 대부분의 중간 보스는[9]

주로 사무라이 대장 카와라다와 같이 일반 잡병과 뼈대를 공유하는 중간보스들은 물론 적귀나 칠면무사도 가능하다.

인살 인술이 가능하다. 꼭두각시로 만들어서 데리고 노는 것도 물론 가능. 물론 불소 같이 덩치가 큰 보스 또는 메인 보스들은 이런저런 사정상 인살 인술은 불가능하다.[10]

쓸려고는 하나 뒤로 가지는 않는다. 마무리 인살이 별도로 존재하는 보스는 발동자체가 안된다. 또한 오니교부처럼 크기가 큰 보스는 모션이 발생하지 않음.




2.1.13. 오의 - 대닌자 찌르기[편집]

奥義・大忍び刺し
Shadowrush

유파 기술 "오의 - 대닌자 찌르기"를 습득한다

대닌자가 고안한 유파기술

이것은, 닌자 기술의 오의다

원거리에서 돌진해 예리한 찌르기를 펼치고 찌른 적을 발판 삼아 높이 날아오른다

적을 꿰뚫고 다시 날아오르는 모습은 올빼미가 사냥하는 것을 방불케 한다

날아오를 때 카타시로를 소비한다


티어
4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2
소모 스킬 포인트
6
커맨드
LB/L1+RB/R1(모으기 가능)


칼을 치켜든채로 모으기 자세를 취한뒤 적에게 미끄러지듯 돌진해서 위력 120의 찌르기 공격을 한 뒤 날아오른다. 피해량은 일반 찌르기와 동일하지만 체간 피해량이 6이나 된다. 카타시로 대비 데미지 효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체간 피해랑과 돌진 성능, 적중 후 체공이라는 점을 보고 써야 한다.

모으기 공격이 가능하고, 모아쓸 경우 찌르기의 돌진거리가 늘어난다. 찌르기가 빗나가면 카타시로도 소비하지 않고, 날아오르기도 발동하지 않는다.

뇌반과 시너지가 좋은데, 뇌반 직후 타뢰상태인 적에게 사용하면 엄청난 효과를 볼 수 있다.

공격 직후 늑대가 체공중임을 이용해서 빠르게 공중의수도구를 연계할 수 있다.

돌진 사거리가 상당하고 첫타가 가드되는 일은 거의 없어 인간형 보스 상대로 오의-뒤로 달려서 후퇴-오의 반복으로 체력을 조금 깎을 수 있다.


2.2. 닌자 의수 기술[편집]

파일:닌자 의수 기술.png
忍び義手技
Prosthetic Arts

닌자 의수를 사용한 전투술이 적힌 전서

"닌자 의수 기술"스킬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유파라 불리는 것이 아니다

닌자 의수가 있어 의미를 갖는 기술과 체술이다

닌자를 버린 남자

하지만 버리기 아까워 남겨둔 연구 기록

설마 이어받은 자가 있을 줄이야


습득 시점 및 방법
닌자 의수 장치를 3개 이상 개방한 후 황폐한 절의 조각사에게서 "닌자 의수 기술 전서" 획득


왼손의 닌자 의수에 관련된 분야로 닌자 의수장치의 연계 체술과 관련된 기술들이다. 닌자 기술 분야만큼 좋은 기술들이 많으므로 의수 연계기 중심으로 빠르게 배워두면 쫄구간이든 보스든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특히 특정 의수 도구는 파생 공격이 없으면 성능이 반쪽난거나 다름 없으므로 자주 의수 도구를 활용한다면 빠르게 찍는 것이 좋다.

2.2.1. 파생 공격 - 추격 베기[편집]

派生攻撃・追い斬り
Chasing Slice

닌자 체술 "파생 공격 - 추격 베기"를 습득한다

일부 의수 닌자 도구 사용후 전방으로 크게 발을 내디디며 베는 닌자 체술

멀리 있는 적에게 사정거리가 긴 의수 닌자 도구를 사용하고 추격 베기를 거듭해 순식간에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대상 의수 닌자 도구

수리검, 폭죽, 장치 창


티어
1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모 스킬 포인트
1


가장 기본이 되는 의수 체술로 해당 의수 도구를 사용후 빠른 속도로 전진해 공격한다. 위력은 90. 또다른 특징으로, 해당 의수도구의 모아쏘기 후에도 추격베기를 넣을 수 있다. 폭죽은 대부분의 경우에 확정경직이므로 예외지만, 수리검이나 장치창을 적이 튕겼을 경우에는 추격베기가 높은 확률로 반격당하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수리검


비교적 멀리 떨어진 적에게도 수리검 공격 후 전진베기가 닿기 때문에 가장 유용하다.

  • 폭죽


뿌린 후 딜레이 없이 경직된 적을 향해 돌진베기를 한다. 대신 후딜레이가 약간 신경쓰이는 편.

  • 장치 창


첫번째 찌르기, 강화 창들의 차지 공격인 돌진이나 후려치기 후 추격베기를 쓸 수 있다. 연결베기 까지 배우면 1타와 2타에 둘다 연계베기가 가능해진다.



2.2.2. 파생 공격 - 연결 베기[편집]

派生攻撃・連ね斬り
Fang and Blade

닌자 체술 "파생 공격 - 연결 베기"를 습득한다

일부 의수 닌자 도구 사용 후 의수 닌자 도구와 도를 동시에 혹은 연속으로 펼치는 닌자 체술

송곳니와 칼날을 연결해 벤다

이것은 그런 기술이다

-대상 의수 닌자 도구

장치 도끼, 장치 창, 안개 까마귀


티어
2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모 스킬 포인트
2


닌자 도구와 쿠사비마루로 이도류를 펼치는 기술.

장치 도끼와 안개 까마귀의 경우 의수 도구를 업그레이드하면 속성이 붙는데, 연결 베기를 시전해도 쿠사비마루를 이도류로 연계해서 쓰는 방식이라 속성이 덧씌워지지는 않는다.

  • 장치 창


갑옷 벗기기를 시전하는 2타째 공격에 횡베기를 연계한다. 위력 90. 그런데 연계가 살짝 뒤로 이동하면서 베기 때문에 적에 따라서는 연결베기가 안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가 사자원숭이.

  • 장치 도끼


한번 찍은 뒤 도끼와 쿠사비마루로 횡베기를 한다. 위력 102. 약한 슈퍼아머가 발동되면서 커다란 체간 데미지를 준다. 도끼랑 칼을 같이 휘두르기 때문에 방패 등을 부수는 것도 가능하다.

  • 안개 까마귀


회피 후 적을 향해 돌진베기를 한다. 위력 90.

제자리에서 써서 공중으로 치솟으면 일문자마냥 내려찍는다. 위력 120. 참고로 의부도 환영 올빼미을 통해 사용하는 패턴이다.



2.2.3. 파생 공격 - 방출 베기[편집]

派生攻撃・放ち斬り
Projected Force

닌자 체술 "파생 공격 - 방출 베기"를 습득한다

일부 의수 닌자 도구 사용 후 그 의수 닌자 도구의 힘을 도에 실어 전방으로 방출하는 닌자 체술

방출된 공격은 사용하는 의수 닌자 도구에 따라 변한다

칼날에 실은 송곳니의 색으로 적을 파고드는 방법도 변한다

-대상 의수 닌자 도구

장치 우산, 손가락 피리


티어
3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모 스킬 포인트
1


닌자 도구의 힘을 도에 실어 전방으로 방출하는 기술.

  • 장치 우산


우산을 철선으로 펼친 후 쿠사비마루와 함께 X자로 긋는 십자베기를 시전한다. 피해량이 매우 높아 보스의 특정 패턴을 반격에 성공 시 체간과 체력을 많이 밀 수 있다. 약간의 슈퍼아머도 있어 약한 공격은 몸으로 받아내며 맞딜이 가능하다.

특이사항으로, 우산으로 원거리 공격을 받아내면 그 공격을 우산에 저장했다가 방출베기 시전 시 한꺼번에 적에게 되돌릴 수 있다. 원거리 공격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우산에서 연기가 피어나[11]

최대 3회, 중간에 우산을 접어도 유지되지만, 의수 도구를 교체할 시 사라짐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방출베기 시전 시 사거리가 매우 긴 투사체가 방출베기에 덧입혀져 발사되는 방식이다. 근거리라면 기본 방출베기와 원거리 추가타가 중복해서 박히기 때문에 피해량이 극대화된다.[12]

투사체의 공격력은 기본 방출 베기 공격력과 동일한 192(쿠사비마루 평타 공격력 × 2.4배)로, 방어한 투사체의 갯수에 따라 최대 3회까지 공격력이 50%씩 증가하고 2발째는 288(1.5×), 3발째는 384(2.0×)이다. 이는 다음 단계의 장치 우산에서도 모두 동일하다.



봉황과 주작으로 강화한 우산이라면 각각 원령에 대한 추가 데미지와, 불속성 공격을 준다. 역으로 속성이 없는 장치우산과 자철축은 무기에 인챈트가 걸려있을경우 그 무기의 인챈 속성이 부여된다. 우산은 쓰고싶은데 색종이버프를 잃기 싫을 경우에 사용하기 좋다.


  • 손가락 피리


소리를 원하는 곳으로 날려서 발생 시켜 적의 어그로를 끌수 있다. 기본 단계의 손가락 피리로 불자마자 날리면 내 쪽이 아닌 소리를 날린 방향으로 어그로가 끌려 다가가므로 배후 인살을 노리기 유용하다. 메아리의 소리 역시 차지한 다음 날리면 잠시 뒤에 터져서 역시 상황에 따라 응용할 수 있다. 울보의 경우 불자마자 공격을 넣으면 손가락 피리의 후딜을 상쇄하고 바로 1타를 넣을 수 있어서 원령종과 싸울때 선공권 장악이 더 쉬워진다.



2.2.4. 공중 의수 닌자 도구[편집]

空中義手忍具
Mid-air Prosthetic Tool

닌자 체술 "공중 의수 닌자 도구"를 습득한다

공중에서 의수 닌자 도구를 사용하는 닌자 체술

닌자 의수는 철과 기계장치의 덩어리이므로 무겁다

그러나 사용하는 자의 수련과 제작자인 도겐의 기교가 공중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했다

닌자 도구라면 역시 땅에 발을 딛지 않고 써야 할 것이다


티어
2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모 스킬 포인트
3


장치도끼나 화통, 행방불명처럼 선딜이 큰 도구의 약점을 조금이나마 가리거나, 수리검 사용 시 고저차로 시야가 가릴 때 점프수리검을 사용하는 등 배워두면 쏠쏠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공중에서는 차지공격이나 파생공격등 테크닉 사용이 일절 불가능하다. 단, 도끼처럼 발동 시 땅으로 찍어내려서 착지 상태가 되는 도구라면 파생공격이 가능.

사비마루와의 궁합이 가장 좋은데, 공중에서 쓰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2연격을 먹이기 때문에 통상 1타보다 데미지와 독 누적치가 두배 높다. 이는 유리 사비마루의 독 안개에도 적용되는 사항이라[13]

엄밀히 따지자면 독 안개는 휘두를 때마다 뿌려지는 것이라 사비마루를 두번 휘둘러 독 안개가 두 개가 나온 판정이 되는 것이다.

지상에서 쓰는 것보다 훨씬 효율이 좋다. 다만 체공 시간이 길고 전환 공격의 회피는 지상에 닿아야 발동되므로 처맞으면 얄짤없기 때문에 각을 잘 봐야 된다.

2.2.5. 불상 조각가의 업 - 핏녹[편집]

仏師の業・血錆び
Sculptor's Karma: Blood

상시 효과 "불상 조각가의 업 - 핏녹"을 습득한다

카타시로의 소지 상한이 증가하는 상시 효과

카타시로는 미련의 환영이다

그러므로 카타시로는 업이 깊은 존재에게 많이 들러붙는다

닌자 의수에는 업이 담겨 있다

뒤집어쓴 피는 녹이 되어 사라지지 않는다

사용할 때마다 그 업을 등에 지게 된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요구 스킬 포인트
3


카타시로의 한도치를 +1 상승시킨다.


2.2.6. 불상 조각가의 업 - 흉터[편집]

仏師の業・刻み傷
Sculptor's Karma: Scars

상시 효과 "불상 조각가의 업 - 흉터"를 습득한다

카타시로의 소지 상한이 증가하는 상시 효과

카타시로는 미련의 환영이다

그러므로 카타시로는 업이 깊은 존재에게 많이 들러붙는다

닌자 의수에는 업이 담겨 있다

새겨진 크고 작은 상처는 거쳐온 사투의 증거이리라

사용할 때마다 그 업을 등에 지게 된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요구 스킬 포인트
2


카타시로의 한도치를 +1 상승시킨다. 핏녹과 흉터는 유용한 스킬인 휘감아 베기 트리와 동떨어져 있으면서 둘이 합쳐 5 포인트나 먹기 때문에 카타시로가 어지간히 쪼달리는게 아니라면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는 것이 좋다.


