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오브98 커맨드 - king obeu98 keomaendeu

{{{#!wiki style="word-break:keep-all;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min-width:25%"
{{{#!folding ⠀[ 넘버링 타이틀 ]⠀
{{{#!wiki style="margin:-6px -1px -21px"
<colcolor=#fff>프롤로그 '94 (RE)
오로치편 본편: '95 · '96 · '97 / 드림매치: '98 (DC판 · UM)
네스츠편 본편: '99 (에볼루션) · 2000 · 2001 / 드림매치: 2002 (UM)
애쉬편 본편: 2003 · XI · XIII / 드림매치: XII
新 스토리 XIV · XV
}}}}}}}}}}}}

1. 개요2. 대부분의 KOF 시리즈

3. 몇몇 시리즈에서만 가능한 테크닉

4. 일부 캐릭터 한정 테크닉

1. 개요

더 킹 오브 파이터즈에서 정식 시스템으로는 되어있지는 않지만 버그성이든 아니든 많은 유저들이 애용하고 있는 잡테크닉에 대해서 서술한다. 이중 단축 커맨드 같은 것들은 시리즈 공식 시스템으로 적용되었다.

2. 대부분의 KOF 시리즈

2.1. 뒤잡기, 하단털기

점프공격이 주가 되는 KOF 시리즈의 많은 대공법 중 하나이다. 하단 털기는 상대가 공대공을 노리고 점프공격을 일찍 썼거나 공대지가 빈약한 기본기를 사용했을 경우, 앉아서 상대의 점프공격을 피하고 공격판정이 아래로 쫙 깔리는 공격을 사용하여, 착지딜레이 때 상대의 점프에 대해 반격하는 것이다. 물론 이럴려면 앉은 키가 낮아야 한다.

모든 KOF 시리즈는 점프 후 무조건 1프레임 이상의 착지딜레이가 있다. 점프만 했을 때와 점프 기본기를 내뻗었을 때 1프레임, 공중 특수기 발동 후에는 3프레임, 공중 필살기 발동 후에는 그 이상. 이를 이용해, 상대방이 착지를 할 때쯤 바닥에 쫙 깔리는 공격판정을 가지는 공격을 내밀어서 깔아두면 1프레임 이상의 착지딜레이 때 상대는 지상에 있으면서 아무것도 못 하는 상태가 되어 지상에서 공격을 맞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공격은 바닥에 깔리는 공격판정이 아니어도 되긴 하지만 이 경우 깔아두려고 하면 공중에서 맞는 경우가 태반이라 힘들다. 공중에서 맞으면 콤보 연결이 안 되니...

보통은 앉아 B(하단약발, 앉아약발) 등의 기본기를 깔아두면서 착지딜레이를 잡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앉아 D(하단강발, 앉아강발) 등으로도 할 수 있지만 앉아 B는 맞추면 콤보 한 대 먹일 수도 있는 데 반해 앉아 D는 맞으면 다운되어 절대판정 아니면 콤보를 이을 수 없으므로 메리트는 적다. 다만 보통은 앉아 D가 더 리치가 길고 판정이 더 좋으며 지속시간이 긴 경우가 많아 좀 멀리서 하단털기를 해야 할 때나 앉아 B를 정확한 타이밍에 깔기 힘들 때 사용된다.

점프공격에 대해 앉은기본기로 반격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므로 앉은자세가 낮은 캐릭터들이 하단털기를 시도할 때 유리하다. 앉아 B 등을 쓸 때 자세(정확히는 피격판정)가 낮아진다면 더더욱 좋다. 그리고 많은 캐릭들이 앉아 B 등을 쓸 때 자세가 낮아진다.(물론 아닌 캐릭터들도 있긴 하다. 오히려 앉B 쓸 때 키가 커지는 놈들도 더러 있다. 그게 쿄레기와 허약테라고는 굳이 말하지 않겠다)

뒤잡기는 하단털기와 비슷하지만 상대가 역가드를 노렸을 때 앞으로 걸어가거나 대쉬해서 상대방의 뒤로 돌아가 하단털기를 하는 것이다. 역가드 성능이 허술할 경우 하단털기보다는 성공률이 훨씬 높으며 특히 '대시해서 뒤잡기'는 상대가 역가드를 노리지 않더라도 점프관리가 잘못됐거나 제자리점프를 예측했을때 써먹을 수 있기 때문에 중수에서 고수로 올라가는데 필수적인 스킬이다.

