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기계기사 작업형 순서 - ilbangigyegisa jag-eobhyeong sunseo

반응형

먼저 저희 작업의 기초가 되어 줄 베이스 도면을 만들어 보겟습니다.


이 도면을 먼저 만들어두면 나중에 작업의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덜 합니다.


시험지에도 명시는 되어있지만 외워가는게 좋고 이 작업은 최소한 10분안에 끝마쳐 주셔야 합니다.


또한 시험마다 지정해야하는 선의 굵기, 문자, 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시험장에서는 꼼꼼히 확인하세요.


오토캐드 2015를 주로 이용하구요 2D 작업은 왠만하면 전부 오토캐드입니다.


2D 작업시에 스페이스바와 esc를 적절히 활용하시고 아래 정리된 단축키도 알아 두시면 좋습니다.


단축키는 아래 설명 부분에서 하나하나 등장합니다.



*단축키


LIMIT : 도면 한계 설정

DIMSTYLE : 치수 스타일 설정

LAYER : 도면층

REC : 직사각형 그리기

OFFSET : 간격 띄우기

OSNAP : 제도 설정

L(LINE) : 선 그리기

TR(TRIM)+스페이스바+스페이스바 : 자르기

X(explode) : 분리

MTEXT : 문자

CO(COPY) : 복사


먼저 동영상으로 전체 과정을 보겠습니다.



저는 대략 9분 정도가 걸렸습니다.


시험보고 한달이 지나서 조금 버벅거리는게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연습을 통해 더 빠르게 완료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아래부터는 차근차근 하나하나 살펴 보겠습니다.





오토캐드에서 그리기 시작으로 처음 시작 화면에 들어왔습니다.



F7 키로 격자를 없앴는데 저는 이게 더 작업하는데 편해서 꺼주고 시작합니다.


이 부분은 취향입니다.



먼저 도면의 한계를 설정합니다.


단축키 : LIMIT

입력 후 스페이스바로 엔터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이 스페이스바는 잘 활용하면 작업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입력값 : 0,0


쉼표는 다음 지정값으로 넘어가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0,0 입력후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입력값 : ​594,420

A2 사이즈인 594,420을 입력하고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단축키 : DIMSTYLE

다음은 치수 스타일 입니다.


치수 스타일을 설정해주지 않으면 치수가 굉장히 작거나 이상한 형태를 보입니다.


ISO-25 치수의 수정을 누르고 아래 형광표시한 부분들을 전부 바꿔 주시면 되겠습니다.




글꼴 선택할때 오른쪽에 있는 아래방향 화살표로 확장 시킨후 r을 입력하면 romans가 있는 부분으로 빠르게 이동합니다.



여기까지 완료가 되었으면 확인을 누르고 나옵니다.


단축키 : LAYER

다음으로는 레이어를 작성하겠습니다.


레이어는 선의 종류를 지정해주는 과정입니다.


원래는 여러가지를 지정해야 하는데 저는 인벤터에서 도면작업을 살짝하고 가져오기때문에


인벤터의 레이어도 복사되어서 따라오게됩니다.


그래서 일단 저희가 필요한건 두가지 밖에 없습니다.


레이어에 들어오면 빨간 표시를 눌러 두개를 새로 생성합니다.



이름은 외곽선과 문자로 설정하겠습니다.



단축키 : REC


다음은 도면의 경계가 되어 줄 직사각형을 그리겠습니다.




limit를 설정해줄때와 마찬가지로 0,0-594,420으로 그리겠습니다.




단축키 : OFFSET


오프셋을 설정해보겠습니다.


도면 모양의 디테일을 위한 작업입니다.



간격 거리는 10으로 입력하고



직사각형을 선택하고 '안쪽'으로 오프셋합니다.


바깥쪽으로하면 A2보다 도면이 커지므로 꼭 안쪽으로 오프셋해야합니다.



단축키 : OSNAP


초기 설정값에서는 선의 중점 표시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작업하다 보면 중점 표시가 매우 거슬릴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osnap에서 설정을 바꿔주면 되겠습니다.