2.2.7. 갈고리 공격[편집]

鉤縄攻撃
Grappling Hook Attack

닌자 체술 "갈고리 공격"을 습득한다

갈고리로 날아가 그 기세로 베는 닌자 체술

이동과 공격을 겸비한 군더더기 없는 움직임에는 닌자 의수의 정수가 있다


티어
1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모 스킬 포인트
1
커맨드
갈고리 액션 이동중 LB/L1(2회까지 입력 가능)


갈고리를 타고 날아가며 공격이 가능하다. 웬만한 유파기술만큼 피해량이 높다. 보스 중 갈고리 액션이 가능한 보스가 여럿 있는데 갈고리를 건 상태에서 도달하여 공중 2타를 때리면서 착지할수있다. 언뜻 쓸모없어 보이지만 지붕이나 절벽 등 갈고리 포인트에 총병이나 쏙독새 도당 등의 잡몹이 은근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필드 진행에 꽤 도움을 준다.

첫번째 보스인 오니교부, 그 외엔 적귀를 상대할때 매우 유용한 기술. 오니교부가 멀찍이 달리다가 드리프트를 틀때 갈고리를 써서 접근하면서 짜잘이 딜을 넣을 수 있고, 특히 특정 패턴을 사용할때 갈고리 공격을 써주면 자세가 크게 무너지면서 일시적인 그로기에 빠져 프리딜을 넣을 수 있다. 처음 스킬 포인트가 들어왔을때 무엇을 찍을지 애매하다면 갈고리 공격은 일단 먼저 찍고 시작하자.

그 외에 갈고리 공격이 가능한 메인보스는 원망의 오니 등이 있다.

2.2.8. 쏙독새 베기[편집]

寄鷹斬り
Nightjar Slash

유파 기술 "쏙독새 베기"를 습득한다

회전하며 날아들어 베는 유파 기술

원거리에서 순식간에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이것은 아시나를 섬기는 닌자

쏙독새 도당의 기술이다

쏙독새 도당은, 즐겨쓰는 거대 수리검의 무게로 회전력을 살려 쏙독새 베기를 구사한다

강철로 만들어진 닌자 의수 또한 무겁다

이것을 회전의 축으로 삼는다면 같은 기술을 펼칠 수 있다


티어
2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모 스킬 포인트
2
커맨드
LB/L1+RB/R1


앞으로 빠르게 돌진하여 위력 84로 공격한다. 돌진 공격이기 때문에 선공권을 가져가기 쉽다. 뛰어올라 베기 때문에 적의 하단 공격도 피할 수 있다. 단, 체공시간이 짧아 뇌반에 이용할 수는 없다.

모션이 약간 뜸을 들인 후 점프해서 공격하는데 이 타이밍이 환영의 나비의 공격 직전 타이밍과 맞물려 있어 쏙독새 베기 연타로 쉽게 잡는 꼼수가 있다.

다음 기술인 쏙독새 베기 거꾸로 돌기는 쏙독새 베기에 백대시 기능까지 추가된 상위호환 기술이다.

2.2.9. 쏙독새 베기 - 거꾸로 돌리기[편집]

寄鷹斬り・逆さ回し
Nightjar Slash Reversal

유파 기술 "쏙독새 베기 - 거꾸로 돌리기"를

습득한다

회전하며 날아들어 베는 유파 기술

원거리에서 순식간에 거리를 좁히거나 거리를 둘 수 있다

쏙독새 베기는 순서대로 날아들지만 역으로도 가능하다

순서를 바꿔 가는 공방 일체의 기술이다

다가가, 습격한 뒤, 날아간다

쏙독새의 이름을 건 싸움이란 그런 것이다


티어
3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모 스킬 포인트
3
커맨드
락온 상태에서 뒤로가면서 LB/L1+RB/R1


기존 쏙독새 베기에 모션이 추가된다. 락온한 채로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면서 유파 기술을 쓰면 위력 76으로 베고 뒤로 빠지는 기술이 된다.

회피 판정에 회피 거리가 상당히 길다. 모션이 길기 때문에 선딜이 짧은 일반 공격의 카운터로 쓰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하단이나 잡기 등 판정을 미리 알려주는 공격에 대응해 쓰는 것이 좋다.

히트 앤 런 스타일에 최적화된 유파 기술로, 사용에 익숙해지면 방어가 약한 거한이나 괴수형 적을 일방적으로 때릴 수도 있다.

2.2.10. 에마의 약식 - 복용약[편집]

エマの薬識・利き薬
Emma's Medicine: Potency

상시 효과 "에마의 약식 - 복용약"을 습득한다

회복 아이템을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옛날에 에마가 불상 조각가에게 가르친 약학 지식

잘 맛보고 약의 맛을 알아보시죠

몸이 완전히 이해하면 약효가 좋아집니다

그러나 대체로 약이라는 것은 몹시 맛이 없는 법


티어
2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4


회복 아이템들의 회복량을 10% 증가시켜준다. 회복력이 증가한다는건 그만큼 회복아이템을 적게 써도 많이 찬다는 것이므로 전투 지속력이 올라간다는 것이니 필수로 찍자. 휘감아 베기를 찍기 위해서라도 필수로 거쳐가야 되는 스킬이기도 하다.


2.2.11. 에마의 약식 - 흡입약[편집]

エマの薬識・嗅ぎ薬
Emma's Medicine: Aroma

상시 효과 "에마의 약식 - 흡입약"을 습득한다

회복 아이템을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옛날에 에마가 불상 조각가에게 가르친 약학 지식

향을 잘 맡아보시고 약의 향을 알아보시죠

몸이 완전히 이해하면 약효가 좋아집니다

그러나 대체로 약이라는 것은 몹시 냄새가 지독한 법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5


회복 아이템들의 회복량을 10% 증가시켜준다. 전티어의 복용약 스킬과도 중첩되며, 회복력이 증가한다는건 그만큼 회복아이템을 적게써도 많이 찬다는 것이므로 전투 지속력이 올라간다는 것이니 필수로 찍자.

그러나 대체로 약 관련 스킬은 몹시 SP소모가 지독한 법

스킬 포인트는 많이 먹는 주제에 휘감아 베기 트리하고 동떨어져 있어서 우선순위는 떨어진다. 어차피 표주박은 약식 스킬을 3개만 갖고 있어도 회복량이 52%나 되니 5코스트는 휘감아 베기를 배우기 위해 아껴두자.


2.2.12. 오의 - 휘감아 베기[편집]

奥義・纏い斬り
Living Force

닌자 체술 "오의 - 휘감아 베기"를 습득한다

일부 의수 닌자 도구 사용 후 도에 의수 닌자 도구의 효과를 휘감는 파생 공격

송곳니와 칼날이 일체가되는 닌자 의수 기술의 오의

불상 조각가는 이 오의를 마지막으로 닌자 의수를 버렸다

지나치게 죽였다

원망의 화염이 흘러넘칠 만큼

-대상 의수 닌자 도구

화통, 행방불명


티어
4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소비 카타시로
-(닌자 의수 장치쪽은 둘다 3)
소모 스킬 포인트
4
커맨드
화통, 행방불명 사용 후 RB/R1


닌자 도구의 효과를 쿠사비마루에 휘감는 기술. 약 5 ~ 8초가량 지속되며, 예외로 유리의 정화는 1.03 패치 이후 무려 20초나 지속된다. 스킬 설명문을 보면 이것은 과거 불상 조각가가 현역 닌자 시절 말기에 개발한 오의임을 알 수 있다.

유파 기술인 다른 오의들과 다르게 유일하게 닌자 체술에 속하는 상시 효과 겸 커맨드다. 찍어두면 기름없이도 화통 한 번에 화상을 입힐 수 있고, 행방불명의 성능을 100% 끌어내서 중간 보스전에 유용하다.

화통 공격 후 딜레이를 캔슬하고 추가타를 때린다는 점과 화상 그로기 상태인 적에게 추가 피해 20을 더 넣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기름-화통(모으기)의 위력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기름을 쓴다면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다.

  • 화통


불을 발사한 후 쿠사비마루를 휘둘러 화염을 두른다. 위력 80에 인챈트 위력 증가 20. 기름없이도 화상을 일으키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적이 너무 날래서 기름던질 틈을 찾지 못하겠을 때에 사용하기 좋다. 유리의 정화를 사용할 경우 칼에 신성한 색종이의 추가데미지 인챈트가 걸리므로 원령종이나 강자와의 전투에서 활용하면 좋다.
화통-용수철식의 R2 모아쏘기 뒤에도 휘감아베기를 쓸 수 있다. 이 때는 뒤로 크게 밀려나는 후딜레이 뒤에 휘감아 베기를 쓰기 때문에 일반 화통과는 어울리지 않고, 인챈시간이 길고 모아쏘기 데미지가 높은 유리의 정화와 잘 어울린다.


  • 행방불명


회오리를 장전하고 크게 전진해 베면서 검에 바람을 두른다. 위력 80. 그냥 행방불명을 쓰는 것보다 범위가 좁은대신 공격 속도가 빠르고 사거리가 길다.


살짝 거리를 두고 맞추면 후반부의 까다로운 잡몹들도 간단히 처리할 수 있고, 인간형 중간보스도 인살은 안되지만, 인간형 몹들은 공통적으로 후방 공격에 무방비 하므로 안정적으로 체력을 깎을수 있다. 보스전의 경우엔 전투 시간이 길어서 카타시로 소비를 생각하면 안쓰는 것이 좋다.


2.3. 아시나류[편집]

파일:아시나류.png
葦名流
Ashina Arts

아시나류 전서

"아시나류" 스킬을 습득할 수 있게 된다

아시나류는 아시나 잇신의 전투 역사이기도 하다

젋은 잇신은 오로지 사투를 거듭하고 생명의 고비를 넘어가며 검술을 연마했다

그 뒤 잇신은 아시나 도당을 위해서 자신의 기술을 갈고 닦은 뒤 편찬해 아시나류라 명명했다


습득 시점 및 방법
오니교부 보스필드의 귀불이 마주보는 계단을 올라 들어갈 수 있는 건물에 있는 아시나 텐구와 대화,
그 후 의뢰를 받아 난파 도당 닌자를 하나이상 처치한 뒤 "아시나류 전서" 획득.


자신의 체간 관리를 메인으로, 주로 보스전 같은 정면 대결을 상정한 기술들이 중점인 분야. 조금 애매한 오의를 제외하고 모든 기술들이 실전성이 매우 높으므로 체간 데미지 관련 스킬 3개를 중심으로 빠르게 습득해주면 좋다.

스킬 설명에 달려있는 체간 데미지의 증가는 화면 중앙의 위(보스) 아래(플레이어)에 있는 가드했을 시의 체간게이지 증가폭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5대 방어로 자세가 무너지는 것이 4대 방어할 때 무너질 수 있다는 것.

빠른 닌자에 걸맞지 않은 자세기술이 많지만 오히려 굳건한 자세와 풍압 이펙트, 체간 데미지 증가 효과, 주 세력인 아시나 유파의 가장 인기가 많은 전투기술.


2.3.1. 일문자[편집]

一文字
Ichimonji

유파 기술 "일문자"를 습득한다

상단에서 묵직한 일격으로 때려 베는 유파 기술

체간에 대한 대미지가 뛰어나다

또한, 강하게 발을 내디디며 자신의 체간을 회복한다

거칠게 정면에서 때려 벤다

오직 그것에만 뜻을 두고 전심한 기술

그런 전심이 있었기에 아시나 류는 강하다

이 일문자

극에 달하면 한층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티어
1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모 스킬 포인트
2
커맨드
LB/L1+RB/R1(모으기 가능)


아시나의 사무라이들이 쓰는 기술로 머리를 내려치는 참격이다. 그냥 때리면 92, 모으기 시 112의 피해를 입힌다. 체력 피해는 평범하지만 체간 피해가 6으로 매우 높고, 플레이어의 체간을 큰 폭으로 회복하는 부가효과가 있다. 지상에서라면 차지하여 더 높은 피해와 경직을 준다.

선딜이 길고 리치와 전진거리가 짧아 실전에서 쓰기는 다소 애매한 편. 인간형 적은 하단 공격을 점프 밟기로 피한후 공중 유파 스킬로 연계하거나, 후딜이 큰 패턴을 회피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대형 몹들도 일부를 제외하면 큰 틈을 노출하는 패턴이 있어 노릴만 하다.


2.3.2. 오르는 잉어[편집]

登り鯉
Ascending Carp

상시 효과 "오르는 잉어"를 습득한다

튕겨내기를 성공시켰을 때 체간 대미지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아시나류는 기원의 물의 흐름과 인연이 깊다

덮쳐오는 칼날을 훌륭하게 튕겨내는 모습

그것을 폭포를 거슬러 오르는 잉어에 비유했다


티어
2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2


튕겨내기로 인해 적이 입는 체간 데미지가 증가하는 스킬. 튕겨내기에 직접적으로 영향받고 또 체간 공격력을 직접적으로 상승시켜주는 스킬이니만큼 필수라고 보면 된다.

2.3.3. 내려오는 잉어[편집]

下り鯉
Descending Carp

상시 효과"내려오는 잉어"를 습득한다

튕겨내기를 성공시켰을 때, 몇 초간 공격에 의한 체간 데미지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아시나류는 기원의 물의 흐름과 인연이 깊다

칼날을 튕겨낸 다음 맹렬하게 때려눕히는 모습

그것을 폭포에서 내려오는 잉어에 비유했다


티어
2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1


적의 공격을 튕겨낸 후 반격을 할 때의 체간 데미지가 증가한다. 공격력과 사탕 외에도 체간 데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스킬이니 역시 필수다.


