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figure legend - nonmun figure legend

저자 에 대한 지침

의과학 분야 논문을 작성할 때

논문 투고를 위하여 원고를 준비할 때 독자들이 읽기 쉽도록 글을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은 모든 저널에서 제시되는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저널의 종류에 따라 요구하는 사항들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도 필수적으로 지켜야 하는 핵심 가이드라인이 있는데 이것을 따른다면 당신의 연구는 좋은 논문에 출판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팁

  • 당신의 연구는 반드시, 간결하고 정확하며,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합니다.

  • 어느 가이드라인이나 관례를 따르든, 당신의 연구 내용은 일관성있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 만약 문서에 약어가 4번 이상 쓰인다면 처음에 사용할 때 의미를 함께 제시해 주셔야 합니다.

  • 특별히 안내를 받지 않았다 할지라도 모든 수치는 "Zero"또는 "One", 그리고 문장의 첫 시작을 제외하고는 숫자로 표기하셔야 합니다.

  • 만약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번역하신거라면, 직역하실 경우 의미 전달이 잘 안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과학적인 시각으로 봤을 때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였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수치의 자릿수를 표시하기 위해 찍는 점은 콤마가 아니라 소수점임을 기억하십시오. 그리고 당신의 원고를 읽을 사람은 대부분이 외국인임을 명심하고 특정 장소나, 당신의 나라에서만 통용되는 특정 개념이나 조건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덧붙여주셔야 합니다. 

  • 문장을 만들 때에는 주어를 동사와 가까운 위치에 두고 최대한 문장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수동태를 너무 자주 쓰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최근엔 "우리 연구팀은 (in our study)", "우리가 수행하였을 때 (we performed)" 와 같이 개인이 속한 단체를 주체로 하는 화법을 선호하는 분위기이나, 이 역시 너무 자주 쓰지 않는게 좋습니다. 특히 이 화법을 실험 방법이나 그림설명 부분에는 절대 사용해선 안됩니다. 수동태는 연구자의 행위를 특정지을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되도록 사용하지마시고, 능동태를 사용하십시오. 

  • 길고 복잡한 리스트가 있을 경우에는 세미 콜론(;)을 사용하여 각 항목들을 분리하십시오.

  • 당신이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였는지는 묘사할 대에는 과거형 문장을 사용하시고 일반적인 문장이나 결론을 토론할 때에는 현재형을 사용하십시오. 따라서 초록, 실험방법, 결과 부분의 대부분의 문장은 과거형이 되어야 하며, 도입부와 토론의 일부는 현재형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 영국식 영어나 미국식 영어 두 가지 모두 사용하셔도 되지만 스펠링이 일관성있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원고 의뢰: 

전형적인 실험 및 연구 논문은 도입부(introduction), 실험방법(Method), 결과(Result), 그리고 토론(Discussion)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또는 IMRAD라고도 불립니다). 

모든 섹션은 편집과 검토과정이 용이하도록 줄 간격을 2.0으로 맞추고 가장자리 여백을 넉넉하게 남겨주십시오. 페이지 숫자는 타이틀 페이지에서부터 순서대로 매겨주십시오.

타이틀 페이지

이것은 당신 원고의 제일 앞부분에 올라갈 페이지며, 여기엔 다음과 같이 중요한 연구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합니다. 

논문 제목: 당신의 연구논문 제목은 정확하고 다양한 학술 분야의 청중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통 저널에 따라 두 줄에서 세 줄정도의 길이로 작성하며, 그 안에는 연구내용 중 핵심이 되는 단어를 넣어서 추후에 전자정보검색 시 키워드만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저자(들): 여기에는 해당 연구에 기여한 각 저자들의 직위와 소속 기관을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각 저자들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성함과 주소, 전화/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기입해야 합니다. 재인쇄(reprint)될 때 요구되는 저자정보 역시 기입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연구 지원(source of support): 여기에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정부지원금, 기기, 약물 등을 모두 기입해야 합니다.

단어수 계산: 저널에 따라 초록(Abstract), 사사기입란(Acknowledgements), 피겨 설명란(Figure legends), 참고문헌란(References)을 제외한 원고 내용에 단어 수 제한이 있습니다. 당신이 투고한 원고에 누락된 것이 없음을 확실히 알기 위해 각 피겨와 표의 개수를 필히 기재하셔야 합니다.   

러닝 헤드: 몇몇 저널은 대체로 타이틀 페이지의 아래부분에 인쇄될 40자 내외의 짧은 러닝 헤드 문장을 요구합니다. 