형광표시처럼 중간점에 체크 표시합니다.



단축키 : L(LINE)


L + 스페이스바로 선을 십자가 형태로 그어줍니다.



단축키 : TR(TRIM)+스페이스바+스페이스바


스페이스바를 두번 눌러주면 자동으로 잘라줍니다.


한번만 누르면 자르기의 기준을 정해야해서 생각하는 시간이 조금 더 걸리므로 스페이스바는 무조건 두번 누르겠습니다.


그래서 중간의 십자선을 지우고 외각의 직사각형을 지웁니다.


*외각의 직사각형을 지우기전에 좌상단 우하단에 선을 아무렇게나 대각선으로 그어주시면 나중에 편합니다.

 이 부분은 추후 도면 출력 부분에서 다루겠습니다.




단축키 : X(explode)


직사각형이 현재 하나로 묶여있는데 X 단축키로 직사각형의 선을 하나하나 떼어냅니다.




직사각형을 선택하고 스페이스바하시면 됩니다.



오프셋으로 도면 템플릿의 치수대로 오프셋 시켜줍니다.


각각의 치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치수대로 전부 오프셋시키고 트림으로 정리해주면 되겠습니다.




그냥 진행했었는데 이 템플릿을 전부 선택하고 도면층을 외곽선으로 바꾸겠습니다.



이번엔 문자를 입력해볼텐데요 먼저 도면층을 문자로 바꾸고 시작하겠습니다.



단축키 : MTEXT


문자를 생성해보겟습니다.



mtext 단축키로 표시한 부분을 클릭클릭해서 문자상자를 생성합니다.



표시한 세가지 부분을 바꿔줍니다.


크기를 3.5로 바꿔주시고


자리맞추기는 중간중심으로


열은 없음으로 바꿔주겠습니다.



'수험번호'라고 입력후 esc를 누르고 나오면 위와같이 문자가 입력됩니다.




단축키 : CO(COPY)


복사는 이 단축키로 들어가야 더욱 편합니다.


ctrl C+V도 복사가 되지만 이게 좀 더 정확히 맞추는데 더욱 용이합니다.


모든 칸에 복사한 후


위와 같이 칸에 맞춰 줍니다.


동일한 것이 반복되면 먼저 한 묶음만 맞춰놓고 한번에 복사하는게 빠르겠죠?


그 외 정보들을 입력하면 초기 작업 완성입니다.


이 작업은 문제지를 기준으로 작성하세요


특히 2D도면과 3D투상도에서 요구하는 품번이 다를 수 있습니다.


2D 도면은 1,2,4,6번 부품만, 3D투상도에서는 1,2,4번 부품만 작업하도록 시킬 수 있습니다.


초기 작업은 3D 투상도를 기준으로 따라가셔서 1,2,4번까지만 우선 쓰시면 되겠습니다.


처음 해보면 이걸 어떻게 해야하나 막막하실 겁니다.


저도 이걸 설명을 어떻게 해야하나 막막했는데 결국 해냈군요..


아무튼 여기까지 2D 도면 베이스를 만들고 저장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이런식으로 정리했습니다.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알기쉽게 정리해 놓는 습관 들이시면 작업하는데 더 수월하실 겁니다.


다음 작업은 3D 작업인데 이 부분은 제 블로그의 인벤터 부분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180106일 기준으로 내용이 매우 빈약하므로 내용이 보충 되기 전까지는 유튜브의 많은 자료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다음 포스팅에서는 3D 작업이 완료된 후 투상도를 작성하는 과정을 해보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줌석의 취미공작소

저작자표시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Engineering > 일반기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기계기사] 1 - 실기 작업형 작업과정 : 주요내용 정리  (1)2018.01.06[일반기계기사] 0 - 실기 작업형 작업과정 : 소개  (0)2017.12.31[일반기계기사] 실기 작업형 독학하기  (1)2017.12.31[일반기계기사] 필답형 공식정리 공유  (0)2017.12.23[일반기계기사] 실기 필답형 독학하기  (0)2017.12.23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