그러나 점프공격의 판정이 밑으로 깔려 있거나 지속시간이 길거나 하면, 상대가 공중에서 지상으로 착지하기 전에 하단털기를 시도하는 상대를 때릴 수가 있다. 뒤잡기라도 역가드 성능이 뛰어나다면 같은 원리로 뒤잡기를 시도하는 상대를 때릴 수 있다. 이 때 상대는 당연히 앉아 있으므로 점프공격을 그냥 맞는 수밖에 없다.

KOF 관련 공략게시물에서 '점프공격이 하단이 빈다'는 말은 잘 써도 하단털기를 당하는 점프공격을 이르는 말.(예: 클락 점프 D) 반대로 '점프공격이 하단이 비지 않는다'라는 말은 잘 썼을 때 하단털기가 안 되는 점프공격을 이르는 말이다. 물론 하단이 비지 않는 점프공격이라도 대부분 지나치게 일찍 쓰거나 하는 등 허투루 점프공격을 쓰면 하단털기가 가능하다. 다만 하단털기는 물론, 뒤잡기조차 절대로 되지 않는 악마의 기본기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면 최번개의 점프C나 02 김갑환의 점프A, 02UM 카스미의 점프 D 등등으로, 역가드 성능도 매우 뛰어나고 아래로 쫙 깔리는 공격이라 하단털기, 뒤잡기 둘 다 극히 힘들다.

2.2. 잔상대점프 리버설

(KOF 96~KOF NW까지 가능)
KOF 96부터 추가된 잔상대점프에는 몇 가지 비밀이 있는데 첫번째는 일반 점프에 붙어 있는 선딜레이 4프레임이 없다는 것이고 바로 하단무적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바로 점프로 인식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깔아두기로 맞더라도 공중에서 맞은 것으로 인식하여 절대판정이 아닌 이상 이후에 콤보를 연결할 수가 없다. 바로 이것을 이용해 기상시 상대가 앉아약발 등을 깔아두는 것을 잔상대점프 리버설로 피하는 것인데 특히 위아래로 눌린 형태라 정상적인 가드가 매우 불편한 최번개의 경우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거꾸로 뒤집혀서 다운된 경우'에는 뒤돌아보는 프레임 4프레임이 존재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XI에서는 잔상대점프에 하단무적이 사라져서 안 되고, XIV에서는 잔상대점프 역시 선딜레이 4프레임이 붙어서 안 된다.

2.3. 리버설 기본잡기

KOF의 기본잡기는 몇몇 필살기, 기본기를 제외하고는 모든 지상기술 깔아두기를 기본잡기로 잡아넘길 수 있다. 다만 잔상대점프 리버설처럼 '거꾸로 뒤집혀서 다운된 경우'에는 불가능. 또한 1타째에 히트백이 없는 다단히트계 기본기나 일부 필살기는 리버설 기본잡기 불가. 여담으로 이걸 자주 성공시키면 상대편에서 게임 막한다고 욕한다.(...)

특히 14부터는 조금만 빈틈이 생기면 기본잡기로 리버설이 가능하므로 신경을 써야한다.