2.3.4. 줄기의 숨결 - 양[편집]

幹の息吹・陽
Breath of Nature: Light

상시 효과 "줄기의 숨결 - 양"을 습득한다

인살에 성공했을 때 체간을 회복하는 상시 효과

아시나류는 다수의 적을 상대하는 것도 대비했다

적을 죽인 후 잔심과 함께 줄기의 숨결을 뱉어 자세를 가다듬는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2


인살을 성공하면 체간을 회복한다. 갑옷무사를 처치한 뒤 얻는 줄기의 숨결-음도 동일하며, 둘 다 배울 시에는 대체로 체간을 완전회복한다.

1:1보단 다수를 상대하거나 연전을 해야할 때 좋은 스킬. 보스전에서도 인살을 넣으면 체간을 회복한 상태로 만들고 2차전을 시작할 수 있다. 체간관리와 튕겨내기에 영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라면 팔요한 스킬포인트도 적으니 찍어두면 편하지만, 음만 획득하여 40% 회복만으로도 충분한 사람들에게는 우선순위를 뒤에 둬도 좋은 스킬.


2.3.5. 유수[편집]

流水
Flowing Water

상시 효과 "유수"를 습득한다

적의 공격을 도검으로 받아냈을 때 체간 대미지를 경감하는 상시 효과

아시나의 도당은 알고 있다

흐르는 물이 강하다는 것을

거세게 받아내는 것이 아니라 물처럼 받아 흘리는 것이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3


적의 공격을 방어하든 튕기든 체간 대미지가 들어오는걸 줄여준다. 사실상 보스전 필수스킬. 효과볼 일이 많으므로 빨리 찍어주는게 좋다.


2.3.6. 일문자 - 이연[편집]

一文字・二連
Ichimonji: Double

유파 기술 "일문자 - 이연"을 습득한다

일문자 후 추가로 베는 유파 기술

체간에 대한 대미지가 뛰어나다

또한, 강하게 발을 내디디며 자신의 체간을 회복한다

거칠게 정면에서 때려 벤다

반격해 온다면 다시 한 번 때려 벤다

아시나 일문자는 이연으로 완전해진다


티어
3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모 스킬 포인트
3
커맨드
LB/L1+RB/R1(모으기 가능), LB/L1



지겐류처럼 일문자를 2번 연달아 쓴다.[14]

톤보라는 독특한 자세에서 공격을 하는 지겐류보다는, 일도류 계열의 일문자 후 머리치기에 근접하다. 일도류는 찌르기와 손목치기로 유명한 유파이나,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중앙을 일자로 내려 베는 일문자베기로도 명성이 높았다.

1타 공격력은 일반 일문자와 같고 2타의 공격력은 100으로, 차지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하다. 1타는 일문자 특유의 높은 경직과 체간 데미지를 그대로 갖고 왔으며, 2타는 그에 절반에 준하는 체간 데미지를 준다. 매 타격마다 체간이 빵빵하게 회복되기 때문에 체간 관리도 쉬워진다.

아시나류의 진정한 오의라 불리울 정도의 기술이며, 게임 내 유파기술들 중 첫번째로 손꼽히는 유파기술이다. 이 기술을 해금했다면 인간 보스전이나 잡몹 대인전 난이도가 대폭 하락한다. 대부분의 잡졸은 1타에 인살을 넣을 수가 있으며 미니 보스들에게도 패턴을 흘린 후 일문자-이연을 사용하면 막대한 체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카타시로도 안쓰는 주제에 온갖 부가효과를 갖다 붙인 기술이라 인간형 보스전에서 굉장히 유용하다. 가드 위주로 플레이하다가 이것만 사용해도 대부분은 이길 수 있다. 1타를 맞췄다면 2타는 최소 체간이라도 확정으로 깎아내릴 수 있고 막아냈어도 가드를 올리면 다음 타를 튕겨낼 수 있다. 강력한 체간 피해, 대부분의 슈퍼아머를 끊는 강경직, 전투 도중 쌓인 체간 피해 해소로 대인전 공략 요소를 대부분 보완해준다.

하지만 발동속도가 너무 느린지라 적의 숫자가 2개체 이상만 되도 쓰기가 힘들어지고 2타의 후딜레이가 심하게 길어서 거리를 잘못재서 한 번 헛치면 표주박 한 잔을 마셔야 하는 피해가 들어올 수 있다.

또, 체간회복이 빠른 적들에게는 효과가 굉장히 떨어진다. 심한 경우에는 1타 적중 후, 2타가 적중하기 전에 1타의 체간 피해가 전부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 후반부의 인간형 강자들이 대개 이런 식인데, 이런 적들은 체력 피해가 뒷받침된 공격이 필요하기 때문에 회피후 높은 피해를 줄 수 있거나, 아예 가드 관통이 되는 유파 기술이 더 적합하다. 물론 이런 적에게도 일문자를 쓸 수는 있겠지만, 효과가 낮은 만큼 전투가 길어지고 그만큼 실수도 잦아지게 된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화상을 입힌 후 일문자 이연을 맞추는 방법이 있다.

아시나류 창시자도 사용한다. 일문자를 튕겨내지 못하고 맞거나 회피하거나 가드하면 확정적으로 두번재 일문자를 꽂아버린다. 후자는 기껏 튕겨내도 비전-용섬으로 이어진다. 상당히 아프고 체간도 단번에 무너지니 튕겨내거나 회피하는 방향으로 가자. 아시나 잇신은 2페이즈부터는 이연의 패턴이 화염베기로 교체되어 더 이상 안쓰지만, 검성은 2페이즈부터는 창을 어깨에 걸친 다음 한 손으로 일문자-이연을 날린다.




공중 유파 기술과 일문자-이연의 조합으로 점프 후 일문자-이연을 넣는 공략법이 발견되면서 일문자의 약점인 끔찍한 돌진거리를 점프로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공중에서 내려찍기 전까진 카메라 앵글로 어디에 맞출지 정할 수 있으며 적의 록온되어 있을 시에는 거의 80~90%는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가끔 난전 때 점프 거리를 잘못 재어서 흘릴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하단 공격을 점프로 피하고 밟기를 쓰면 다시 공중에 뜨는데, 이 상태에서 공중 일문자를 쓰면 인간형 적 한정으로 빈틈없이 들어가니 적은 그냥 맞거나, 방어하게 된다. 위의 점프 일문자가 힘들다고 생각된다면 밟기 후 일문자를 써보자.

더불어, 대부분의 후반 보스들은 대치중에 대놓고 앞점프 시 칼같이 견제타를 날려 요격해버리니 주의가 필요하다.




2.3.7. 오의 - 아시나십문자[편집]

奥義・葦名十文字
Ashina Cross

유파 기술 "오의 - 아시나십문자"를 습득한다

납도 자세에서 고속의 거합을 펼치는 유파 기술

자세를 유지하면 때를 보아 요격할 수 있다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재빨리 베는 것만을 갈고닦은 아시나 류의 오의다

내 십문자는 수라의 팔도 베어낸다

검성 아시나 잇신은 그리 말했다


티어
4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2
소비 스킬 포인트
5
커맨드
RB/R1+LB/L1로 거합자세 개시, LB/L1떼기로 취소, RB/R1떼기로 발동




잇신과 에마, 진스케와 우지시게가 쓰는 거합 십자베기[15]

수평 발도베기 후 일문자를 앞에서 보면 十 모양이기에 십문자라고 한다. 진스케와 우지시게 그리고 늑대의 십문자는 십자가 아닌 비스듬하게 대각선 베기를 하는 형태라 잇신과 에마의 정석적인 십문자와는 다르게보인다.

. 스킬 이름은 '십문자'인데 정작 제대로 십자 베기를 휘두르는건 창시자인 잇신과 수제자인 에마밖에 없다. 늑대, 진스케, 우지시게(우지나리)의 십문자는 70도와 110도의 각을 이룬다.


공격력은 360으로 일문자 이연의 약 1.5배 정도이다. 1타와 2타의 피해량이 제법 차이가 난다. 방어+공격키를 누르면 납도를 하며 공격 버튼을 떼는 순간 기술이 발동된다. 반대로 가드 버튼을 먼저 떼면 납도자세를 캔슬한다. 납도 중에는 걷기 외의 이동을 할 수 없다.

일단 십문자를 맞추기만 하면 가드를 해도 경직이 크며 단타형 유파기술들 중 데미지가 세번째로 높다. 일문자가 체간 피해 특화기술이라면 십문자는 체력 피해 특화 기술이다. 체력피해가 중요한 닌자계통이나 괴물계통 적에게 강하다.

공격 모션이 납도+발도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중선딜이 있는 셈이라 선딜이 길다. 다른 유파기술들처럼 공중유파기술을 동원하더라도, 착지했을 때 겨우 납도자세가 갖춰질 정도이므로 적과 대치중에 시원하게 갈겨버리기에는 많이 부족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는 회피를 통해 잡은 확실한 딜타임에 쓰는 기술이며, 발도 시 전진거리가 길어서 회피 도중에 벌어졌던 거리를 잘 커버해준다. 회피하면서 너무 멀어져버린 탓에 '이건 안닿을 것 같은데' 싶은 거리에서도 맞는 경우가 있다.

비슷하게 사용되는 용섬(모으기X)의 경우, 피해량은 십문자보다 훨씬 강하지만 선후딜이 훨씬 길고, 전진거리가 짧으면서 종베기라서 판정자체가 십문자보다 나쁘다.

1.03 패치로 공격력이 크게 증가했다.


2.4. 선봉사 권법[편집]

파일:선봉사 권법.png
仙峯寺拳法
Temple Arts

"선봉사 권법" 스킬을 습득할 수 있게 되는 전서

선봉사 사람은 권법을 수련해 공덕을 쌓는다

법이란 가르침이다

자기 몸 하나로 불적을 쓰러뜨리기 위해서는 권과 법, 어느 쪽도 결여해선 아니 된다

그러나 지금의 선봉사는 불사에 사로잡혔다

법은 상실했고, 그 권 또한 왜곡되었다


습득 시점 및 방법
금강산 선봉사 본당 귀불에서 출발해 동굴로 들어가서 끝까지 가면 나오는 탑에서 "선봉사 권법 전서" 획득


태보
데미지보단 체간을 깎는 데 특화된 권법전투를 얻을 수 있는 항목. 선봉사에서 특히 깊은 곳까지 들어가야 얻을 수 있기에 습득시기가 제일 늦다. 하지만 이쪽 트리는 하단공격 카운터의 궁극오의인 선봉각의 존재와, 버프사탕의 지속시간을 올려주는 꿀패시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걸 보고 찍기에 스킬 포인트가 아깝지 않다. 금화와 아이템을 삥뜯는얻는 데 특화된 상시효과도 있는 것도 특징.

모션이 굉장히 역동적이기 때문에 기술 시전 중에는 배경이 빠르게 돌아간다. 게임 멀미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주의하자. 배경이 마구잡이로 돌아가기 때문에 심하면 토할 수 있다.

2.4.1. 경배연권[편집]

拝み連拳
Praying Strikes

유파 기술 "금강연권[16]

번역 오류인지 이름과 설명의 이름이 다르다

"을 습득한다

팔꿈치 치기와 손바닥에 의한 체술의 유파 기술

재빠른 연격으로 적에게 공격할 틈을 주지 않고 때려눕힌다

연권은 전투술이자 기도이기도 하다

불적을 쓰러뜨리기 위해 강해지리라...

과거의 선봉사 사람들은 입을 굳게 다물고 절하며 공덕을 쌓아 올렸다


티어
1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모 스킬 포인트
2
커맨드
LB/L1+RB/R1 - RB/R1로 추가공격


선봉사 파계승들이 쓰는 권법. 발동속도가 평타와 비슷하고 체력에 주는 대미지(1타 위력 10, 2타 위력 30)는 거의 없다.

최대 2연타. 시동을 팔꿈치로 걸어서 리치가 짧아보이지만, 나름 돌진으로 파고들어 쓰는 기술이기 때문에 사거리 커버는 괜찮은 편이다. 문제는 근본이 주먹질이다보니 충돌 판정이 꼬여서 공격이 씹히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자체 데미지가 낮아서 실제 체간에 주는 대미지가 평타에 비해 딱히 높은 것도 아니다. 덕분에 고인물들이 패널티 플레이 할 때나 써먹는 이 게임에서 가장 쓸모 없는 스킬들 중 하나로 취급 받는다. 굳이 쓰고 싶다면 상위 티어의 파마의 형까지 배운 다음 쓰는걸 권장.


2.4.2. 경배연권 - 파마의 형[편집]

拝み連拳・破魔の型
Praying Strikes - Exorcism

유파 기술 "금강연권 - 아흠의 형"을 습득한다

경배 연권에 배격을 가미한 유파 기술

재빠른 연격으로 적에게 공격할 틈을 주지 않고 때려눕힌다

그 후, 더욱 무거운 배격으로 적을 추격한다

일찍이 선봉사 사람들은 이 배격으로 번뇌를 날려 버렸다고 하는데...


