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ȳ��ϼ��� ��Ŀ�����Դϴ� :)

���� ���ı�(Lima syndrome)�̶� ����������
���γ� �������� ���¿� ���������� ��ȭ�Ǿ�
�׵鿡�� �������� ������ �������� �µ���
�ŵδ� ���̼����� ������ ���ϴ� �ɸ��� ����Դϴ�.
������ ���������� ��ȭ�Ǵ� ����Ȧ�� ���ı��� �ݴ��ε���.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 ���ı��̶�� ���� 1996�� 12�� ��� ��������
�߻��� �Ϻ� ������ ���� ���� ��ǿ��� �����ƽ��ϴ�.
��� ������ ������ ����� ������ ���� �����žƸ��� �������
������� ��� ����� ����������� ����� ��������
1997�� 4�� 22�ϱ��� 127�� ���� ������� �Բ� ���½��ϴ�.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 �� �Ⱓ�� ���������� ���� �����鿡�� ��ȭ��
�������� �Ⱥ� ����, �̻� ����, �Ǿ�ǰ �Ƿ� ���� ����
����ϰ� �ð��� �������� ���������� �����鿡��
�ڽŵ��� �Ż��� �о���� ���� �������ϴ�.
�׷��� ���� ���ı��� �߻��� ������ �������� �и����� �ʽ��ϴ�.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ݱ��� �� �������� ����� ���ԵǾ� �־��� ��������
���⵵ �ϰ�, ���� ���� ����ġ�� ���Ƽ� ��� ��������
�ϱⰡ ������� �������� ���� ���ص� �ֽ��ϴ�.
������ ������ ������ ��ȭ ������ ����� ���� �� ��ҿ�
���� �����鼭 �ڽŵ��� ó���� ��Ȳ�� ����
�����밡 �־��⿡ �����ߴ� ������ ���Դϴ�.

�� ����+�����  ��� �� ���� 0�� �� �����Ϸ� ���� ��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 ����� �غ� �� ����!  ����� �� ���� 0�� �� �����Ϸ� ���� ��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안녕하세요. 이것저것의 후니입니다. 오늘은 범죄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2가지 심리적 증후군을 이야기해봅시다. 그것은 스톡홀름 증후군과 리마 증후군인데요. 오늘은 이 2가지의 증후군의 이미, 유래, 원인, 증상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리마 증후군 사례 - lima jeunghugun salye
납치 범죄

스톡홀름 증후군이란?

스톡홀름 증후군은 범죄 상황의 피해자가 극한 상황에 빠졌을 때, 공포심을 유발한 대상(가해자)을 무서워하거나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체감을 가지게 되는 현상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이 생기면 피해자가 오히려 가해자의 입장에 서서 가해자를 도와주는 신기한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유래

스톡홀름 증후군은 1973년 8월에 발생한 스톡홀름 노르말름스토리 사건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인질범들이 4명의 직원을 인질로 잡고 대치하면서 인질들은 인질범들과 애착관계를 형성했습니다. 6일 정도 되는 기간에 자신을 해치지 않았다는 사실에 고마움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후에 인질에서 풀려난 후, 인질들은 인질범들에 대한 불리한 증언을 거부했습니다. 오히려 인질범들을 옹호했다고 하죠. 이 사건에 유래해서 '스톡홀름 증후군'이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원인

스톡홀름 증후군 원인은 피해자의 감정적 변화가 큽니다. 피해자는 범죄라는 극한 상황에 처해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입니다. 이때 가해자가 친절한 모습은 보이면 피해자는 이 가해자가 자신이 생존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으로 자신을 가해자와 동일시하며 이 것이 심해질 경우 동조하는 현상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톡홀름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해야 합니다.
  • 오직 가해자만의 의사소통과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야 합니다.
  • 가해자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피해자가 인지해야 합니다.
  • 가해자가 자신에게 친절하게 대해주고 있다고 인지해야 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사례

스톡홀름 증후군의 대표적인 사례는 2가지입니다.

  1. 데이트 폭력 - 폭력을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애정표현에 대한 애착이 더 심해진다고 합니다. 이로써 연인과의 관계를 정리하기 더욱더 힘들어집니다.
  2. 가정폭력 - 가정폭력을 당한 아이는 자존감이 낮아지고 부모에게 비이성적인 애착이 형성이 된다고 합니다.

