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 의미 - hwan-yul halag uimi

최근 1년동안 원달러 환율은 꾸준히 상승했습니다. 지난 8일에는 원달러환율이 1230원을 돌파하면서 약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함께 약 한 달째 가파른 상승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고치를 기록한 환율의 분위기가 이제 바뀔 것이란 분석이 슬슬 나오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이 완화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안정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1981년부터 지금까지의 원달러환율 그래프를 보시면 IMF금융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제외하고는 원달러환율이 일정 구간에 머물렀습니다.

주식시장이 하향세인데 환율까지 오르니 미국주식을 추가 매수하기 고민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공포속에 기회가 있습니다. 만약에 원달러환율이 상승세를 멈추고 이제 하락반전한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오늘은 환율의 정의, 환율과 주가의 관계, 그리고 환율 하락기의 수혜주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환율이란

환율은 우리나라 돈을 다른 나라 돈이랑 바꾸는 교환 비율을 의미합니다. 다른 나라 돈을 살 때 지불해야하는 원화 금액이라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달러와 원의 교환비율이니까 달러를 예시로 설명해볼게요. 원달러환율이 하락했다는 의미는 1달러를 내기 위해서 지불해야하는 원화 금액이 떨어졌다는 의미입니다. 예전에는 1달러를 사기 위해서 1200원을 내야했는데 이제는 1000원만 내면 되니까 원화의 가치가 올랐다고 볼 수 있겠죠? 그래서 원달러환율이 하락했다는 것은 원화의 힘이 세졌다는 동시에 달러의 힘이 약화됐다는 의미입니다. 원화의 힘이 세졌다는 것을 다른 말로 ‘원화 평가 절상’이라고도 부릅니다. 공식처럼 외워두시면 경제기사 읽기가 더 편할겁니다.

환율을 표기할 때 원달러 환율이라고 해야하냐, 달러원 환율이라고 해야하냐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환율을 표기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1달러가 1200원이라고 한다면 $1=1200원이라고 쓸 수도 있고 1원=$0.000825라고 표시할 수도 있죠. 이것을 각각 직접표시법, 간접표시법이라고 부릅니다. 직접표시법은 외국통화 1단위와 교환할 수 있는 자국통화의 단위수를, 간접표시법은 자국통화 1단위와 교환할 수 있는 외국통화의 단위수를 의미합니다.

둘 다 맞는 표현이지만 ‘원달러 환율’이라는 표현이 더 자주 사용됩니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 대비 원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달러가 기준이죠. 그래서 “원달러환율이 1200원이다”라고 표현하는 게 맞습니다. 다수의 언론에서 원달러환율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국제 외환 거래에서도 달러화를 기준으로 환율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고요. 즉 한국과 미국 모두가 환율을 ‘$1=1200원’으로 표시하는 것이죠. 미국 입장에서는 간접표시법을 따르는 것이지만 달러화를 기준으로 다양한 통화가 표시되기에 1달러가 각국 통화 기준으로 얼마인지 표시하는 것입니다.

다만 원화를 KRW로, 달러를 USD로 표시하는 이런 국제표준코드에 따를 때에는 기준통화가 앞에 위치합니다. 원/달러환율을 KRW/USD라고 표시합니다. 즉, 원달러환율=1200원, KRW/USD=1200원인겁니다.

환율 내리면 코스피는 오른다?

환율이 떨어지면 주식시장엔 어떤 영향을 줄까요? 역사적인 데이터를 볼게요. NH투자증권이 지난 10년간 코스피지수가 10% 이상 상승한 시기 여덟 번을 분석해 보니 그때마다 원·달러 환율은 하락했습니다. 달러와 코스피지수가 대체로 반대로 움직인 것이죠.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코스피지수는 올랐습니다.

달러가 떨어지는 시기에는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져서 우리나라나 대만과 같은 신흥국에 외국인의 투자 수요가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외국인이 달러를 원화로 바꿔서 우리나라 주식을 사야하기 때문에 원화의 수요가 늘고 가치도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전통적인 환율 하락 수혜주는?