티어
2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모 스킬 포인트
3
커맨드
LB/L1+RB/R1 - RB/R1로 2회까지 추가공격




경배연권후 철산고로 추가 1타(위력 50, 모으기 위력 78)를 날린다. 체간 깎기에 상당히 좋은 기술로, 극후반의 몇명을 제외하고 많은 인간형 보스 상대로 괜찮은 효율을 보여준다. 특히 적의 공격을 피하고 카운터로 날릴때는 체간 데미지가 초반 기술치고 꽤 괜찮다. 하지만 갑옷(아머/슈퍼아머)를 가지고 있는 적들(갑옷 사무라이)은 경배연권을 씹고 그대로 공격하기에 중~후반에 잡졸들이나 중간보스 상대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지만 앞에 서술한 아시나류 일문자에 많이 묻힌 감이 있다. 하지만 필수스킬중 하나인 신앙심이 선행으로 이 스킬을 요구하기 때문에 어찌됐든 찍게 된다.

버튼을 꾹 누르면 차징해서 쓸 수도 있는데 일문자처럼 강경직 판정이 생겨서 패턴을 취소시킬 수 있고 돌진거리도 꽤나 길어진다. 체력에 주는 대미지도 평타 한방과 똑같아진다. 칼질 없이 경배연권만 쓰는 패널티 플레이를 할 때 동작이 큰 공격을 피하고 뒤를 잡아서 차징 공격을 쓰면 체력을 조금씩 깎아서 체간 풀리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차지하지 않고 쓸 경우 정말 전광석화처럼 빠른 첫타가 특징인데 체감상 평타보다도 발동이 빠르다고 느껴질 정도. 상술했듯 갑옷을 걸친 중장갑형 적들은 1, 2타를 슈퍼아머로 씹으며 반격을 가하기에 의미가 없으나 그 외의 적들은 거의 강제로 선공권을 뺏어와 가드를 유도할 수 있다.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칼 평타 앞뒤로 연계하는 콤보 내지 추가타 개념으로 활용하는 편이 좋다. 대표적으로 중후반부 난적인 도롱이 승려의 경우 별다른 슈퍼아머가 없기 때문에 계속 따라붙으며 칼 평타 사이사이에 경배연권을 넣어 연신 두들겨패 주면 별다른 반격도 못 하다가 죽는다.

막타는 누가봐도 철산고의 오마쥬. 기술 특유의 절도있는 자세와 "떵!떵!" 거리는 박력있는 타격 사운드에 매료된 이들이 많은 편. 팬들은 첫 2타는 이해하지만 마지막 철산고는 일문자처럼 강경직으로 버프해줬으면 하는 바라는 이들이 많다.


2.4.3. 공덕[편집]

功徳
Virtuous Deed

상시 효과 "공덕"을 습득한다

적을 쓰러뜨릴 때 입수하는 금전의 양과 아이템 드롭 확률이 상승하는 상시 효과

선봉고승이 이르기를

공덕은 쌓는 것이다

재물을 얻으려 생각해서는 안 된다


티어
2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3


금전 수급량과 드롭률이 올라간다. 노가다할때 있으면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스킬을 찍어야 선봉각을 찍을 수 있기 때문에 어찌됐든 찍게 된다.


2.4.4. 큰 공덕[편집]

さらなる功徳
Most Virtuous Deed

상시 효과 "큰 공덕"을 습득한다

적을 쓰러뜨릴 때 입수하는 금전의 양과 아이템 드롭 확률이 더욱 상승하는 상시 효과

선봉고승이 이르기를

공덕은 더 많이 쌓는 것이다

부디, 재물을 얻으려 생각해서는 안 된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4


금전 수급량과 드롭률이 올라간다. 노가다 할 때 찍어두면 좋지만 이쪽 스킬은 스킬 포인트도 많이드는데 3티어에서 혼자 떨어져나가는 트리이기 때문에 선봉사보살각 직선트리를 간다면 우선도가 떨어진다.

자신이 재료가 없어서 의수를 강화하지 못했다면 보살각을 버리고 큰 공덕을 찍어도 된다. 재료가 많이 없다면 중반일거고 보스도 많이 못 잡았을테니까.

단, 스킬포인트는 회복, 기척죽이기, 간파, 의수 연계를 배운 상태여야 하며 그 다음에 오의 해방용 포인트를 모아야 스킬에 지장이 없어진다.

2.4.5. 선봉각[편집]

仙峯脚
Senpou Leaping Kicks

유파 기술 "선봉각"을 습득한다

날아차기를 기점으로 삼은 연격의 유파 기술

대공 요격과 하단 공격의 회피를 겸비한 초단부터 연속으로 발차기를 펼친다

이 발차기는 선봉사의 이름을 걸었다

선이란 깨달음과 같다

깨달음의 봉오리에 오르려는 자

우선은 차거라, 수행은 발차기에서 시작된다


티어
3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모 스킬 포인트
3
커맨드
LB/L1+RB/R1 - 공중에서 RB/R1로 추가공격




뛰어오르면서 대각선으로 발을 찬 후 착지하면서 내려 찍는 기술. 공중 유파 기술로 공중에서 사용하면 올려차기 없이 바로 내려찍는다.

하단 공격을 피하면서 공격할 수 있으며 내려찍는 발차기는 하단 공격에 대해 카운터 판정이 있어서 점프후 밟기보다도 큰 체간 데미지를 준다. 하단 공격에 대해서는 시전 동작 처음부터 무적이라서 조금 늦게 써서 겉보기엔 맞을 것 같아도 피해진다. 다만 일반적인 점프밟기보다 느리다보니 너무 늦게 쓰면 카운터 판정이 끝나서 체간게이지 쌓기에 실패할 수도 있다. 몇몇 잡기 기술도 피할 수 있는데, 특히 적귀의 잡기나 스포일러와 스포일러의 잡기를 카운터 칠 수 있다.

또한 대공 요격 공격이라는 설명답게 날아오르며 발차기를 날리는데, 약한 슈퍼아머가 붙어 있어 선봉사의 삿갓 승병 등 공중 체공 시간이 많은 적 상대로 유용하다. 점프해서 하단공격을 하는 사자원숭이에게는 올려차기와 내려차기를 둘 다 카운터로 먹일 수 있다. 추적성능도 꽤 좋은 편이며 아주 약간의 범위 판정이 있다. 현란하게 움직이며 바닥을 쓸어대는 일부 보스를 상대로 추적 성능과 범위 판정이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이 경우 보통 뒤돌아서 때리기 때문에 이렇게 자세가 무너졌을때 인살 인술을 걸 수도 있다.

1.03 패치전에는 내려찍기의 체간 데미지는 매우 높았는데 이는 의도하지 않았다고 한다.[17]

얼마나 높았냐면 최종보스를 상대로 버프없이 제대로 맞추면 체간 게이지의 절반 가까이 차오를정도.

패치후 내려찍기의 체간 데미지를 하향되었고 대신 이후 연격의 체간 데미지가 상향되었다. 패치전이 밸런스 붕괴 수준으로 성능이 좋았던 것이지, 조정된 이후로도 상당히 쓸만한 기술이다.

2.4.6. 신앙심[편집]

信心
Devotion

상시 효과 "신앙심"을 습득한다

부처 사탕을 사용했을 때 효과 시간이 증가하는 상시 효과

신앙심이 깊으면 신불의 가호는 그 몸에 오래 깃든다


티어
3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소모 스킬 포인트
3


영령 버프 사탕 5가지와 영령 내리기 5가지의 지속시간이 50% 증가한다. 사탕과 영령 내리기 모두 30초->45초(월은은 1분->1분 30초) 증가하여 상당히 쓸모있으니 되도록 찍어주는게 좋다.


2.4.7. 오의 - 선봉사 보살각[편집]

奥義・仙峯寺菩薩脚
High Monk

유파 기술" 오의 - 선봉사 보살각"을 습득한다

선봉각에 참격과 발차기를 가미한 유파 기술

선봉사 권법의 오의이다

깨달음의 봉오리에 오른 자는 보살의 모습이 된다

그렇게 되면 마음을 현혹당하지 않고 흐르는 듯한 연격을 절로 펼치게 된다

무형의 기술이며, 연격의 형태는 사람마다 다르다

마음 가는 곳에 그 기반이 나타난다

늑대가 쿠사비마루를 이용하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다


티어
4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소비 스킬 포인트
4
커맨드
RB/R1+LB/L1, LB/L1로 선봉각, 이후 LB/L1, LB/L1로 추가연타


선봉각에 참격 2타 - 마무리 보살각의 검과 발차기를 번갈아 사용하는 연격. 마지막 발차기는 약간의 딜레이를 주고 추적성이 높은 점프를 하며 차는데, 이게 좀 느리다보니 첫타가 빠른 적을 상대로 역공 당할때가 많다. 또한 발차기후 2회 베기도 사무라이 대장같은 슈퍼아머로 공격을 버팅기는 패턴을 사용하는 적은 이 베기 공격을 맞으면서 맞딜하는 경우가 있으니 상황에 따라 추가타를 넣는 것이 중요하다.

[18]

찍기 이후의 추가타는 적이 공격을 방어한 것이 기준임. 보살각의 막타는 어쩔수 없이 적안옥을 먹고 맞딜함.


선봉각과 마찬가지로 보살각 찍기의 체간 데미지가 비정상적으로 커서 1.03패치로 찍기의 데미지를 낮추고 후속타의 체간 데미지를 늘렸다. 비교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기본적으로 찍기가 점프보다 체간 데미지가 크며, 보살각 4타는 점프의 1.5배정도, 전부 맞추면 점프의 약 두배에 가까운 체간 데미지를 준다.[19]

물론 위의 비교도에서 막타는 온전히 들어갔다는걸 감안하면 1.8배정도로 예상됨.

패치 전처럼 만큼은 아니어도 후속타를 맞추면 충분한 데미지를 준다.

점프 밟기후 일문자 이연과 비교를 하면 우선 체간 데미지만 보면 밟기 일문자는 선봉각 2타와 비슷하다. 거기에 밟기후 일문자도 확정적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도 감안해야된다. 그렇지만 일문자로 자신의 체간 회복을 할 수 있다는건 큰 장점이다.

위의 표를 봐도 알 수 있듯 보살각 찍기만 해도 선봉각후 후속타 2타보다 체간 데미지가 크다. 거기에 후속타가 빠르게 나가기에 기본적으로 플레이어가 선공권을 잡아 4타까지는 인간형 적이라면 안정적으로 넣을 수 있다. 다만, 막타가 좀 늦게 나가서 반격 당할 수 있는데 굳이 막타까지 안쳐도 점밟 이연보다 체간 데미지를 크다.

2.5. 비전-아시나무신류[편집]

파일:비전-아시나무신류.png
秘伝・葦名無心流
Mushin Arts

비전 - 아시나무신류 전서

"비전"스킬을 습득할 수 있다

젊은 잇신은 참을 줄 모르는 남자였다

탐욕스럽게 더욱 강하고 더욱 높은 곳을 바라보았고 그 결과 나라를 훔쳤다

마음을 비우고 모든 유파를 삼켜갔다

그 마음가짐이 바로 본래의 잇신이다

그러므로 이 전서는 한평생 미완이다


습득 시점 및 방법
위의 기술들의 오의를 하나라도 습득한 상태에서
백사의 신사에 있는 아시나 텐구와 대화하여 "비전-아시나무신류 전서" 획득[스포일러]

중반 귀불 초기화 후에는 아시나 잇신 본인이, 최후반 귀불 초기화 후에는 약사 에마와 대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오의를 하나라도 기억한 상태에서 얻게되는 오의를 2개 조합하여 만든 비전술에 대한 항목. 필요한 스킬에 대한 오의를 익히는건 물론, 비전에 소모되는 스킬 포인트에 비해 초기에는 성능이 영 안좋아서 비전-대닌자 떨구기를 제외하면 그냥 올스킬 마스터 트로피를 위한 과정 정도로 취급되었다. 그나마 1.03패치의 혜택을 입어 그적저럭 써줄만한 스킬들이 된 상태.

여전히 자비없는 스킬 포인트 소모때문에 초회차에는 이쪽에 신경쓸 여유는 없다.

스킬포인트 소모에 함정이 있는데 한 개의 오의를 닌자 전서, 의수 전서는 평균 20 전후로 스킬포인트가 소모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아시나류, 선봉사 유파의 경우엔 10 전후로 소모되는데 다른 필수적인 소음 줄이기나 회복량 증가까지 겸하면 30에 가까워지거나 넘게 된다. 무신류를 배우려고 다음과 같이 소비하면 오의가 2개 필요하니까 무신류 기술 하나에 거의 40에 가까운 포인트가 사용된다. 1회차에 무리해서 얻으면 가능하지만 심하면 게임을 접게 될지도 모른다.

일본어판의 명칭은 葦名無心流로 아시나무심류이다.

