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류회사 순위 - hangug julyuhoesa sun-wi

주점·유흥업소 영업제한 영향…하이트진로는 선전

대형마트 맥주 판매대

지난달 15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 맥주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외식과 모임이 줄면서 주류회사들의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의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은 2조1천620억원으로 전년보다 7.7% 줄었다.

영업이익은 972억원으로 10.8% 감소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등의 음료와 함께 소주 '처음처럼'과 맥주 '클라우드' 등의 주류를 판매한다.

맥주 '카스'를 판매하는 오비맥주의 지난해 매출은 1조3천529억원으로 12.3%, 영업이익은 2천945억원으로 28.0% 감소했다.

위스키 업체들은 더 큰 타격을 받았다.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판매처인 유흥업소 영업이 수시로 중단됐기 때문이다.

국내 토종 위스키 회사인 골든블루의 지난해 매출은 1천270억원으로 24.8%, 영업이익은 202억원으로 5.2% 감소했다.

위스키 '윈저'와 '조니워커'를 보유한 디아지오코리아의 매출은 2천4억원으로 32.6%, 영업이익은 200억원으로 59.4% 급감했다.

또 위스키 '임페리얼', '발렌타인', '시바스 리갈'을 보유한 페르노리카코리아의 매출은 916억원으로 11.7% 줄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161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디아지오코리아와 페르노리카코리아의 실적은 2019회계연도(2019년 7월~2020년 6월) 기준이다.

연말 모임, 집단감염 뇌관 될라…"최대한 자제" (CG)

[연합뉴스TV 제공]

소주 업체들도 실적 부진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소주 '좋은데이'의 무학의 지난해 매출은 1천3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4%, 대선주조는 712억원으로 17.0%, 한라산은 189억원으로 11.7% 각각 줄었다.

소주 업체들은 대체로 영업이익은 흑자를 냈지만 큰 실적 개선은 없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식당·주점의 영업시간이 오후 9~10시로 제한되고 유흥주점의 영업은 수시로 금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부터는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로 회식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주류업계의 한 관계자는 "홈술과 혼술이 늘었다고 하지만 외식시장 타격이 워낙 커 전체 주류 판매는 줄었다"며 "지난해 가정시장의 술 소비가 8~9% 정도 늘었다면 외식시장에선 20~30% 빠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류회사 중에는 하이트진로가 유일하게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매출은 2조493억원으로 12.0%, 영업이익은 1천808억원으로 125.2% 증가했다.

2019년 내놓은 맥주 '테라'와 소주 '참이슬'의 서브 브랜드 '진로이즈백'의 꾸준한 인기 덕분으로 보인다.

테라는 출시 100일 만에 판매 수량이 1억 병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13억 병을 넘었다.

[표] 연도별 주류회사 실적 (단위: 억원)

연도 롯데칠성음료 하이트진로 오비맥주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21,620 972 20,493 1,808 13,529 2,945
2019 23,432 1,090 18,301 803 15,421 4,090
2018 23,233 876 16,576 900 16,981 5,145
2017 22,793 746 16,649 835 16,635 4,941
연도 골든블루 디아지오코리아 페르노리카코리아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1270 202 2004 200 916 161
2019 1688 213 2973 493 1037 -74
2018 1637 217 3035 372 1038 196
2017 1605 290 3257 568 967 164
연도 무학 대선주조 한라산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1,360 28 712 111 189 1
2019 1,518 -123 858 102 214 -3
2018 1,775 -91 812 105 232 -1
2017 2,313 289 507 41 241 15

※ 별도기준. 디아지오코리아·페르노리카코리아 지난해 실적은 2019년 7월~2020년 6월 기준.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1/04/14 06:01 송고

[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올 한해 어려움을 겪었던 주류업계가 내년에는 반등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주류업계는 내년도 사업 전망과 관련해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를 함께 내고 있는 중이다.

희망적인 전망은 백신 접종률 상승 및 코로나 치료제 상용화가 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출발한다. 유흥 시장에서의 방역 기준이 올해보다 완화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른 매출 반등세가 나타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올해와 비슷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방역 기준 강화와 완화가 반복되면서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낮게 나올 수 있다는 예상이다. 이 경우 실적 반등의 시기도 길어질 수 있다.

28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소비는 코로나19 여파로 가정용 주류 시장 매출 점유율이 70% 수준까지 치솟은 상황이다. 예년에는 유흥시장과 가정시장이 55%, 45% 수준의 점유율을 보였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2020년 주류업계는 백신 공급이 본격화되는 2021년에는 주류를 취급하는 유흥시설의 영업시간 연장을 비롯해 사적 모임 범위 확대 등을 통해 시장이 정상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 같은 기대감은 올 한해 반복되는 방역 기준 강화로 산산이 부서졌다. 지난해 연말부터 이어져온 사회적 거리두기가 올해 상반기에도 지속됐고 7~8월 여름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방역 기준이 더욱 강화되기도 했다.