이론적으로 생각해보면 환율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수입을 많이 하는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집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원유, 원자재를 외국에서 들여오는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죠. 콩 1Kg이 1달러라고 가정해볼게요. 원달러환율이 1200원이던 시기에는 1200원을 주고 콩을 사왔지만 원달러환율이 1000원으로 떨어졌다면 1000원만 내고도 같은 양의 콩을 살 수 있으니까요. 기업의 생산 비용, 즉 원가가 줄어드는 만큼 실적이 개선됩니다.

전통적으로 환율이 하락하면 식음료, 항공, 운송주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환율 하락기에는 여행주도 인기입니다. 여행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떨어져 원화 가치가 올라가는 시기에는 같은 금액의 원화를 가지고 여행을 떠났을 때 구매력이 더 높아집니다. 5달러짜리 빅맥세트가 6000원에서 5000원으로 줄어드는 것이죠.

최근 환율 급상승으로 실제로 식음료 대장주 CJ제일제당과 농심, 항공운송주인 대한항공은 오히려 올들어 주가가 하락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기업의 원재료 관련 사항은 분기보고서나 사업보고서 내의 ‘원재료 및 생산설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기업들은 피해를 봅니다. 판매하는 물품은 똑같이 10달러인데 수중에 들어오는 원화는 1만2000원에서 1만원으로 줄어드니까요.

환율 하락기 미국주식은?

그동안에는 환율 하락기에 국내주식을 추천하는 의견이 많았는데 리포트를 보다보니까 이렇게 전통적인 수혜주 이외에, 발상의 전환을 제안한 리포트가 있어서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화투자증권의 한상희 연구원이 이달 4일 발간한 리포트인데요. “미국 외 시장 매출 비중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라”고 의견을 밝혔습니다.

‘미국 기업은 당연히 강달러 시기에 이득을 보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S&P500 기업들의 EPS 증가율은 달러지수가 낮아질수록, 그러니까 달러의 힘이 약해질수록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외에서 발생하는 이익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고요.

특히 최근 마무리된 4분기 실적발표에서 강달러가 실적에 악영향을 줬다는 발표한 곳들이 꽤 있었다고 합니다. 애플, 코카콜라, 린데가 특히 높았죠.

이미 미국에서는 수출 비중 높은 회사들의 매출 증가율이 더 높습니다. 팩트셋 자료를 보시면 2021년 3분기 기준으로, 미국 매출이 50%이하인 부분(초록색)이 미국 매출이 절반 이상인 부분(밝은 파랑색)보다 매출 증가율이 높죠.

환율이 당장 떨어진다고 말할 순 없겠습니다만 환율 정점이 지나는 순간 주식시장도 조금 살아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환율 때문에 미국주식 투자를 망설이고 계신 분들은 현금을 보유하다가 환율이 정상범위로 돌아오면 다시 매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한경제 기자

요즘 정부와 기업.금융회사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원화 환율의 움직임입니다. 연초 들어 환율이 급하게 떨어지자 정부가 나서서 환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요. 이를 두고 외국 투자가들은 한국 정부가 환율 움직임을 인위적으로 조정했다고 비판했습니다.

환율은 말 그대로 한국 돈 원화와 외국 통화 간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더 자세하게 말하면 국제사회에서 물건을 사고 팔 때 대부분 미국 달러화로 거래하기 때문에 신문에서 그냥 환율이라고 하면 원화와 달러화의 교환비율을 의미할 때가 많습니다. 교환비율이라고 하면 말이 어려워지니까 달러화를 사과나 배와 똑같은 상품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배의 자리에 달러를 놓아볼까요. 1달러에 1천2백원하던 달러가 1천원이 됐을 때 환율이 떨어졌다고 말합니다. 환율이 하락했다는 것은 다시 말해 달러값이 떨어졌다는 것을 뜻합니다. 환율은 상대적인 것이니까 달러값이 떨어졌다면 원화값은 올랐겠지요. 정리하면 '환율 하락=달러값 하락=원화값 상승'이 됩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먼저 수출업자를 살펴보죠. 원가가 1천2백원하는 장난감을 미국에 수출하는 A기업이 있습니다. 그런데 환율이 달러당 1천원으로 떨어졌다고 해보죠. A사는 1달러에 수출할 경우 개당 2백원씩 손해를 봅니다.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수출가를 1.2달러로 올려야 합니다(1.2달러×1천원=1천2백원). 값을 올리면 밑지지는 않겠지만 수출 물량이 줄어들 테니 결국 손해입니다.