2.4. 기술이 먼저 나가는 순위

초필살기
AB(긴급 회피), CD(날리기)
도발
MAX발동
필살기
특수기
기본잡기
기본기(A>B>C>D 순서로 우선순위)[1]

저 순서로 기술의 우선 순위가 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기본기간의 우선순위인데 기본잡기를 노릴 때, 커맨드가 ←or→+CorD인 기본잡기를 ←or→+ACorADorBD(BC는 스트라이커, 02의 MAX발동 등의 커맨드이므로 제외)[2]로 사용하면 기본잡기가 나가지 않을 때는 빈틈이 적은 A 혹은 B가 나가고 기본잡기가 나갈 조건이 되면 기본잡기가 걸린다. 물론 특수기 커맨드가 겹칠 경우에는 특수기가 나가버리므로 커맨드에 주의하자.(그래서 02세스에게는 불가능한 테크닉)

또한 콤보를 넣을때 삑사리를 막기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예로 각성 크리스의 암흑대사치콤보에서, 장풍이라도 나갔다면 그대로 전세역전인데 특수기 후에 대사치 레버를 입력하고 AD버튼으로 발동을 시킨다. 이런 입력을 한 경우에 초필살기 커맨드가 제대로 먹혔다면 대사치, 삑사리라면 사지를 무는 화염이 발동되어 콤보를 이을 수 있다.[3]

2.5. 선입력 응용

선입력을 더욱 더 파고들어 손쉽게 사용하는 테크닉. 선입력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은 격투게임의 잡테크닉 문서의 7번 문단을 참조.

2.5.1. 버튼 유지

KOF 시리즈에서는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필살기, 초필살기, 잔상점프, 대시, 백대시 등이 나가지 않는다.(2002와 XI 이후로는 잔상점프, 대시, 백대시 가능) 특히 필살기가 나가지 않는다는것이 중요한데 예를 들어 →+A 특수기와 ↓↘→+손 필살기와 ↓↘→↘↓↙←+손 커맨드가 존재하는 타쿠마의 경우 국민콤보인 ↓B-↓B-↓-A-귀차(→+A)-용호난무(+손)를 사용하기가 상당히 난감하다. 귀차의 캔슬 가능 프레임이 짧기 때문에 정커맨드로 사용하려면 많은 수련이 필요하다. 선입력으로 ↓B-↓B-↓A-↓↘→+A-↘↓↙←+손을 하려니 호황권(↓↘→+손)이 겹치는 바람에 특수기 대신 호황권이 나가버려서 안된다. 하지만 ↓↘→+A를 입력할때 B버튼을 누르고 있는다면 호황권이 나가지 않고 귀차가 바로 발동되면서 손쉽게 콤보를 넣을 수 있다. 물론 초필살기를 쓸 때는 b에서 손을 떼야 하고.

XI 이후로는 버튼유지를 해도 태그를 제외하고 모두 발동되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4]

2.5.2. 캔슬불가 기본기를 이용한 선입력

특수기 및 필살기로 캔슬이 되지는 않으나 짤짤이는 가능한 기본기를 이용한 선입력이다. 그 예를 들자면 97 최번개의 ↓B-↓B-A-봉황각(↓↘→↘↓↙←+발) 97최번개는 →+A이라는 쓰레기급 특수기를 장비하고 있는데 레버중립 원거리 A에서 쌩으로 봉황각을 입력하기는 힘들다. 다만 ↓B라는 기본기는 특수기 및 필살기로 캔슬이 되지는 않으나 원거리A로 캔슬이 가능하다. 그래서 커맨드를 ↓B-↓B-↓↘→A-↘↓↙←+발로 입력하면 특수기는 나가지 않으면서 선입력이 가능.