2.5.1. 비전 - 대닌자 떨구기[편집]

秘伝・大忍び落とし
Shadowfall

유파 기술 "비전 - 대닌자 떨구기"를 습득한다

대닌자 찌르기를 진화시킨 유파 기술

아시나무신류의 비전이다

대닌자 찌르기로 높이 날아오름과 동시에 낙하 회전베기로 공격을 이어갈 수 있다

꿰뚫고, 날아올라, 또 달려든다

공중을 자유자재로 날아야만 올빼미니라

날아오를 때 카타시로를 소비한다


필요 오의
오의-대닌자 찌르기, 오의-선봉사 보살각
소비 카타시로
2
소모 스킬 포인트
6
커맨드
RB/R1+LB/L1(모으기 가능), 뛰어오른 뒤 LB/L1로 대닌자 떨구기


[20]

한자는 '올빼미류 비전 대닌자 떨구기'



대닌자 찌르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선봉사 보살각과 대닌자 찌르기를 배워야 배울 수 있다.

찌른 후(1타 위력 120) 날아오른 뒤 떨어지면서 선풍베기(2, 3타 선풍베기 위력 180, 총위력 300)를 연계햐다. 체간 피해량은 대닌자 찌르기와 동일하게 6. 원본과 마찬가지로 뇌반과 시너지가 굉장히 좋다.

카타시로 소비는 베이스가 되는 대닌자 찌르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카타시로 대비 데미지 효율은 떨어지는 스킬. 피해량이 낮아서 다 맞춰도 깎을 수 있는 피해량은 그리 높지 않다. 피해량이 초점이라면 아시나 십문자가 훨씬 강하다.

대닌자 찌르기 후에 강력한 공중의수를 사용하는 것이 위력은 더 높을 수 있지만, 카타시로 소비량이 어마어마해지기 때문에 효율을 따진다면 떨구기가 훨씬 좋다. 추가 카타시로 소비없이 180이나 되는 딜을 연계해주기 때문이다.

머리 위로 날아오르는 특성상 인간형 보스들에게 타이밍을 맞춰 공격하면 반격당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이 기술의 창시자는 오리지널답게 간파하기로 인살을 넣어버리므로 봉인하는 것이 좋다. 단, 모든 인간형 보스들은 점프폭죽-대닌자 떨구기에 대응하지 못하므로, 굳이 이 기술로 잡고 싶다면 폭죽을 챙겨가는 것이 좋다.

2.5.2. 비전 - 소용돌이 구름 건너기[편집]

秘伝・渦雲渡り
Spiral Cloud Passage

유파 기술 "비전 - 소용돌이 구름 건너기"를 습득한다

쪽배 건너기가

진공파를 일으키는 유파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아주 먼, 기원의 물이 흘러나오는 방향

큰 소용돌이 구름이 보인다

그것은 기원의 소용돌이, 이 기술 명이기도 하다

기원의 소용돌이를 원하는 나의 주인

토모에에게는 그 작은 뒷모습이 전부였다


필요 오의
오의-대닌자 찌르기, 오의-아시나십문자
소비 카타시로
1, 3, 5타째에 1씩 소비하여 최대 3 소비
소모 스킬 포인트
9
커맨드
RB/R1+LB/L1, LB/L1 연타


쪽배 건너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대닌자 찌르기와 아시나십문자, 쪽배 건너기를 배워야 배울 수 있다.[21]

대닌자 찌르기와 아시나십문자를 배워도 쪽배 선너기 전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해금되지 않는다.

요구하는 스킬 포인트가 무려 9로 모든 스킬 중에 가장 높다. 원본인 쪽배 건너기와는 다르게 이쪽은 사용시 카타시로를 소모한다.

연속 입력으로 연타를 이어나가는 기술이며, 매번 입력할 때 2타씩(첫 2타 위력 150) 4번까지 공격하고 마지막에 대경직을 주는 베기(총 위력 576)를 가한다. 한 세트당 타수 9회에 카타시로 3개를 쓴다고 보면 된다.

기술 자체는 화려하고 멋있지만 쪽배건너기보다 연계가 느리고 한대당 평균 피해량이 64(=576÷9)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쓰기엔 굉장히 나쁘다. 카타시로 기준으로도 카타시로당 데미지가 192밖에 안 돼서 효율이 좋다하기 힘든 수준. 각 참격의 경직치가 높은 것도 아니라서 일반적인 적은 첫 2타 이후는 모두 가드하며 적이 가드했을 때 체간 대미지가 좋은 것도 아니다. 자체적인 성능으로는 상당히 구린 기술.

다만, 쪽배건너기와 마찬가지로 혈도 술법이나 신성한 색종이, 화통 휘감아베기와 함께 사용되는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최고의 사기기술로 변모하게 된다. 충분한 카타시로 휴대수를 확보하고 나면 이보다 더 편하게 진행하기가 힘든 기술. 일단 시전속도도 빠른데 범위도 제법 넓고 관통딜도 좋은 편이기에 잡몹 여럿에 둘러쌓였을때 이걸 난사하면 쉽게 위기를 벗어날 수 있다. 아예 잡몹 여럿과 동시에 싸우는 일이 없게 진행하는 게 제일 낫긴 하지만.

혈도 술법의 경우, 타격당 위력 증가 60 버프에 가드 관통 효과와 공격 범위 증가 효과가 있기 때문에 소용돌이 구름 건너기와 시너지가 엄청나다. 타격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카타시로 3개에 위력 1116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 경우, 거의 대부분의 중간보스들이 반격 한번 못해보고 체력이 다 깎여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단, 혈도술법이 능동적으로 쓸 수 없는 인살인술인 점과 소모하는 카타시로가 너무 높다는 단점도 있다.

신성한 색종이나 화통 휘감아베기의 경우, 타격당 위력 증가 20 버프에 화염 속성과 화상, 혹은 신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상 그로기 상태의 지속시간이 긴 상대는 소용돌이 구름 건너기가 전부 다들어간다. 즉, 화통 데미지(기본 위력 216)에 휘감아베기 데미지(20×9=180)에 소용돌이 구름건너기 데미지(576)에 화상 데미지(?)가 다들어가며, 추가적으로 마지막 타격에 경직치가 커서 후상황도 좋다. 물론 화상을 통한 그로기나 체간 누적이 목적이 아니라면 신성한 색종이가 훨씬 효율적이다.

1.03 패치로 스킬에 조정이 가해지면서 공격력 증가와 방어 관통 추가, 2타와 4타의 카타시로 소모를 제거, 막타 대경직이라는 큰 상향을 받았다. 막타 대경직이 있어도 패치 전처럼 기술 혼자만으론 딱히 좋은 성능이 나질 않고[22]

방어 관통이 무색하게 자체적으론 여전히 체력, 체간 대미지가 낮다.

여전히 상대 슈퍼아머에 끊기기 쉬워서 자체적으론 쪽배보다 못하다.



2.5.3. 비전 - 불사베기[편집]

秘伝・不死斬り
Empowered Mortal Draw

유파 기술 "비전 - 불사베기"를 습득한다

불사베기를 이용한 비전의 유파 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염을 담아, 불사베기의 힘을 더욱 끌어올려 위력이 높고 사정거리가 긴 참격을 펼친다

뽑지 못하는 도를 뽑아서 벤다

용윤의 계승자를 따르는 자가 아니라면 다룰 수 없는 기술


필요 오의
오의-아시나십문자, 오의-휘감아 베기
소비 카타시로
3
소모 스킬 포인트
5
커맨드
RB/R1+LB/L1(모아베기), LB/L1(모아베기)


오의 - 불사베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아시나십문자와 휘감아 베기를 배워야 배울수 있다.

모으지 않은 공격은 기본 불사베기와 같고 각 공격마다 모으기 공격(참격 위력 444, 검기 위력 182)이 가능해진다. 비전 중 습득 SP 요구량이 제일 낮지만 회차마다 불사베기를 얻기 전까지 사용하지 못한다.

오의 - 불사베기의 상위 호환이라서 차징시 데미지가 더욱 더 강력해졌다. 오의 - 불사베기와 마찬가지로 카타시로를 3개나 소비해서 남발할 수 없고, 모으기 선딜도 크기 때문에 확실히 틈을 노리지 않는 이상 역공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대신 그만큼 강력한 공격이므로 빈틈만 잘 노리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2회차 사자원숭이 상대로 사용하는 영상

1.03 패치로 데미지가 올라갔는데, 특히 체간 데미지가 3에서 4로 올라갔다. 이제 야차륙 걸고 2방 모두 풀차지로 맞추면 높은 체간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적귀, 사자원숭이 등 빈틈이 큰 보스 상대로 특히 유용. 백문이불여일견이라 영상을 보는게 낫지만 얼마나 강력하냐면 사자원숭이가 차지 3대, 일반 2대 맞고 뻗는다.


3. 기타 스킬[편집]

게임 진행중에 보스 처치, 이야기 진행, 상점 구입 등으로 얻을 수 있는 스킬들이다.

3.1. 유파 기술[편집]


3.1.1. 오의 - 불사베기[편집]

奥義・不死斬り
Mortal Draw

불사베기를 이용한 유파 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불사베기에서 검붉은 독기가 스며 나와 사정거리가 긴 칼날로 적을 횡으로 벤다

뽑지 못하는 도를 뽑아서 벤다

용윤의 계승자를 따르는 자가 아니라면 다룰 수 없는 기술


습득 시점 및 장소
불사베기 획득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3
커맨드
RB/R1+LB/L1, LB/L1로 추가공격


불사베기를 획득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불사베기를 꺼내는 오의이기 때문에 2회차 진행시 불사베기를 얻기전까지 사용하지 못한다.

사선으로 정면을 베어(위력 332) 넓은 추가 범위 피해(위력 136)를 주는 오의로, 추가 입력시 2타까지 쓸 수 있다.

타격 마다 카타시로를 3개나 써먹지만 어마어마한 사거리와 데미지를 보여준다. 붉은 검기는 혈도 술법처럼 방어가 안되기에 적이 그대로 맞는다. 거기에 경직치도 커서 인간형 보스의 슈퍼아머 패턴을 취소시킬 수 있다. 카타시로가 없으면 검기가 작아져 범위가 좁아지고 위력이 낮아지지만 슈퍼아머 패턴은 여전히 끊을 수 있어서 적 슈퍼아머 패턴 캔슬용으로만 써도 상당히 좋다.

긴 사정거리와 높은 경직치에 비해 발동 속도도 빠른 편이다. 칼을 뽑는 동작이 느리긴 하지만, 진짜 선딜이 긴 유파기술들과 비교하면 훨씬 빠르며, 공중유파기술로 더욱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다만 공격을 마친 후 불사베기를 납도하는 후딜 모션이 존재하고, 사거리가 긴 대신 경직치가 조금 애매한 편이라 너무 가까운 곳에서 사용하면 1-2타 타격 간격 사이나 납도모션 중 적에게 공격당할 확률이 높다. 적의 모션을 보면서 조금 거리를 벌리고 시전하는 것이 안전하다.

체력 데미지, 체간 데미지, 사거리, 적중 판정, 경직치 모두가 상위권에 달하는 준수한 기술이지만 지나치게 높은 카타시로 소모속도가 단점이다. 또한 각 방면의 최고 성능 기술들에 비하면 카타시로 효율이 굉장히 낮다는 점도 문제다. 하지만 모든 적에게 훌륭한 성능을 보인다는 점과 기술 포인트를 먹지 않는다는 점, 무엇보다 이펙트가 화려하다는 장점이 돋보이는 특수 유파기술.

비전 - 불사베기는 모으기 공격이 가능해지기에 이 스킬의 완벽한 상위호환이다.

1.03 패치로 데미지가 증가했는데, 특히 체간 데미지가 크게 증가했다.


3.1.2. 오의 - 쪽배 건너기[편집]

奥義・浮き舟渡り
Floating Passage

춤추듯이 연격을 펼치는 유파 기술

흐르는 듯한 움직임과 기교로 적을 압도한다

아시나류 검술이긴 하나 이단에 해당하는 외부자가 전한 기술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는 자는 쪽배를 타고 아시나에 등장했다

이름은 토모에라 한다


습득 시점 및 장소
용천강가 히라타 영지의 항아리 속의 도인에게 구입(비늘 5개)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
커맨드
RB/R1+LB/L1, LB/L1로 2번까지 추가공격


겐이치로의 트레이드마크 패턴인 바로 그 기술. 허나 7연격을 넣는 겐이치로와는 다르게 늑대 버전은 5연격이 최대다. 검성 잇신도 사용하는데 검성 잇신은 2타는 불사베기로 공격하지만 남은 5타는 창으로 공격하는 무지막지함을 보여준다. 기원의 궁에서 등장하는 오카미 여인무사들 또한 늑대 버전의 5연격을 사용한다.

화려한 모션과 연격에 비해 대미지와 체간 피해가 썩 좋지 못했었다.[23]

모션이 2타, 2타, 1타 이렇게 끊어지는데, 사실상 전반 4타모션 전부의 위력이 일반 공격 한 대 수준이었다.

1.03 패치를 통해 피해량이 증가하였고(첫 2타 위력 90, 총합위력 267) 방어 관통도 추가로 붙었다. 첫 타가 빠른 전진 베기라 거리를 살짝 두고 틈을 노리기 쉽다.

빠른 5연격[24]

정확히는 2타, 2타, 1타 이렇게 끊어져서 판정상 3타다. 인간형 적에겐 3연타까지만 확정적으로 들어가기에 쪽배 건너기는 소용돌이 건너기와 달리 반격을 받을 일이 없다.