 

리마 증후군이란?

리마 증후군은 스톡홀름 증후군의 반대입니다. 리마 증후군은 스톡홀름 증후군과 다르게 가해자들이 피해자들에게 동화되어 동정심을 가지게 되고, 공격적인 태도를 거두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리마 증후군 유래

1996년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발생한 인질 사건에서 유래했습니다. 페루의 반정부조직 요원들이 1996년 12월 일본 대사관을 점령하고 약 400명의 인질들과 함께 생활하게 됩니다. 인질들은 처음에는 어떠한 것도 허락하지 않다가 가족에게 편지를 보내거나 의류 반입을 허가하는 등 점차 인질들에게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결국 반군들은 모두 사살되었으나 이 사건을 유래하여 '리마 증후군'이라는 말이 생겼습니다.

 

리마 증후군 원인과 증상

리마 증후군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진 게 없으며, 아마도 가해자의 심리적(내적) 변화가 원인으로 보입니다. 리마 증후군이 생기면 가해자는 포로에게 공감을 하며, 동일시하고, 애착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게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스톡홀름 증후군과 리마 증후군은 범죄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증후군입니다. 때문에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증후군이며 이에 대한 치료법도 알려진 것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심리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심리치료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댓글, 공감 부탁드립니다.

최근 들어 심리∙정신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모습을 가진 주인공을 메인 소재로 그리는 영화나 드라마가 자주 보입니다. 영화 '나쁜 남자'에서는 평범한 여대생이 야수 같은 남자의 욕망에 휘말려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는 이야기를 그리는데요. 그녀는 가혹한 운명을 벗어날 기회를 잡기도 했지만, 이상하게도 남자에 대한 연민을 보이며 탈출하지 못하죠. 지나치게 영화 같은, 드라마틱한 내용이라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실제 인간 행동에도 나타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 뜻

피해자가 가해자를 변호하는 심리 현상을 스톡홀름 증후군이라 부릅니다. 피해를 받은 인질은 해를 가한 범인에게 동조하고 감화되며 비이성적인 행동을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 가족 관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납니다. 부부간 폭력이나 아동 학대 등에서 '가해자가 때리긴 해도 착한 사람이다'라고 변호하는것처럼 말이죠. 반대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동화되는 모습을 보일 수도 있는데, 이를 리마 증후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질병이 아니기에 정확한 기준에 대해 아직 전문가들의 이견들이 많은 상태지만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입니다.

  •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긍정적임
  • 오히려 자신을 도와주려했던 친구, 가족, 경찰 등의 대상들에게 부정적임
  • 이전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무력감을 종종 경험함
  • 두려운 대상을 동경함으로써 그 두려움을 극복하려 함
  •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친절하게 보이거나 피해를 주지 않는 것처럼 말할 수 있음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진단받은 사람들과 비슷한 증상(불면증, 집중력 장애, 비 사실감 등)을 가지고 있음

 

그렇다면, 이러한 이상 심리 현상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가해자가 친절한 모습을 보인적이 있었다면, 피해자의 자아는 생존과 가해자를 동화시켜 버립니다. 이에 따라 가해자가 가한 폭력적 행동을 합리화 하기 시작하는데요. 이 합리화가 가해자에 대한 두려움보다 클 경우 발생된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목격할 수 있는 사례들

가족 관계

부부 관계, 혹은 부모 자녀 사이에서는 당연하게도 가족이라는 관계가 형성됩니다. 그러나 가정 폭력이 일어났을때조차 인지하지 못하여 '그래도 가족이잖아'라는 생각으로 지나쳐버리기 마련입니다. 가족 관계로 인해 낮아진 자존감은 부모에 대한 애착이나 동일시로 해결하려는 모습도 보일 수 있습니다.

 

연인 관계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은, 폭력이 잦을수록 연인의 애정표현에서 더 큰 사랑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유명한 해외 사례들

1970년대 미국의 19세 여성(패티 허스트)는 납치를 당했지만, 납치범에게 동화되어 2개월 뒤 납치범과 함께 샌프란시스코 은행 습격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정신이상자에게 납치된 소녀(엘리자베스 스마트)는, 성적 학대를 당하고 부인 행세를 하도록 강요당했었습니다. 그러나 납치 기간 동안 신체적 구속이 전혀 없는 상태였는데도 도망가지 않고 계속 범인과 함께 생활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