2.6. 가드 캔슬 흘리기, 부수기, 막기

상대방의 러시를 끊고 주도권을 자신이 잡거나 구석에 밀어붙이면서 빠져나오려는 상대를 더욱 압박하는 가드 캔슬 날리기 공격을 무효화하거나 반격하는 테크닉이다. 흘리기는 가캔이 히트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부수기는 가캔을 씹고 때리는 것, 막기는 가캔을 가드하는 것을 뜻한다. 98에서는 가캔 날리기가 대체로 빠르고 딜레이가 적은 대신 판정이 좁은 편이라 가캔 막기대신 흘리기나 부수기가 대세고 02는 정반대의 특성을 갖고 있어 막기를 많이 시도하는 편. 거기에 02에서는 지상 기본기 공격 중에서 기 게이지를 한개 소비해서 긴급회피를 사용하는 캔슬 전방회피라는 것 까지 존재하여(무적시간은 짧아서 거의 도박적으로 사용) 다양한 가캔흘리기가 가능.

96,97에서는 커맨드 잡기 실패 모션이 없어서 기본기-커잡으로 가캔을 씹거나 부수고 우선권을 잡기가 쉽다. 즉 가캔을 함부로 썼다간... 커잡 성능이 사기라 타이밍과 프레임만 계산하면 초필은 물론 커집초필까지 씹어버린다.

KOF 02의 앙헬은 가드 캔슬 날리기 공격이 가드 불능이므로 막는 것이 불가능하며 KOF 98 UM의 볼프강 크라우저는 카이저 듀얼 소배트(일명 하흥허)가 너무 간단히, 노리스크로 가캔 부수기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서 욕을 엄청나게 먹었다.

2.7. 낙법 잡기

일부 캐릭터를 제외하고는 낙법이 발동하는 동안에는 전신무적에 잡기무적이지만 낙법이 끝나는 동시에 잡기무적이 풀리는 것을 이용한 테크닉이다.(보통 기상할 때는 03을 제외하고 8프레임의 잡기무적이 있지만 낙법할때는 없다.) 사용하는 방법은 구석에서 상대가 낙법을 할 타이밍에 커맨드 잡기의 커맨드를 입력해 둔다. 그러면 상대가 낙법하는 게 보이면 버튼을 눌러 커맨드 잡기를 발동시키고 낙법하지 않으면 가만히 있거나 다운공격을 준비한다. 커맨드 잡기와 다운공격 둘 다 가지고 있는 다이몬 고로가 특히 강력하다. 또한 두상치기라는 전대미문의 대공특수기가 있어서 뛰는 것도 쉽지 않다.

2.8. 헛점프 공격

위에서 말했듯이 KOF 시리즈에서는 점프공격이 중요한 압박수단이나 콤보 시동용으로 사용되는데, 이 점프공격은 중단판정이라 앉아서 막기가 안 된다. 이 점프 공격도 다 공격판정 나올 때까지의 발동 선딜레이와 발동 모션이 있고, 이 선딜레이가 끝나기도 전에 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대에게 가드모션을 취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해 점프공격을 극단적으로 낮게 써서 발동 모션만 나오게 하고, 착지한 후 하단 공격을 쓰면 서서 가드를 시도하다가 하단공격을 맞게 되는 상황이 일어난다.

이를 활용하면 점프공격 vs 헛점프 하단공격의 중하단 이지선다가 가능하고, 여기에 좋은 성능의 커맨드 잡기까지 있으면 '점프공격 vs 헛점프 하단공격 vs 헛점프 잡기'라는 삼지선다도 가능하다. 다만 어느 경우든 1프레임 이상의 착지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상대가 하단털기를 잘 할 경우에는 무력화된다.

2.9. 역가드

역가드 문서 참조

2.10. 역점프

이런 테크닉이다.
시전자는 야가미 이오리. 시전 기술은 특수기인 외식 백합 꺾기

점프나 구르기로 상대를 넘어가면 내 캐릭터의 몸 방향이 바뀌지 않은 상태가 잠시 동안 유지된다. 예를 들어 1p 캐릭터가 바라보는 → 방향이 2p 방향으로 넘어가도 아주 잠깐 동안 같은 방향으로 유지된다는 의미이다. 이 때 타이밍을 맞추어 앉을 경우 해당 방향이 계속해서 지속되며, 이를 이용하여 점프나 구르기 후 앉았다 점프할 경우 → 방향을 본 채로 점프를 하는 현상이 생긴다. 역가드 특수기인 백합차기가 존재하는 이오리의 경우 그나마 써먹을 구석은 있지만, 기본적으로 역점프 자체가 타이밍을 요구하는 테크닉이므로 실전에서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반대로 습관에 따라서 의도치 않게 역점프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긴다.

