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엔지니어 하는일 - jadongcha enjinieo haneun-il

Main Menu

  • 분류 전체보기 (352)
    • 직업정보 (351)

자동차공학기술자가 되려면?(+하는일, 연봉)

  • 커리어 Info's
  • 직업정보
  • 2021. 2. 20. 11:33

자동차공학기술자가 되려면?(+하는일, 연봉)

오늘은 자동차공학기술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자동차공학기술자

하는일

  • 자동차공학기술자는 각종 차량의 차체, 엔진, 제동장치, 및 기타 구성품에 관하여 개발 및 제조를 계획, 감독한다.
  • 자동차의 기계, 전기, 유압장비 및 기관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자료를 검토분석한다.
  • 운전의 안정성, 경제성과 배기량의 조절 및 제반 조작상의 성능을 고려하여 구성부품 및 기관을 설계하고, 공학기술상의 설계와 일치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품, 차량의 제조, 개조, 수리작업을 감독, 조정한다.
  •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 평가하고, 설계변경 여부를 결정하며, 제조공정중에 발생하는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한다.

적성 및 흥미

  • 자동차공학기술자는 자동차시스템을 이해하고 새로운 모델과 신기술 개발을 위해서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창의적인 사고력이 필요하다.
  • 타 분야 관련 전문가와 협력에 의해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협동 정신, 원만한 대인관계가 요구된다.
  • 탐구형과 현실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협조심, 꼼꼼함, 스트레스 감내, 분석적 사고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리하다.

취업현황

  • 입직 및 취업방법

    - 공개채용이나 특별채용을 통해 국내 자동차회사로 취업할 수 있지만 취업 후 바로 자동차공학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내교육훈련 과정을 거치고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이면 자동차공학기술자로서 업체 내에서 활동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국책사업으로 진행되는 바이오디젤 자동차나 전기자동차 등을 연구하는 국립 연구소에 들어가서 자동차공학기술자로 활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석사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 고용현황

    자동차공학기술자를 포함한 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종사자 수는 109,000명이며, 향후 10년간 고용은 연평균 0.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엔진이 없는 자동차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자동차산업계는 수소차, 전기차, 자율주행 자동차 등 친환경적이고 첨단기술을 접목하고자 경쟁이 치열하다. 따라서 신기술과 관련된 자동자공학기술자에 대한 인력수요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 임금수준

    자동차공학기술자의 평균연봉(중위값)은 4872만원이다(자료: 워크넷 직업정보 2019년 7월 기준).

    *하위(25%) 4091만원, 평균(50%) 4872만원, 상위(25%) 5857만원

준비방법

  • 정규 교육과정

    -자동차공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자동차공학과, 기계공학과, 기계설계학과, 자동차공학과, 차량기계과, 정밀기계공학과 등을 졸업하면 유리하다.

  • 관련 자격증

    - 관련 국가자격증으로는 자동차정비기사, 자동차검사기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검사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능사 등이 있다.
    - 자동차정비기사는 자동차공학분야에 관한 기술지식을 갖고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차 정비업무의 기술적 부분을 담당하거나 지도 등의 업무를 수행할 전문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자격이다.
    - 자동차검사기사는 자동차의 안전운행 요건을 확보하고, 교통사고의 예방 및 환경오염 방지,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자동차의 효율적인 이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자격이다.

직업전망

- 자동차공학기술자가 포함된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은 전문기술을 인정받는 엔지니어로서, 임금과 복리후생 수준이 다른 직업에 비해 높은 편이다.
- 정규고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 근무시간이 짧은 편이고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 일부 기계산업 중 IT 등 기술융합화를 통한 신성장동력산업 분야 및 미래성장 주력산업 등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 아직은 남성 근로자가 많으며, 새로운 기기에 빠른 시간 내에 익숙해져야 하므로 고령자에게도 적합한 직업은 아닌 편이다.

공정관리·설계 기술자, 금형공학기술자, 기계감리기술자, 기계플랜트기술자, 메카트로닉스기술자,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장, 자동차정비기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댓글(0)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