초록:

이 부분은 타이틀 페이지 다음에 나오는 내용으로, 원고의 나머지 부분과 별개로 단어 수 제한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독자가 논문에 대한 정볼의 대부분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니만큼 이 연구의 목적과 배경, 기본적인 실험과정, 주요한 발견 그리고 주요한 결론을 담고 있어야 합니다. 이 연구에서 발견한 새롭고 중요한 측면, 그리고 이 연구가 학문에 기여한 주요한 결론들 역시 강조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참고문헌을 언급하거나 약어 또는 두문자어를 사용하거나 구체적인 숫자가 수치를 쓰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합니다. 

도입부(introduction)

이 부분은 원고의 첫 번째 본문에 해당되는 곳으로, 타이틀 페이지와 초록에 이어 원고의 3페이지 쯤에 위치하게 됩니다. 이 곳은 본격적으로 당신의 연구목적과 연구결과를 서술하기 전에 연구가 어떤 배경에서 시작되었는지 소개하는 곳으로 간단명료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결론과 데이터설명은 전부 빼십시오.  참고문헌 정보 역시 빼는 것이 좋습니다.

실험 방법 (또는 실험 과정)

이 부분에는 연구 당시의 정보만을 기재하면 됩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왜, 어떻게 이 실험을 수행하였는지를 합당하게 설명하는 것과, 실험과정을 과거형으로 작성하는 것, 그리고 연구자가 속한 단체를 주체로 하는 화법(in our study, we perform..)을 사용하지 않는 것 입니다. 

모든 정보는 독자가 읽었을 때 충분히 재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합니다. 사용한 모든 약물과, 화학물은 처리 농도와 처리 방법을 명시해야 하며, 기기 및 장비는 괄호 안에 주소와 제조업체를 적어 넣어야 합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실험방법은 간단히 참고문헌을 명시하고, 새롭게 개발된 실험방법은 상세히 기재하십시오.

모든 두문자어와 통계학 용어는 처음에 사용할 때 그 의미를 설명하고 시작해야 하며 약어도 마찬가지로 IUPAC-IUB (Biochemical Nomenclature and Related Documents, 1992)에서 지정한 화합뭉 약어나 또는 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에 등록되어 있는 측정단위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설명을 붙여야 합니다. 약어는 한 원고 내에 해당 약어가 세 번 이상 나올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하며 몇몇 논문에서는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되는 약어 리스트를 제공해주기도 합니다. 

결과

중요한 발견들을 나열하는 곳이며, 실험방법 작성시와 마찬가지로 과거형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부가적인 데이터는 추가 데이터 (supplementary data)로 뒷부분에 추가할 수도 있으므로(저널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모든 데이터를 여기에 나열할 필요는 없으며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강조할 수 있도록 배치하면 됩니다. 

수치결과는 반드시 절대값 또는 단위와 함께 나타내야 합니다 (예: 퍼센트).

랜덤이나, 정규곡선, 중대한(significant)과 같은 통계전문용어를 비전문적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토론(Discussion): 

연구 내용 중 핵심적인 결론으로 이끄는 새로운 측면의 발견이나 주요하게 기여한 부분은 강조되어야 합니다. 

앞에서 이미 한 번 언급한 데이터나 상세정보를 반복하지 마십시오..

토론 부분은 이 연구에서의 발견이 추후 학술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도 고려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뒷받침할 정보가 없는 언급은 피하십시오. 

부록 

토론(Discussion) 부분에 이어서, 원고의 구성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사표기(acknowledgement), 참고문헌, 피겨 설명(figure legend), 테이블, 그리고 추가 데이터(supplementary data) 정보. 하지만 이것 역시 참고문헌 기재방법처럼 저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투고하기 전에 해당 저널의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사의 시제

일반적으로, 과거시제는 실험방법, 관찰결과, 당신이 보고하고 있는 데이터를 설명할 때와 같이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기술할 때 사용합니다. 현재시제는 결론을 말할 때, 그리고 지난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을 다룰 때 주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초록과 실험재료 및 방법, 그리고 결과 부분의 대부분은 과거시제로 서술하고, 도입부와 토론의 일부분은 현재시제로 서술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약어설명

IUPAC-IUB (Biochemical Nomenclature and Related Documents, 1992)에서 정의내린 약어이거나 Système International d'Unités (SI)에 등록된 측정단위가 아닌 경우, 모든 약어는 처음 사용할 때 괄호 안에 설명을 넣어야 합니다. 만약 해당 약어가 문서에 4번 이상 나오지 않는다면 약어표기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몇몇 논문에서는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되는 약어 리스트를 제공해주기도 합니다. 

명명법

명명법 규정은 ASM journal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available at //mcb.asm.org/misc/journal-ita_nom.dtl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