KOF XIII부터는 점프나 구르기로 상대를 넘어가면 내 캐릭터 몸 방향이 바로 바뀜에 따라 이전 방식대로 테크닉이 불가능해졌다. 다만 상대가 내 앞에서 떠서 뒤로 넘어가거나 대시로 넘어가서[5] 점프하는 등의 방법으로 역점프를 할 수 있다.

2.11. 단축 커맨드

KOF 시리즈는 다른 격투게임과 다르게 드물게 단축 커맨드 방식을 채택하여 커맨드를 쉽게 입력 할 수 있으며 KOF 시리즈 유저들의 필수 테크닉이며 공식 시스템[6]이다. 예를 들면 ←↙↓↘→은 ←↙↓→나 ←↓→를 해도 나가고↓↙←↙↓↘→은 ↓↙←↓↙←→로 해도 나가고 또 테리의 파워 가이저나 김갑환의 봉황각의 경우 ↓↙←→로 해도 나간다는 방식이다. 97의 경우 ←↙↓↘→를 ↙→로 해도 나가고 ↓↙←↙↓↘→는 ↓↙←→해도 나가서 커맨드 대충 때려도 잘 나가는 편. 덕분에 야가미 이오리랑 테리 보가드가 괴물 성능을 발휘하는데 좋은 보템이 되었다. 그러나 어른들의 사정으로 단축 커맨드가 삭제된 96은 어느 정도 이해가지만[7]용량이 부족하다는 핑계로 선입력과 함께 단축 커맨드가 삭제된 03은 조작감이 더 안 좋아져 욕을 먹는데 쐐기를 박았다. XI에서는 팔치녀커맨드나 크레이지펀치와 시엘 에트왈 같은 아주 극소수 커맨드만 예전의 방식으로 먹히게 되었으나 XIII에서는 다시 단축커맨드가 부활하여 조작감이 다시 부드러워 졌다. 단 테리나 김갑환의 초필살기는 단축키 안 먹히니 주의.

참고로 이 단축 커맨드는 사무라이 스피리츠 잔쿠로 무쌍검과 멜티블러드RE ACT 이전 시리즈, 파이터즈 히스토리 시리즈에도 쓰였다. 이런 류 단축 커맨드의 원조는 파이터즈 히스토리 인 듯. 길티기어 시리즈의 경우 ↓↘→↘↓↙←의 커맨드를 ↓↘→↓↘→←나 ↓↙←↙↓↘→커맨드를 ↓↙←↓↙←→, 그리고 ←↙↓↘→←↙↓↘→커맨드를 ←↙↓→←↙↓→나, →↘↓↙←→↘↓↙←의 커맨드를 →↘↓←→↘↓←만 단축 커맨드가 먹힌다.

3. 몇몇 시리즈에서만 가능한 테크닉

3.1. 95의 각종 캔슬

95는 특수한 캔슬이 많기로 유명한 시리즈이기도 한다. 기본기를 가드시키던 중에 커맨드잡기를 입력하면 딜레이가 없어진다던지, 연타기술은 모든 기본기에서 캔슬이 가능하며, 기폭 캔슬 등까지 고수들이 극한으로까지 파고들 수 있는 테크닉이 많다.