11월에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시행으로 연말 특수를 기대했지만 치솟는 확진자 수에 방역 당국은 백기를 들었다. 12월 들어 정부는 '코로나19 특별방역대책 후속 조치'를 시행하며 방역 기준을 높였다.

주류업계는 올 한해 지속된 방역 기준 변경에 따른 실적 손해를 많이 봤다. 주류를 취급하는 업소들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사적 모임 가능 인원을 축소하자 외식보다 내식, 회식보다 혼술을 선호하는 이들이 증가해서다.

주류업계 빅 3중에서는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경쟁사 대비 높은 하이트진로가 방역 강화에 따른 최대 피해를 입었다. 이 회사는 1분기 529억원(-5.73%), 2분기 426억원(-21.20%), 3분기 449억원(-30.31%)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4분기에는 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 회복이 본격화되며 실적 반등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방역이 강화된 이후 기대 이상의 실적 반등세를 보이지 못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2019년 3월 출시된 테라의 흥행 돌풍이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테라는 출시 이후 국내 맥주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카스의 아성을 위협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기세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난 13일 기준으로 1000일간 23억6000만병을 판매한 것은 그나마 위안 거리다. 테라는 100일 만에 1억병, 200일 만에 약 3억병, 500일 만에 10억 6000만병을 돌파했고 1000일동안 23억6000만병을 판매했다.

내년도 전망과 관련해서는 '올해보다 더 나을 수 있다'고 모아진다. 코로나19 사태가 시간이 흐를 수록 안정화 국면에 들어서면서 영업 환경이 올해보다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점은 실적 상승에 힘을 싣는 요소다.

다만 치열해지는 경쟁, 예상보다 부진한 맥주 시장 점유율 상승, 원가 상승 판관비 부담 등은 실적 상승을 더디게 만들 수 있는 부분이다. 유흥 시장에서의 실적 회복 시기가 이 회사의 내년도 실적을 좌지우지할 키워드다.

국내 맥주시장 점유율 55~60%를 차지하는 오비맥주는 하이트진로보다는 상황이 낫다.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하이트진로보다 낮은데다 카스, 한맥,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가 가정용 시장에서의 매출을 끌어올리고 있어서다.

가정용 공략을 위해 오비맥주는 집콕족을 겨냥한 굿즈 출시, 오프라인 프로모션을 대신할 수 있는 온택트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마케팅을 올 한해 전개했다.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 하락분을 만회하기 위한 행보다.

또 다양한 협업 수제맥주를 개발하고 국내 수제맥주 시장 내 제품 다양성 확장에 기여한다는 목적 아래 지난 6월 수제맥주 협업 전문 브랜드 '코리아 브루어스 콜렉티브(KBC)'를 론칭하기도 했다.

내년 실적 예상도 올해보다는 좋을 것으로 점쳐진다. 가정시장에서의 매출을 바탕으로 유흥시장에서 카스의 점유율 1위 지키기, 한맥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칠성음료는 음료부문과 주류부문 통합 이후 올 한해 확연한 반등세를 보였다. 음료 부문은 원부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원가 상승 압박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상품수(SKU) 합리화 작업, 페트용기 수직 계열화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큰 타격을 입었던 주류부문도 정상화된 모습이다. 주류부문의 실적 상승세는 와인제품 판매 호조와 수제맥주 주문자 상표부착 생산(OEM) 사업이 이끌었다.

내년도에도 반등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사 대비 유흥 시장에서의 매출 비중이 적어 와인 소싱 다각화를 통한 가정시장 공략,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업을 통한 공장 가동률 상승이 최우선 과제로 꼽힌다.

클라우드 맥주와 처음처럼 소주의 시장 점유율 확대는 숙제다. 클라우드 맥주는 출시된지 7주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시장 점유율이 경쟁사 대비 턱없이 낮고 처음처럼도 소주 업계 1위 브랜드인 참이슬을 뛰어넘지 못하고 있다.

맥주와 소주 부분에서의 주력 제품들의 매출 상승은 롯데칠성음료 실적에 추가적인 모멘텀을 가져다줄 수 있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내년도 유흥 시장 상황을 살피며 상권 마케팅 가동 등을 통해 실적 상승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연말과 내년 초에도 유흥 시장보다는 가정 시장에 치중한 마케팅을 펼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치료약 개발 상용화 등으로 극적인 반전을 보일 경우 유흥 시장이 빠르게 회복되면서 내년 실적은 올해보다 더 좋아질 수 있다. 반대의 경우라면 올해와 마찬가지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