이기에 인간형 적은 마무리 공격이 끝날 때까지 공격을 튕겨내지 못하고 막기에만 집중한다. 막타가 슈퍼아머를 끊는 강공격인데 쪽배 건너기는 연타가 빠른 기술이기에, 적이 강한 공격을 준비하면서 슈퍼아머를 버팅기는 대부분의 패턴을 공격당하기 전에 막타로 슈퍼아머를 끊을 수 있다.

방어 관통의 추가는 튕겨내기와 되받아치기를 잘 못하는 유저라도 정면에서 인간형 보스의 체력을 깎아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쪽배 건너기는 유파 기술 중 준비 시간이 짧은 편이라 평타-쪽배 건너기로 연계가 쉽다. 인간형 보스는 무방비 상태에서[25]

정면 한정. 후방이면 뒤돌아 보는 과정에서 한대 더 무방비로 당한다.

공격을 받으면 다음 공격을 방어하며, 그다음 공격을 튕겨낸다.[26]

적이 첫 타를 튕겨내는 건 찌르기 공격처럼 준비시간이 긴 경우에만 한정된다.

적이 공격을 튕겨내기까지의 평타 세 번으로는 첫타만 온전히 대미지를 줄 수 있고 후속타는 체간 대미지를 조금 쌓을 뿐이지만, 평타-쪽배 건너기 연계는 방어 관통으로 대미지를 더 쌓을 수 있다. 평타-평타-쪽배 건너기도 가능한데 두 번째 평타에 적이 방어를 하면서 후딜이 줄기 때문에 적에 따라 반격을 당할 수 있으니 유의.

체간이 잘 안 쌓이고 공격이 저돌적이지 않은 강한 잡몹에게 매우 유용한데, 특히 체간이 정말 안 쌓이고 방어가 튼튼한 선봉사의 도롱이삿갓 승려에게 특효약. 이 기술만 써대도 안정적으로 체력을 깎아 죽일수 있다. 공격 모션이 잘 안 보여서 은근히 까다로운 난파도당 난쟁이에게도 잘 통한다. 체력이 낮은지 제법 빠르게 체력을 거덜내는게 가능. 쪽배 건너기가 발동도 빠른편 이고 판정도 좋아서 앞의 두 종의 적들이 점프하다가 격추당하는 경우도 잦다.

입수 시기도 빠른 편이고, 카타시로 소비도 없기 때문에 빠른 시기에 배워놓으면 유용하게 사용할 기술이다.

소용돌이 구름건너기와 마찬가지로 혈도 술법과 신성한 색종이, 화통 휘감아베기와 상성이 좋다. 위력은 소용돌이 구름건너기보다 훨씬 낮지만 카타시로 소비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또다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3.1.3. 비전 - 용섬[편집]

秘伝・竜閃
Dragon Flash

납도 자세에서 고속으로 베어 내리기와 동시에 진공파를 펼치는 유파 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힘을 모으면 베어 내리기 후, 진공파를 날린다

젊은 검귀 잇신은 매일 사투를 거듭하며 오로지 베기에만 여념이 없었다

어떻게 베었는지, 어떻게 벨지...

그렇게 고민하다 정신을 차려보니 칼날은 부러져있었다


습득 시점 및 장소
검성 아시나 잇신 처치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2
커맨드
RB/R1+LB/L1(모아서 공격)


검성 아시나 잇신을 처치하면 획득할 수 있다.

모으기없이 그냥 베면 사선 베기(위력 128)에 짧은 검기(위력 180)가 생성되어 가드 관통 데미지가 있다. 모아 쓰면 사선 베기(위력 128) 후에 검기를 발사해 충격파(위력 336)를 쏘아낸다. 다만 공중 유파기술로 공중에서 사용하면 차지가 불가능해서 충격파를 발사할 수 없다.

수리검와 더불어 세키로의 얼마없는 원거리 공격 수단으로, 사정거리가 수리검 만큼이나 길고 투사체 속도도 엄청 빨라서 아무 때에 아무렇게나 갈겨도 락온한 대상한테 무조건 피격한다. 풀차지해서 날아가는 충격파도 1차로 날라간 검기를 따라서 생성되는게 아니라 락온한 대상에게 유도되어 날아가기 때문에 오니교부같이 빠르게 달리는 적도 십중팔구 맞는다. 검기의 데미지가 전체 데미지의 약 70%를 차지하기 때문에 데미지도 상당히 높아서 왠만한 잡졸은 검기 한방에 끝장이 나기 때문에 수리검의 상위호환이라고 볼 수 있다.

카타시로 대비 최고의 HP 피해를 지닌 유파기술로, 적의 빈틈에 풀차지를 먹이면 막대한 피해를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인간형 적이면 후속 충격파를 반드시 막기 때문에 후딜을 걱정할 필요도 없이 일단 시전에 성공하면 후속타를 얻어맞을 걱정은 안해도 된다. 하지만 차징 없이 근거리에서 용섬을 쓰면 후딜이 상당이 세서 적의 반격에 처맞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확실하게 빈틈을 캐치해서 되도록 풀차지로 날리는 것이 더 안정성이 높다.

용섬의 특이점으로는 카타시로가 부족할 때 위력이 처참해진다는 것이 있다. 다른 유파 기술들은 카타시로가 부족해도 어느 정도는 피해가 나오지만 용섬의 경우 검기와 충격파가 사라지고 검격의 위력도 3분의 2 수준의 거의 평타 수준으로 너프되어 공격력이 굉장히 낮아진다. 일례로 불사베기의 경우엔 카타시로 없이 써도 평타 수준의 피해, 가드해도 평타 피해량 절반 정도의 데미지와 특유의 강경직은 그대로 존재하는데, 용섬은 그냥 허공에서 칼 한 번 휘적이고 끝이며 충격파가 없어 경직도 없다. 카타시로 잔량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1.03 패치로 카타시로 소모가 1 감소하고 데미지가 올라갔다.


3.1.4. 비전 - 잇신[편집]

秘伝・一心
One Mind

납도 자세에서 보이지 않을 만큼 빠른 연격을 펼치는 유파 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오로지 베는 것

그 한 가지에 마음을 둔다

그렇게 펼치는 연격은 신의 빠르기와 같다

오랜 기간 수련을 갈고 닦은 노년의 검성 잇신이기에 가능한 기술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아시나 잇신 처치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3
커맨드
RB/R1+LB/L1로 거합자세 개시, LB/L1떼기로 취소, RB/R1떼기로 발동, RB/R1추가입력으로 추격




오의를 뛰어넘는, 진정한 비전 스킬

아시나 잇신[27]

검성 잇신이 아닌 수라 루트의 최종보스인 늙은 아시나 잇신이다.

을 처치하면 획득할 수 있다.

빠른 발도(위력 120) 후 검기로 주변을 빠르게 베고(검기 4타 위력 60, 총 검기 위력 240), 추가 입력시 추격하면서 한번 더 베는(위력 240, 총위력 120+60×4+240=600) 기술. 카타시로가 부족하면 발도 후 검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용섬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공격 모션이 길다. 발도 후 검기 연타 공격은 모조리 소경직이기 때문에 슈퍼아머를 가진 적 상대로는 완전히 무방비가 된다.

검기로 벤 후 추가타로 들어가는 횡베기는 데미지는 괜찮은 편이나 후딜이 너무 길어서 적에게 반격 당하기 쉽고, 대부분 적들이 이 막타를 방어한다.

총 6타를 넣는 기술로, 추가타가 방어된다고 계산해도 총 위력 360에 체간 피해가 7이나 된다. 이는 일문자에 준하는 수준의 체간 공격력으로, 체력도 많고 체간회복도 빠른 닌자계통의 희귀한 강자(보스)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인간형 적에게 치명적이다. 물론 닌자계통의 희귀한 강자에게도 매우 강력하다.

1.03 패치로 카타시로 소모가 1 줄었고 데미지도 올랐다.


발도 후 추가타를 포기하고 바로 점프한 뒤[28]

점프는 제자리 점프를 해야한다. 앞점프로 접근하면 경직이 걸린 적에게 밟기 모션이 들어가서 다음 비전 잇신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

다시 발도하는 버질링이라는 활용법이 양덕들에 의해 발견되면서 이 스킬의 무시무시함이 드러났다.

영상은 NO부적 + 종귀 상태로 플레이 중인데 적들의 체간/체력이 팍팍 깎이는 걸 볼 수 있다.

버질링은 두 번째 공격을 포기하고 강경직인 첫 번째 공격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 적의 체간/체력을 동시에 순식간에 깎아버리면서 적을 계속 공격하는 활용법이다.

  • 일문자 이연은 체간 피해 계열 유파기술 중 가장 다방면으로 모난 곳 없는 기술이다. 카타시로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매 공격마다 비전 - 잇신의 총 데미지의 1/6분량의 데미지를 2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후상황도 좋은 편이다. 체간 피해도 높은데 자신의 체간을 회복하는 효과까지 있다. 하지만 선딜레이가 심하며 전진성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공중유파기술을 이용해 단점을 커버해야 한다. 또한 체간회복이 빠른 적에게는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
  • 비전 - 잇신은 체간 피해 계열 유파기술 중 가장 높은 공격력을 지녔다. 카타시로 소모가 크지만 그만큼 빠르게 전투를 마무리지을 수 있어서 전투의 피로도가 적고, 체간회복이 빠른 적에게도 효과가 좋은 기술이다.

3.1.5. 비전 - 앵무[편집]

秘伝・桜舞い
Sakura Dance

회전하는 힘으로 춤추듯 뛰어서 베는 유파 기술

카타시로를 소비하여 사용한다

흐르는 듯 펼쳐지는 연격으로 공중에서 춤추듯 난다

그리고 "공중 의수 닌자 도구"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것은 토모에류의 비전 기술이지만

때때로 토모에는 주인을 위해 이를 춤으로서 바쳤다

벚꽃 흩날리는 날, 머지않았으니

돌아갈 수 없다면, 춤이라도 바치리


습득 시점 및 장소
마음속 겐이치로 처치
스킬 유형
유파 기술
소비 카타시로
1
커맨드
RB/R1+LB/L1


파일:비전 앵무.gif


마음속 겐이치로가 사용하고, 희귀한 강자와의 연전에서 쓰러뜨리면 얻을 수 있는 기술. 공중에 뛰어올라 두번 베고, 공중에서 한번 더 도약하며 벤다.[29]

앵무라는 이름답게 벨 때마다 궤적을 따라 분홍빛 벚꽃잎이 흩어진다

입력 한번에 세 번의 검격 모두 나가므로 추가 입력은 필요없다. 연타형 유파기술 상당수가 그렇듯이 마지막 3타에 대미지가 몰려있다. 1타와 2타를 합친게 3타와 비슷한 정도.

데미지는 일문자 이연 풀차지보다 확실히 강하나 용섬이나 아시나십문자에는 못미친다. 또 가드관통 속성이기 때문에 중갑을 입은 적에게 데미지가 감소되어 들어가는 특징이 있고 체간 공격력은 차지 안한 일문자 1타와 비슷한 수준. 용섬이나 아시나십문자보다 데미지는 약하지만 카타시로 소비가 절반이란걸 감안하면 가성비가 매우 좋은 편이고, 무엇보다 앵무의 진가는 압도적인 유틸성에 있다.

앵무의 가장 큰 특징은 의수 닌자 도구와 연계할 수 있다는 것. 3타 후 공중에서 의수 닌자 도구를 사용하면 떠 있는 상태 그대로 도구를 사용한다. 사실 공중에서 의수 닌자 도구로 연계하는 건 대닌자 찌르기 및 떨구기도 가능하지만 앵무 쪽은 딜레이 없이 자연스럽게 연계되는데다 결정적으로 카타시로 소모가 1개다. 앵무의 다소 심심한 위력은 장치 창 - 추격 베기[30]

수리검이나 폭죽은 자연스러운 추격 베기 사용이 불가능하다. 사용하려면 거의 땅에 닿을 즈음에 사용해야 한다.

또는 장치 도끼 - 연결 베기[31]

공중 장치 도끼는 땅에서 사용할 때와 비교해 위력과 경직이 모자라기 때문에 고영 도당처럼 반격이 빠른 적에게는 연결 베기를 넣는 동안 반격 당할 확률이 높다.

로 연계해 보완할 수 있고, 폭죽을 사용한 무한 콤보도 가능하다. 발동이 빠르기 때문에 의수 도구를 먼저 쓴 후 앵무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화통 - 휘감아 베기 - 앵무[32]

앵무의 첫 2타는 경직이 약하기 때문에 반격에 대한 저지력이 약하다 일부 적에게는 앵무 전에 평타를 한 번 넣고 앵무를 쓰는 게 나을 수 있다.

콤보는 앵무 2타째에 화상이 터져 프리딜을 가능하게 만드는 아주 유용한 콤보이다.

그 외에도 공중으로 뛰어올라 칼질을 한다는 특징 때문에 선봉각마냥 하단공격을 회피할수도 있고,[33]

하단공격이 오는 것을 보자마자 입력해도 회피가 될 정도로 판정이 넉넉하다.

공격으로 체간을 다 깎았다면 대닌자 찌르기처럼 낙하인살도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뇌반이 가능하다, 심지어는 뇌반할때 들어오는 1틱의 데미지조차 들어오지 않는다! 뇌반 판정은 꽤 넉넉해서 미리 써서 2연격 하는 도중에 벼락을 맞아도 뇌반이 되고, 벼락 맞기 직전에 시전해도 뇌반이 된다. 카타시로가 없어도 뇌반이 가능하다.