3.2. 96, 97의 귀보

버그성 시스템(?) 중 하나. 초필이 나갈 상황이 아닐 때 통상기(CD도)캔슬 초필살기 레버지속.
점프시작 통상기와 동시에 초필살기 입력이라든지 하는 방법으로 게이지가 있어도 초필살기가 안나갈 경우를 말한다. 걸어가는 속도의 2배속도로 접근 가능하다. 대쉬가 아닌 걸어가는 중이라서 타격기 외에 잡기도 가능(점프공격을 막고 밀리는 것보다 앞으로 걸어가는 것이 훨씬 빨라서 추격가능). 사실 97이 더 잘된다. 이 테크닉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중국에서는 귀보(鬼步)라고 부른다.

3.3. 96의 백대시

역시 버그성 시스템.일반적으로 1P기준으로 ←←를 입력할 경우 나가는 백스텝의 경우 먼 거리를 도망치지 못하지만, 앞으로 대시하는 커맨드를 →→↖→로 입력하면 처음 한순간은 앞으로 대시하지만, 버그로 뒤로 달리게 된다. 니가와 플레이 등으로 도망칠때 유리한 시스템.

3.4. 97의 추가타

버그성 시스템. 띄우기 공격 중에 기본기를 헛치면 공중에 있는 상대에게 다시 공격판정이 생긴다. 이를 이용한 대표적인 콤보가 바로 97 테리 보가드의 파워차지 무한과 쿠사나기 쿄의 칠십오식 개 무한. 그리고 일반적인 콤보는 이오리 공중에서 규화 히트후 팔치녀 콤보.

3.5. 1P와 2P가 다른 97~02

97~02에서의 2P는 상대가 구석을 보고 쓰러져 있을 때 상대방 쪽으로 넘어갈 수 있으나 1P는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2P가 유리하다. 구르기로도 가능.

98이나 02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리메이크작인 NW, 98UM, 98UMFE, 02UM에서도 가능하다.

3.6. 98의 깔아두기 가드 불능

역시 버그성 시스템 중 하나. 98에서는 장풍을 깔아두었을때 상대방의 기상타임와 장풍딜레이가 끝나는 시점을 완전히 맞추거나 혹은 장풍이 화면밖을 지나가는 타이밍과 상대방의 기상타임을 완전히 맞추면 그 순간 상대는 가드 자체를 할 수가 없어 다른 공격을 가드 불능으로 얻어맞는 버그가 존재한다. 중국 사람들은 역시나 이걸 자유자재로 한다. 사실 이건 97에도 존재하는데 98에서는 굳이 깔아두기가 아니라도 잡기 실패 모션으로도 장풍 가불을 노릴수 있어서 오히려 98에서 더 선호받는다. 물론 97이든 98이든 가불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면 보다 더 야비한(?) 공격을 펼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오리가 어둠쫓기를 깔고 설풍을 사용한다면 어둠쫓기 가불 히트로 끝나지만, 설풍 없이 타이밍만으로 가불을 만들 수 있다면 어둠쫓기 후 팔치녀를 입력해 연속으로 히트시킨다거나. 각성 크리스도 태양을 쏘는 화염을 가불로 깔고 콤보를 노리는 것이 가능. 98 UM에서도 이 현상은 남아 있으며 CPU 아테나는 아예 패턴 중에 사이코 볼 - 텔레포트로 대놓고 이 시스템을 악용한다.

몇몇 캐릭터는 아예 레시피가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타쿠마 사카자키의 C잡기 후 약 호황권인데, 야가미 이오리 등의 특정한 기상 프레임을 가진 캐릭터에 대해 확정으로 들어가며, 용호난무까지 깔끔하게 연결된다. 기본잡기 하나 맞았다는 이유로(...)

3.7. 02의 어느 것에서도 캔슬되는 기술

02에서는 그 어떤 기본기나 특수기에서도 캔슬이 가능한 필살기가 3개가 있다. 이진주의 자세 변환, 죠 히가시의 폭렬권, 친 겐사이의 취배고. 이들은 심지어 가드캔슬 날리기에서도 캔슬이 가능하다. 물론 모드도 거의 모든 기본기에서 캔슬 가능.

