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공동 인증서 pc 내보내기 - kakaotog gongdong injeungseo pc naebonaegi

공지 목록

공지글

글 제목작성일

(16)

공지 네이버 이달의 블로그 'IT 정보 블로그'로 선정

2017. 12. 2.

네이버/ 카카오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 PC 내보내기 필요할까?

비각2021. 1. 16. 23:50

공인인증서 폐지와 함께 대 공동인증서 시대가 시작되었다. 매년 갱신이 필요하고 보관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왔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나 외국에서의 활용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도 민간 전자 인증시장에서의 발전에도 독과점에 가까운 위치다보니 폐지가 결정된 셈. 물론 공인인증서와 공동인증서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다. 이제 공인은 없으며, 모든 인증서가 평준화되어 네이버나 PASS, 카카오 등의 민간 기업들도 참여가 가능해진 셈이기 때문.

폐지가 이뤄졌다고 해서 기존 은행을 통해 발급하는 금융인증 서비스가 사라진 건 아니다. 여전히 많은 곳에서 은행/ 증권사/ 우체국 등의 등록대행기관에서 발급이 이뤄졌던 인증서를 통해서만 로그인이 가능하며, 만들었던 공인인증서는 재발급 및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하나다. 발급이 편하고, 1년만 사용할 수 있었던 공인인증서와 달리 2~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사용에도 생체인증을 통해 간편하게 로그인이 가능하며, PC 내보내기 및 스마트폰 가져오기의 번거로움이 없기 때문이다.

PC 내보내기를 진행하면서 필요했던 액티브X나 방화벽,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을 따로 설치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강점이기도 하다. PC에서 로그인을 하더라도 스마트폰을 통해 간편한 인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무튼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민간 인증서는 각 은행부터 여러 IT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데, PASS, 네이버, 카카오 이 3곳이 대표적이지 않을까 한다. 네이버 공동인증서 발급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스마트폰에서 네이버 앱을 사용하거나 PC에서 웨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사실 발급 방법이라고 할 것도 없을 정도인데, 발급하기 선택 후 이름, 전화번호를 넣어 본인인증만 받으면 발급이 끝나기 때문이다.

발급도 10초 내외로 끝나는 간편함과 더불어 발급 및 삭제 역시 쉽게 관리할 수 있다. 3년의 기간 동안 재발급은 필요없으니 편하기도 하고.

PC에서 네이버 공동인증서 PC 내보내기는 필요없다. 웨일 브라우저에서 인증서 홈에 접속해 발급이 가능하기 때문인데, 스마트폰과는 별개로 하나 더 발급하는 셈이다. 스마트폰이 없더라도 인증이 가능하다보니 스마트폰이 인증저장소의 역할을 하는 것과 다르게 접근성이 더 나은 편.

참고로 스마트폰에서는 페이스ID나 지문인식 등을 이용하지만 웨일 공동인증서는 네이버페이 비밀번호를 인증서 비밀번호로 사용하게 된다는 점.

카카오 공동인증서의 경우 카카오페이 내 인증을 통해 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다. 제휴처도 100개 이상이다보니 이미 많이 이용하고 있는 인증서 중 하나이기도 하다. 마찬가지로 인증서 발급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발급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발급 시 본인인증 + 은행인증 + 인증서 비밀번호 등록이 필요하다. 공인인증서를 떠올려보면 굉장히 간편화된 셈.

공개키 기반 구조 인증을 결합한 본인인증 및 전자서명 서비스다보니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전자서명 +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PC 공동인증서 로그인 시에도 이름과 주민번호, 전화번호만 입력해주면 카카오톡으로 알림이 오며, 빠른 인증이 가능하다.

사용처의 경우 홈택스나 국민연금 등 다양한데, 그렇다고 모든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카카오페이 인증 로그인 만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보니 두 가지를 발급하는 걸 추천한다.

본인이 선택한 인증서로 로그인을 하게 될 경우 스마트폰 혹은 PC를 통해 알림이 오며 본인이 발급 시 선택한 비밀번호 혹은 생체인식을 통해 인증이 가능하다. 이전처럼 로그인 한 번 할려고 프로그램 설치하고, 대문자+특문을 비밀번호에 넣을 필요도 없으니 굉장히 간편하다.

이렇게 네이버/ 카카오페이 공동인증서 발급방법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소개를 해봤다. PC 버전을 원한다면 현재로써는 웨일을 이용하는 방법을 추천하고 싶은데, 여기저기서 발급하더라도 간단하게 찾고 폐지가 가능하다보니 2가지 정도는 발급해 활용하면 어떨까 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