앵무로 뇌반을 시전할 경우 마음속 겐이치로 3페이즈처럼 전용 모션으로 뇌반을 사용하며, 거의 즉발형이여서 그냥 뇌반을 쓰는 것보다 더 안전하게 뇌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앵무로 뇌반을 하면 상대의 바로 머리 위에 떨어지므로 그냥 뇌반보다 딜을 더 많이 넣을 수 있어 좋다.

한국판 번역은 나쁘진 않으나 원판의 느낌을 아주 살리진 못한 편. 원판 명칭인 "桜舞い"는 일본에서 벚꽃을 묘사할때 쓰는 어조인 "舞い桜(마이자쿠라, 흩날리는 벚꽃)"을 도치한, 단순히 춤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벚꽃이 흩날리는 모습 자체를 묘사한 명칭이다.

3.2. 닌자 체술[편집]


3.2.1. 대공 인살[편집]

対空忍殺
Anti-Air Deathblow

높이 떠오른 적의 숨통을 끊는 닌자 체술

공중에서 빈틈을 보이는 적에게 뛰어들어 인살할 수 있다

이것은 땅에 발을 딛지 않는 닌자 전투 기술 중 하나


습득 시점 및 장소
상점에서 1200냥에 구입
스킬 유형
닌자 체술


일반 스킬트리로는 배울 수 없고 아시나 본성 추억의 묘에서 구멍 뚫린 지붕으로 떨어지면 만날 수 있는 검은 삿갓에게서 구매해야만 한다.

적이 공중에 뜰 때 타이밍을 맞춰 점프를 함으로써 공중에서도 인살을 넣을 수 있다. 다만 적이 공중에 뜬다고 무조건 가능한 것은 아니고, 대공 인살이 가능한 패턴이 정해져있다. 해당되는 적이 많지 않아 사용처는 한정적이나, 적의 체간이나 체력 상태와는 관계 없이 타이밍만 맞으면 무조건 인살이 가능하다는 점이 중요하다. 주요 대상은 점프를 자주하는 오카미 여인무사나[34]

특히 공을 차는 개체를 상대로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면 타뢰 공격을 유도할 수 있는데, 이 때 공중에서 빈틈을 오래 노출하므로 달려가 점프하여 그대로 대공 인살을 시전할 수 있다. 중간보스인 오카미의 장 시즈카도 예외는 없다.

닭, 선봉사 도롱이 승려 등이 있다. 졸개 외에는 중간보스 중 칠면무사가 대공인살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신성한 색종이를 발라놔야지 가능하다는게 특징. 칠면무사는 장소에 따라서는 공중 인살도 가능한지라, 잘만하면 공중인살+대공인살로 인살구슬 2개를 날로 먹을 수도 있다.

대공인살은 적의 종류에 상관없이 무조건 공중에서 붙잡아 목을 칼로 순식간에 그어버린다.

3.3. 상시 효과[편집]


3.3.1. 생명의 호흡 - 음[편집]

命の呼吸・陰
Breath of Life: Shadow

인살에 성공했을 때 HP를 회복하는 상시 효과

인살은, 닌자에게 호흡과 같다

강자와의 싸움을 치르고 나면 그 호흡도 깊어지게 되는 것


습득 시점 및 장소
수생의 린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생명의 호흡 - 양 과 중복되어 적용된다. 수생의 린이 정석 루트로는 중반쯤에 잡기 때문에 양을 먼저 배우고 얻는 경우가 많다. 물론 작정하고 수생촌을 먼저 뚫으면...


3.3.2. 줄기의 숨결 - 음[편집]

幹の息吹・陰
Breath of Nature: Shadow

인살에 성공했을 때 체간을 회복하는 상시 효과

닌자는 다수의 적을 상대할 각오를 해야만 한다

적을 죽인 후 잔심과 함께 줄기의 숨결을 뱉어 자세를 가다듬는다

강자와의 싸움을 치르고 나면 그 숨결도 강해지게 되는 것


습득 시점 및 장소
갑옷무사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줄기의 숨결 - 양과 중복되어 적용된다.


3.3.3. 닌자의 약식 - 갑[편집]

忍びの薬識・甲
Shinobi Medicine Rank 1

회복 아이템을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닌자는 상처가 끊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약의 지식은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그것은 강자와 싸우고, 깊은 상처를 입어야만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아시나성 성하의 적귀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3.3.4. 닌자의 약식 - 을[편집]

忍びの薬識・乙
Shinobi Medicine Rank 2

회복 아이템을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닌자는 때로 죽음의 문턱을 피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약의 지식은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그것은 강자와 싸우고, 깊은 상처를 입어야만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아시나성 본성의 '불소'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3.3.5. 닌자의 약식 - 병[편집]

忍びの薬識・丙
Shinobi Medicine Rank 3

회복 아이템을 사용했을 때 효과가 상승하는 상시 효과

닌자는 타인에게 부탁하지 않고 홀로 싸운다

그러므로 약의 지식은 빼놓을 수 없다

그리고 그것은 강자와 싸우고, 깊은 상처를 입어야만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중반 아시나성 본성 1층의 적귀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회복 아이템 효과가 10%증가한다. 닌자의 약식은 다른 닌자의 약식은 물론 에마의 약식과도 중복 적용되어 최대 50%까지 상승한다.


3.3.6. 짐승의 업[편집]

獣の業
A Beast's Karma

카타시로의 소지 상한이 증가하는 상시 효과

카타시로는 미련의 환영이다

그러므로 카타시로는 업이 깊은 존재에게 많이 들러붙는다

죄 없는 짐승에게 인간의 업을 등에 지게 했던 것이다

죽인 것의 업을 이어받는다

이것 또한 닌자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기원의 궁의 중간 보스 '궁의 벚꽃소'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카타시로의 한도치를 +1 상승시킨다.


3.3.7. 수생의 호흡술[편집]

水生の呼吸術
Mibu Breathing Technique

"수생의 숨결"이라고 부르는 수중에서 호흡하는 비술

물속에서 잠수할 수 있게 되는 상시 효과

수생의 시조는 시집갈 것이 결정된 자들에게만 은밀히 이 비술이 전수되었다

시집을 원한다면, 수생의 숨결

이것 없이는 신성한 용으로 볼 수 없으리


습득 시점 및 장소
수생촌 보스인 환영 파계승 처치
스킬 유형
상시 효과


이 스킬을 배운 시점부터 수중에 있는 보물들을 루팅할 수 있게 된다. 기원의 궁에 들어가기 전에 각 맵 지점의 수중스팟부터 들르는 것을 추천. 보통 불사끊기 재료 중 제일 마지막에 잡는 게 환영 파계승이라 입수시기가 늦지만, 작정하고 2보스로 잡아서 일찍 얻는것도 가능하다.

상시 효과 스킬 중에 유일하게 회차를 넘어가면 없어지므로 다시 수생촌의 파계승을 잡을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3.4. 인살 인술[편집]

忍殺忍術
Ninjutsu Techniques

대상을 배후 인살했을 때 사용 가능하며, 카타시로를 다량 소모해서 상당히 강력한 효과를 얻는다.

메인 보스는 배후 인살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살 인술의 대상으로 쓸 수 없다.[35]

밟아서 뒤로 넘어가는 게 불가능하며, 체간이 무너진 시간 동안 뒤로 돌아가기도 빡빡하고 어떻게 뒤로 돌아가더라도 인살 시에는 보스가 바로 뒤돌아 정면 인살 모션이 나온다.



3.4.1. 피의 안개 술법[편집]

血煙の術
Bloodsmoke Ninjutsu

주위에 피의 연막을 생성하는 인살 인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이는 죽음으로 이뤄지는 닌자의 비술이다

인살한 자에게서 튀는 피를 피의 연막으로 바꾸어 주변의 적의 눈을 피할 수 있다

그 뒤에 더 죽일지는 자유이다

절박한 사투는 닌자를 닌자답게 만든다

그저 죽이는 것만이 아니라 양식으로 삼아라


습득 시점 및 장소
아시나 겐이치로 격파
스킬 유형
인살 인술
소비 카타시로
6
커맨드
배후 인살 중 LB/L1


이 술법을 이용하면 적들이 여럿 모여있는 곳을 배후 암살로 시작해서 지속적으로 배후 암살을 할 수 있다.
적에게 인식되어도 이걸 쓰는 순간 인식이 경계 레벨로 풀려버림+피안개 근처의 적은 일시적으로 무방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배후 뒤돌기와 연계해서 한번에 2-3 인살까지 노리는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카타시로를 6개나 먹는게 크나큰 흠.

독을 뿜는 도마뱀을 상대로 사용하면 초록 안개를 뿜어내고 그 안개에 맞으면 중독에 걸린다. 기원의 궁에 하얀 피를 뿜어내는 도마뱀을 상대로 사용하면 체력을 회복하는 흰 안개를 만들어 낸다. 체력 회복 안개의 경우 그 성능은 상당해서 아이템 쌀을 먹었을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체력이 틱당 회복을 한다. 덩치가 큰 적을 대상으로 사용하면 발생하는 연막도 크게 퍼진다.


3.4.2. 꼭두각시 술법[편집]

傀儡の術
Puppeteer Ninjutsu

인살한 적을 꼭두각시로 조종하는 인살 인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이 비술은 원래 죽었던 목숨을 한동한 현세에 머무르게 한다

그렇게 꼭두각시가 된 자는 잠시간 술자를 위해 움직인다

하지만 얼마 안 가 죽을 운명이다


습득 시점 및 장소
병풍 원숭이들 격파
스킬 유형
인살 인술
소비 카타시로
5
커맨드
배후 인살 중 LB/L1


잘 알았지? 이제부터 서로 죽여라

배후 인살한 상대를 잠시 동안 아군으로 만들어 적을 공격하게 한다. 아군으로 만들어놓으면 열심히 잘 싸우다가 가므로, 다수전에서 어그로를 나누거나, 아예 혼자 싸우게 놔두고 도망쳐서 숨는다던가의 활용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카타시로 소모가 인살 인술중 제일 적은 게 장점.그래도 5개지만... 꼭두각시는 늑대를 공격하지는 않지만 적을 공격하는 도중에 공격 범위 안에 들어가면 늑대도 피격하니 주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죽어버리는데, 이걸 다시 등을 잡고 인살인술로 리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난전시 의도치않은 꼭두각시 배후인살을 할 수도 있다는 게 단점. 용의 귀향 엔딩을 보기 위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스킬이다.

중간보스 중에서도 이 꼭두각시 인술을 활용해야 공략이 편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고영 도당 독수와 아시나칠본창 오니와 슈메 마사츠구가 대표적. 고영 도당 독수는 옆에서 지키는 고영 도당 닌자를, 오나와 슈메 마사츠구는 같이 등을 맞대고 있는 사무라이 대장[36]

이쪽은 그냥 돌아가면 안되고 월은의 사탕 효과를 받아야 가능하다

을 배후인살하여 어그로 분산 겸 딜링용으로 써먹을 수 있다. 이들은 보통 피통의 25%정도, 연계가 잘 되면 보스의 인살 게이지를 한개 깎은 시점에서 유통기한이 다 되니 재활용 타이밍을 잘 잡아보자.

인살 후 머리에 손을 집어넣고 무언가를 쥐어짜는 듯한 소리와 함께 머릿속을 후비는 모션이 나온다!

카타시로에 함정이 있는데, 이 인살을 사용하면 적의 영혼을 신체에 붙잡는 과정에서 적의 카타시로를 가져가지 않는다. 이 말의 의미는 적이 드랍하는 카타시로가 당장에 드랍되지 않는다는 것. 즉, 카타시로 소비량 5개는 다인전 전투를 지속하기엔 적은 양이 아니며 특정 적이 5개 이상을 드랍하는 것으로 볼 때 체감 소비량이 10개가 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중간보스도 꼭두각시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중보 꼭두각시는 역시 압도적인 성능을 발휘하긴 하지만 중간보스를 잡아 죽일 때 쯤이면 근처에 적이 없다는 게 단점. 또한 해당 중보 꼭두각시가 쓰러지기 전에는 아이템[37]

수주옥, 돈주머니

과 이벤트[38]

수생의 린 지장보살 이벤트, 안개 속 귀인 길뚫 이벤트 등

가 열리지 않는다.

3.4.3. 혈도 술법[편집]

血刀の術
Bestowal Ninjutsu

피를 도에 휘감는 인살 인술

카타시로를 소비해 사용한다

휘감은 피의 검섬으로 도를 이용한 공격의 거리가 늘어난다

죽인 자의 피를 저주의 칼날로 삼는 비술

늑대는 불사베기로 목을 치는 것을 통해 이 기술을 배웠다

그래서 이 기술은 불사베기를 닮았다

그러나 불사를 죽이는 힘까지는 없다


습득 시점 및 장소
목 없는 사자원숭이 불사 끊기[39]

처치만 한 것으론 습득이 안되고 불사베기로 마무리까지 해야 한다.