3.8. 02의 퀵 모드

02에서 마치 MAX 초필살기를 바로 쓰는 듯한 테크닉으로 기본기나 특수기에서 MAX 초필살기에 대응되는 커맨드의 레버를 입력한 후 AC로 사용하는 MAX초필의 경우 A, BC로, BD로 사용하는 것은 D, BC로 따닥하고 눌러주면 된다. 선입력을 응용한 테크닉으로 모드가 발동되자마자 MAX 초필살기가 연결되는 원리. 특히 모드는 캔슬이 불가능한 지상 기본기나 지상 특수기에서도 캔슬이 되므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불가능한 콤보가 가능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클락 스틸의 근접 C 2히트-MAX 울트라 아르헨틴 백브레이커[8]라든지, 료 사카자키의 빙주깨기-천지패황권.

02에서 기본기는 선입력이 불가능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퀵모드가 개입되면 선입력이 가능해서[9], 퀵모드 뒤 바로 기본기가 나가게 하고 싶으면 그 기본기를 먼저 누르고(모드를 켤 때 까지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한다) BC를 누르면 된다. 그러나 만약 B를 나가게 하고 싶으면 B,C. C를 나가게 하고 싶으면 C,B를 따딱하고 눌러주면 된다. 뭐 K9999처럼 제멋대로 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이것을 가장 잘 사용해야 되는 캐릭터는 최번개. 지금 와서 앉아약발-앉아약발-모드-앉아강손-MAX 봉황각을 못 쓰면 바보 취급 당한다. -다만 쓰게되면 바보는 커녕...-

02UM에서도 가능하다.

3.9. 98UM의 퀵 모드 필살기

퀵 MAX 발동의 매커니즘이 다른 만큼 02와는 다르다. 기본기와 필살기로 캔슬 가능한 일부 필살기만 가능하다. 발동 방법은 캔슬이 가능한 기본기에서 필살기나 초필살기는 ABC로 발동시키는 것. 타이밍이 정확하게 맞아야 하므로 02의 퀵 모드 필살기에 비해 타이밍이 좀 까다롭다. 특히 98UM의 퀵맥의 특성상 본래는 발동속도나 히트백에 의해 성립되지 않는 콤보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신고의 외식 구봉린은 강공격에서만 들어가지만, 퀵맥을 쓰면 앉아B-앉아A에서도 연결된다.

3.10. 01~XI 편법성 잡기 풀기

96부터 기본잡기는 잡기 풀기가 가능한데, 2000까지는 잡기 풀기가 ← 또는 → + 아무버튼이었으나 2001서부터는 기본잡기는 상대가 잡은 버튼에 따라 ← 또는 → + C혹은 D로만 풀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편법으로 ← 또는 → + CD or C,D를 입력하면 어지간해서는 다 풀 수 있다. XI에서는 CD 동시입력이 먹히지 않고 C,D 연타 입력만 가능하다.

XII에서는 잡기 풀기가 아예 사라져서 불가능하다. 아무도 XII을 하지 않지만

3.11. XI 백대시

XI에서는 잔상대점프의 하단무적이 없는 대신 백대시에는 희한한 비밀이 있다. 바로 입력시 바로 공중에 뜬 것으로 인식하여 백대시 중에 맞으면 절대로 지상콤보로 연결되지 않는다. 깔려있더라도 공중에서 맞은것으로 인식. 다만 전작의 잔상대점프처럼 앉아B는 맞지 않는 것이 아니라 공중에서 맞는다.

3.12. XI 암전 부수기

이전까지는 암전 도중에 커맨드 입력이 모조리 씹혔으나 XI에서는 암전 도중에 커맨드 입력이 가능. 이것으로 고수들 사이에서는 초필살기 지르기가 지양되거나 이를 이용한 심리전을 거는 것이 가능하다.