그럼 수입업자는 어떨까요. 환율이 1달러에 1천2백원인 경우 미국에서 액세서리를 수입하는 B사가 1달러짜리 머리핀을 사오려면 1천2백원이 있어야겠죠. 그런데 환율이 달러당 1천원으로 떨어지면 1천원만 있어도 1달러짜리 머리핀을 수입할 수 있습니다. 1달러짜리를 사와서 종전에 팔던 대로 1천2백원을 받으면 개당 2백원씩 이익이 남고 값을 1천원으로 낮추면 판매량이 늘어날 겁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이처럼 수출업자는 울고 수입업자는 웃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수출은 줄어들고 수입은 늘어 국제수지가 적자가 됩니다. 바로 이 점이 정부가 외국 투자가들의 비난을 감수하면서 환율 하락을 막으려는 이유입니다.

경제가 잘 돌아가려면 기업이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고, 민간은 기업이 만든 물건을 잘 팔아주며, 수출은 잘 돼야 합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에선 기업은 장래가 불확실하다며 투자를 안하려고 하고, 민간은 허리띠를 졸라매 소비가 부진합니다. 유일한 희망이 수출인데 환율이 떨어져 수출이 줄어들면 큰일이라는 게 정부의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환율은 어떻게 결정될까요. 다시 사과와 배의 예로 돌아가 보지요. 사과 풍년이 들면 시장에 사과가 쏟아져 나옵니다. 팔려고 내놓은 사과가 많으면 사과값이 떨어지겠지요. 달러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달러를 사고파는 시장이 외환시장인데 이 시장에 팔려고 내놓은 달러가 많으면 달러값은 떨어집니다. 다시 말해 환율이 떨어집니다.

외환시장에는 여러 경로를 통해 달러 매물이 들어옵니다. 우선 물건이나 서비스 수출과 수입의 차인 경상수지가 흑자가 되면 달러가 들어옵니다.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는 1백20억달러에 달했습니다.

다음으로 물건이나 서비스의 거래가 아니라 투자에 의해서도 달러가 들어옵니다. 대표적인 것이 외국인의 주식투자 자금입니다. 지난해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 투자한 돈은 1백35억달러로 우리나라가 외국인에게 주식투자를 허용한 이후 최대 규모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투기자금을 들 수 있습니다. 환율이 떨어지면 원화값은 오릅니다. 따라서 원화값이 오르기 전에 달러를 원화로 바꿨다가 나중에 다시 달러로 환전하면 가만히 앉아서 많은 차익을 남기겠지요.

최근 우리나라 외환시장에는 달러를 팔자는 사람은 많은 반면 달러를 사려는 쪽은 많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나서서 외환시장에서 달러를 사들인 겁니다. 달러를 사려면 원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채권을 팔아 돈을 마련했습니다. 이렇게 발행한 채권이 30조원이 넘어섰습니다. 그러자 국제금융시장의 눈치 빠른 투기세력이 기승을 부렸습니다.

한국 정부가 무한정 채권을 팔아 달러를 사들이기는 어렵다고 본 것이지요. 투기세력은 이에 따라 달러화를 마구 팔았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이 투기세력의 본거지가 홍콩.싱가포르 등에 있는 역외선물환(NDF) 시장이라고 보고, 지난 15일 NDF를 통한 거래를 원천봉쇄하는 초강수를 뒀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NDF 거래 봉쇄 조치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NDF를 통한 달러화 팔자 물량을 막더라도 경상수지 흑자나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로 인한 달러 유입은 막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정경민 기자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