스킬 유형
인살 인술
소비 카타시로
7
커맨드
배후 인살 중 LB/L1


배후 인살을 한 상대의 피를 뽑아 검에 두르는 기술. 칼의 리치 자체를 두배 가까이 늘려주고 타격당 데미지가 60 상향되며 가드 관통 속성이 붙어 방어나 튕기기를 사용하여도 대미지를 줄 수 있고, 결정적으로 적이 튕겨내기를 써도 늑대가 튕겨내기 역경직을 먹지를 않는다. 소모 카타시로는 무려 7개.

중간 보스들 옆에 잡몹들이 있는 경우엔 인살 하고 버프를 걸어 방어 관통과 추가 대미지를 넣어가면서 딜을 넣을 수 있다. 혹은 잡몹들 다수를 상대할 때 가까이 있는 적을 전부 때릴 수 있어 좋긴 한데 게임 자체가 1:다수를 만나면 일단 뒤로 빠지는 게 정석이라 쓰임새가 굉장히 한정적이다. 더 답이 없는 건 목 없는 사자원숭이를 처치한 이후에 획득 가능한데 문제는 이 보스가 일반적으로 선봉사> 낭떠러지 계곡> 아시나 밑바닥 순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굉장히 이후에 보며[40]

순서를 바꿔서 간다고 하더라도 선봉사 하나 정도만 가는 데다 중간보스가 튕기기 시험을 보는 장수의 백족 선운이다.

사실상 1회 차에선 기원의 궁에서나 쓰는데 기원의 궁 잡몹들은 뭉치면 악랄한 난이도를 자랑하는 데다 이후 중간보스가 없다. 2회 차에서나 이 효능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불편함을 댓가로 공격력 자체가 매우 막강하고 숨겨진 사기 속성이 있는데, 혈도 술법을 두르고 공격을 하면 적이 내 공격을 튕겨내는 판정이 생겨도 늑대는 튕겨내기 역경직을 무시하고 계속 공격을 우겨넣을 수 있다. 즉 튕겨내기마저 관통해서 튕겨내기가 불가능하다! 슈퍼아머로 버티는 적은 몰라도 공격할때마다 가드를 올리는 인간형 적은 인살 당할때까지 가드만 올린채로 혈도에 속수무책으로 처맞다가 비명횡사한다. 그야말로 인간형 보스의 하드 카운터.

또 카타시로 문제도 어떻게든 써먹으려치면 사용하기 전에 카타시로 흘리기로 늘려서 사용하면 실제 카타시로는 2개밖에 먹질 않는다. 어차피 중간보스는 쓰러뜨리면 카타시로 15개를 수급시켜주기에 중간 보스 용도로만 쓰면 매우 막강한 인살 인술.

직접타격 없이 길어진 리치만으로 공격이 가능한데 대미지가 낮고 경직 판정이 없는 대신 적들이 가드 하지 않는다. 경직 판정이 없어 일문자 이연 같은 경우 먼 거리에서 맞추면 강경직은 들어가지 않아 조금 미묘하다. 대신 선풍베기나 소용돌이 구름건너기 같은 HP를 깎아내는 계열의 기술의 경우 먼 거리에서 쏴갈겨도 처음에는 적들이 가드하지 않아 피해를 제법 먹일 수 있고 가까이 접근해 맞추면 그건 그것대로 추가 피해를 주기에 피 깎아내는 속도가 쏠쏠하다.

독특한 경우로 도마뱀을 대상으로 혈도술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면 그 도마뱀의 피의 색과 속성을 따라간다. 비교적 자주 볼 수 있는 독 도마뱀으로 술법을 발동시키면 초록 색깔로 독속성이 인챈트 되고, 기원의 궁에서 하얀 피를 뿜어대는 하얀 도마뱀은 혈도술 사용시 칼날의 색이 하얗게 변하며 체력 회복(피흡) 속성이 인챈된다. 독 도마뱀의 독 혈도는 독 누적치가 사비마루보다 훨씬 높고, 틱뎀 자체는 사비마루와 같으나 지속시간이 40초로 매우 긴 상위호환이다. 하얀 도마뱀의 피흡 속성은 세키로 게임 전반에서 하얀 도마뱀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속성으로, 적을 때릴때마다 전체 체력의 10%씩 고정 회복하는 효과. 만약 혈도술을 통해 하얀 도마뱀의 피흡 속성을 인챈 후 보스룸에 진입할 수 있었다면 상당히 유용했겠지만 혈도 술법의 지속시간이 짧고 더구나 하얀 도마뱀이 기원의 궁에 한정되어 나오기에 실용성은 거의 없다.


3.5. 뇌반[편집]

雷返し
Lightning Reversal

과거 아시나에 괴물이 나타났다

괴물의 번개는 기원의 신울림

신과 같은 움직임 없이는 물리칠 수 없다

즉, 땅에 발을 딛지 않고 번개를 되돌려라

옛 전투의 족자




따로 스킬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 가능한 기술로서 존재한다. 이름 그대로 번개 공격을 되받아 치는 기술이다.

조작법은 공중에서 번개 공격을 받은 뒤 땅에 닿기 전 공격 버튼. 공중에서 번개 공격을 튕겨내는 것도 가능한데, 굳이 튕겨내지 않더라도 뇌반은 가능하다. 다만 점프 후 그대로 번개를 맞았을 시 뇌반을 시전 하기까지 약간의 스턴이 생기는데, 번개를 공중에서 튕겨낼 경우 특유의 챙 하는 소리와 함께 스턴 없이 거의 바로 뇌반을 시전 할 수 있다. 간혹 타이밍이 맞지 않아 스턴에 걸린 후 그대로 땅에 착지해버려 타뢰 대미지를 맞는 경우가 생기므로 가능하다면 튕겨내기를 해주는 게 좋다. 그리고 뇌반을 하기 위해 번개를 맞을 때 그걸 튕겨내든 그대로 맞든 약간의 대미지는 들어온다. 그마저도 부담이 된다면 번개 대미지를 줄여주는 모래를 사용해 보자. 안개 까마귀 깃털로 대미지를 안 받고 되받아치는 것이 가능하다.
1.05 패치로 추가된 오의인 앵무를 사용해도 피해 없이 뇌반을 사용할 수 있다.

# 번개를 받은 상태에서 공중밟기 시전 후 뇌반을 시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을 향해 점프하고 점프 무적시간에 번개 공격을 받으면 모션이 스킵되어 그대로 적을 밟은 뒤 뇌반을 먹이는 것.

여담으로 겐이치로를 비롯한 적들 또한 타뢰 패턴을 사용할 때는 조금이라도 공중에 떠서 사용한다.(일종의 맵 기믹에 가까운 앵룡은 논외)

1.05 패치에서 마음 속 겐이치로를 잡고 얻을 수 있는 신규 비전인 앵무로 뇌반을 하면 특수한 모션이 나온다.
마음 속 겐이치로에게 뇌반을 쓰면 겐이치로가 앵무로 뇌반을 되받아치는데, 바로 그 모션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영상



[1] 예를 들어 25 포인트에서 26 포인트로 넘어갈 때는 207pt를 요구하는데 26 포인트에서 27 포인트로 넘어가면 215pt를 요구하여 증가량이 약 8pt씩 점점 늘어난다.[2] 양이나 음 둘 중에 하나만 있으면 인살 한번당 전체 체력의 9%를, 둘 다 찍으면 전체 체력의 22%를 채워준다. 즉 증가폭이 두배 이상이라는 것.[3] 다만 2개는 상점에서 상당한 양의 금전을 주고 사야 해서 노가다가 좀 필요하다.[4] 꼭 창이나 칼이 아니라도 일단 찌르기면 간파는 가능하다. 움짤을 보면 알겠지만 고영 도당의 발차기도 危 찌르기로 판정되어 간파가 가능하다.[5] 찌르기 공격의 경우 공격 판정 자체는 좁지만 유도 성능이 뛰어나 공격이 들어오기 전에 회피를 하지 않는 이상 못 피하고 당하는게 대부분이다.[6] 선봉사 도롱이 승려를 대상으로 하면 감지거리가 대략 두 배 짧아진 것을 알 수 있다.[7] 어디까지나 소리의 탐지 범위를 줄이는 것이지 적의 탐지 거리를 줄이는 것이 아니여서 의외로 기척 죽이기와 중복되지 않는다.[8] 이 스킬이 없어도 전투 도중 배후 인살이 가능하긴 하나, 튕겨내기나 간파하기로 체간을 다 쌓으면 이동이 불가능하고, 적을 죽이면 뒤로 돌아가기 전에 이미 적이 쓰러져 죽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하다.[9] 주로 사무라이 대장 카와라다와 같이 일반 잡병과 뼈대를 공유하는 중간보스들은 물론 적귀나 칠면무사도 가능하다.[10] 쓸려고는 하나 뒤로 가지는 않는다. 마무리 인살이 별도로 존재하는 보스는 발동자체가 안된다. 또한 오니교부처럼 크기가 큰 보스는 모션이 발생하지 않음.[11] 최대 3회, 중간에 우산을 접어도 유지되지만, 의수 도구를 교체할 시 사라짐[12] 투사체의 공격력은 기본 방출 베기 공격력과 동일한 192(쿠사비마루 평타 공격력 × 2.4배)로, 방어한 투사체의 갯수에 따라 최대 3회까지 공격력이 50%씩 증가하고 2발째는 288(1.5×), 3발째는 384(2.0×)이다. 이는 다음 단계의 장치 우산에서도 모두 동일하다.[13] 엄밀히 따지자면 독 안개는 휘두를 때마다 뿌려지는 것이라 사비마루를 두번 휘둘러 독 안개가 두 개가 나온 판정이 되는 것이다.[14] 톤보라는 독특한 자세에서 공격을 하는 지겐류보다는, 일도류 계열의 일문자 후 머리치기에 근접하다. 일도류는 찌르기와 손목치기로 유명한 유파이나,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중앙을 일자로 내려 베는 일문자베기로도 명성이 높았다.[15] 수평 발도베기 후 일문자를 앞에서 보면 十 모양이기에 십문자라고 한다. 진스케와 우지시게 그리고 늑대의 십문자는 십자가 아닌 비스듬하게 대각선 베기를 하는 형태라 잇신과 에마의 정석적인 십문자와는 다르게보인다.[16] 번역 오류인지 이름과 설명의 이름이 다르다[17] 얼마나 높았냐면 최종보스를 상대로 버프없이 제대로 맞추면 체간 게이지의 절반 가까이 차오를정도.[18] 찍기 이후의 추가타는 적이 공격을 방어한 것이 기준임. 보살각의 막타는 어쩔수 없이 적안옥을 먹고 맞딜함.[19] 물론 위의 비교도에서 막타는 온전히 들어갔다는걸 감안하면 1.8배정도로 예상됨.[스포일러] 중반 귀불 초기화 후에는 아시나 잇신 본인이, 최후반 귀불 초기화 후에는 약사 에마와 대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20] 한자는 '올빼미류 비전 대닌자 떨구기'[21] 대닌자 찌르기와 아시나십문자를 배워도 쪽배 선너기 전서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해금되지 않는다.[22] 방어 관통이 무색하게 자체적으론 여전히 체력, 체간 대미지가 낮다.[23] 모션이 2타, 2타, 1타 이렇게 끊어지는데, 사실상 전반 4타모션 전부의 위력이 일반 공격 한 대 수준이었다.[24] 정확히는 2타, 2타, 1타 이렇게 끊어져서 판정상 3타다. 인간형 적에겐 3연타까지만 확정적으로 들어가기에 쪽배 건너기는 소용돌이 건너기와 달리 반격을 받을 일이 없다.[25] 정면 한정. 후방이면 뒤돌아 보는 과정에서 한대 더 무방비로 당한다.[26] 적이 첫 타를 튕겨내는 건 찌르기 공격처럼 준비시간이 긴 경우에만 한정된다.[27] 검성 잇신이 아닌 수라 루트의 최종보스인 늙은 아시나 잇신이다.[28] 점프는 제자리 점프를 해야한다. 앞점프로 접근하면 경직이 걸린 적에게 밟기 모션이 들어가서 다음 비전 잇신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29] 앵무라는 이름답게 벨 때마다 궤적을 따라 분홍빛 벚꽃잎이 흩어진다[30] 수리검이나 폭죽은 자연스러운 추격 베기 사용이 불가능하다. 사용하려면 거의 땅에 닿을 즈음에 사용해야 한다.[31] 공중 장치 도끼는 땅에서 사용할 때와 비교해 위력과 경직이 모자라기 때문에 고영 도당처럼 반격이 빠른 적에게는 연결 베기를 넣는 동안 반격 당할 확률이 높다.[32] 앵무의 첫 2타는 경직이 약하기 때문에 반격에 대한 저지력이 약하다 일부 적에게는 앵무 전에 평타를 한 번 넣고 앵무를 쓰는 게 나을 수 있다.[33] 하단공격이 오는 것을 보자마자 입력해도 회피가 될 정도로 판정이 넉넉하다.[34] 특히 공을 차는 개체를 상대로 거리를 적절히 유지하면 타뢰 공격을 유도할 수 있는데, 이 때 공중에서 빈틈을 오래 노출하므로 달려가 점프하여 그대로 대공 인살을 시전할 수 있다. 중간보스인 오카미의 장 시즈카도 예외는 없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