3.13. XI 선택받은 캐릭

료, 쿨라, 제니, 그리폰, 하야테는 새로 등장시 존재하는 착지딜레이(무적은 있으나 막아야만 하는) 1프레임이 없다. 더욱이 쿨라와 하야테는 무적대공까지 존재해서 깔아두기가 장풍을 제외하고는 거의 불가능.

3.14. XI 끊어치기

상대방이 기상하기 직전에 다운 공격을 먹이면 맞기는 맞는데 히트수가 연결되지 않는다. 때문에 데미지 보정이 전혀 먹혀들지 않는다.

4. 일부 캐릭터 한정 테크닉

4.1. 다이몬 고로

4.1.1. 지뢰진 가불

4.2. 김갑환

4.2.1. 패기각 캔슬

4.3. 친 겐사이

4.3.1. 취캔

4.3.2. 장캔

13의 친은 ↓↓+BD로 장과로 자세를 취하면서 바로 풀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서 기본기 딜레이를 줄일 수 있다. 주로 근C-장캔-원C 시동으로 사용한다.

4.4. 야마자키 류지

4.4.1. 뱀캔

4.5. 전훈

4.5.1. 지루박

전훈의 버그성 스킬로, 자세를 취하기만 하면 어떤 자세 기술이든 발동 가능하게 해준다.
  • 저취진에서 엽호진 기술 쓰기:(저취진 자세에서) A버튼을 뗌과 동시에 B버튼과 함께 엽호진 기술에 해당하는 커맨드 입력.
  • 엽호진에서 저취진 기술 쓰기:(엽호진 자세에서) B버튼을 뗌과 동시에 A버튼과 함께 저취진 기술에 해당하는 커맨드 입력.
  • 저취진or엽호진에서 엽호진→엽호진or저취진→저취진으로 변환하는 변환 공격 사용하기:(저취진or엽호진 자세에서) 자세에 해당되는 버튼을 떼면서 ← or → + ABC

2000에서는 저취진에서 엽호진 기술을 쓸 때, 이 방식대로 쓰면 스트라이커가 폭발하기 때문에 D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써야 한다. 혹은 레버만 달리 해서 BCD버튼을 이용하는 법도 존재. 회피기술은 공통적으로 A버튼만 누른 채 떼며 BD를 입력한다.

4.5.2. 유농축 무한(A.K.A 천국의 계단 콤보)

  • ↓(유지)B-B-↑-↓(유지)B-B-↑-반복
    해설: 유농축은 상대에게 닿으면 점프해 왔던 반대방향으로 튕겨나가는 특성이 있어 두번씩 밟아주고, 유농축 뒤 높게 점프하기 위해서 레버를 위로 올려주는 것.

4.6. 오스왈드

4.6.1. 스페큘레이션 확정 발동(에이스 확정콤보)

[1] XIII 이후로는 D>C>B>A 순[2] 99, 00, 02에서는 ACD와 BCD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BCD는 99와 00에서 파워 게이지가 3개일 경우 아머모드가 발동된다.[3] 단 이 때 D버튼을 A버튼보다 오래 누르고 있으면 시스템에서는 강 암흑대사치로 인식하기 때문에 막힌다. 케인이 자주 보이는 실수.[4] 03에서는 태그도 발동할 수 있다.[5] 대시 도중에는 몸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6] KOF XIII과 KOF XIV에서 제작진들이 공식 시스템으로 인정.[7] 그래도 XI처럼 팔치녀 커맨드나 참철파 커맨드 같은 애들은 단축 커맨드가 적용된다. 미완성의 티가 나는 이유중 하나.[8] 신기술 샤이닝 위저드의 커맨드가 →↘↓↙← + A or C라서 2001때까지 쓰던 커맨드를쓰면 근접C이후 멈칫하고 끝나게된다.[9] 아무래도 츠지식 입력처럼 버튼 여러 개를 입력하는 커맨드의 입렵 편의를 위해서 의도적으로 버튼을 누르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했을 때의 보정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