깁스 냄새 중독 - gibseu naemsae jungdog

A. 비독성 노출

비독성 노출은 '특이 증상이 없는 것'이 아닌 '치료가 필요 없는 것'으로 이해한다. 판단의 일반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확인된 물질

② 다른 물질과 복합되지 않은 단일 물질

③ 화학 물질이 아닌 경우

④ 소량

⑤ 일반적으로 무해하여 관찰만으로 충분한 물질

⑦ 제품 표지에 잠재적이 독성을 나타내는 경고 표지가 없을 것

⑧ 정확한 섭취량 파악 가능

⑨ 병력을 통해 노출 경로가 정확

⑩ 증상이 없어야 함

⑪ 추적 관찰이 가능

⑥ 소아 환자에의 믿을 만한 보호자 존재(소아가 가정용 화학 물질을 섭취하였을 때는 진료 필요)

B. 경구 투여해도 일반적으로 비독성인 가정 내 물품들

생활용품

학용품류

발한 억제제

유아용 비누, 로션, 샴푸, 세정제

부엌 비누

바디 컨디셔너

거품 목욕 비누

껌(accacia, agar, ghatti 등)

화장수

화장품

냄새 제거제

눈 화장품

손톱 광택제

주방 제제

손 로션

립스틱

입술 크림

마스카라

기름 젤리

샴푸(소량)

면도 크림

구두약(흰색)

선탠 로션

선크림 제품

세탁용 세제

직물 연화제

아주까리기름

무스

아라비아고무

볼펜 잉크(파랑, 검은색)

칠판용 분필(Calcium carbonate)

목탄

점토

Cyanoacrylate

지우개

붓(수용)

Glow stick 펜

보석류

양초(곤충 퇴치용은 아님)

산화아연 볼펜 잉크

연필(흑연)

잉크

사진

회반죽

스티로폼

왁스

그림물감

흰색 아교

장난감

목욕통 장난감

접합 인형

수성펜

접착제

온도계(원소 수은은 섭취에 무독성)

치약(불소가 포함되지 않은)

가정용 표백제(2-5% sodium hydrochloride)

Cetyl alcohol(화장품 등에 사용)

Carbowax(Pplyethylene glycol) - 실험할 때 사용하는 고정제

Carboxymethylcellulose(탈수제의 일종)

크레용(소아용, 표시 A.P., C.P. 또는 C.S. 130-146)

약품

기타

제산제

과산화수소(3%)

항생제(몇 가지 항생제 제외)

항생제 연고

칼라민 로션

Carboxymethyl cellulose

Methylcelluose

후추(흑색, 다량은 예외)

약제 제조용 표면활성제

stearic acid(지방산의 일종)

감미료

Bromide 염

경구용 피임약

요오드염

Linoleic acid

아마인 유

바셀린

Clotrimazole 크림

Corticosteroid

Glycerol

Lactaid

Lanolin

titanium oxide

Zinc oxide

Barium sulfate

연마제

공기 청정제

그리스

유지

전동 기계 오일

윤활유

석고, 깁스

고무나무 페인트

알루미늄 호일

활석(Talc, 흡입한 경우는 예외)

제습제(실리카 또는 흑연)

Putty(접착제의 일종)

방향제

담배(소량)

담뱃재

재(나무, 화재 장소)

신문지

책 형태 성냥(한 갑)

초(파라핀 왁스)

연탄, 조개탄

석유

진흙

비타민(불소, 철, niacin이 포함 안된 것)

Titanium oxide Triacetin(glycerol triacetate)

음이온과 비음이온 Dichloral(제초제)

Red oil(터키 레드 유, 황산화 아주까리기름)

건전지(만약 천공 가능성이 있다면 독성이 있음)

손그릇 세척 물비누(전기 그릇 세척용이 아닌)

C. 기타

C.1. 세제

① 액체 샴푸는 세제와 비누로 만들어지며 무독성이다.

② 건성 샴푸는 유해 물질(Isopropyl alcohol 및 Methyl alcohol)

③ 탈취제는 알루미늄염과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고 무해하다.

④ 선탠 제제는 에틸 알코올, brucine sulfate,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대량이면 알코올 의존증을 일으킬 수 있다.

⑤ 치약은 무독성이나 대량이며 불화 주석으로 구토가 생길 수 있다.

⑥ 접시 닦기용, 세탁용 분말 세제, 비누 제품은 독성이 낮다. 가벼운 점막 자극으로 위장관염이 생길 수 있다.

C.1.1. 가정용 액체 세제

독성이 낮다.

② 표백제, 효소제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발색제, 수질 연화제가 있어도 소량이므로 독성은 증가되지 않는다.

C.1.2. 일반용 액체세제

① 높은 농도의 pine oil는 독성이 있다.

② 독성은 turpentine과 비슷하나 1/5이다.

③ 소나무 향은 무독성

C.1.3. 전기 접시 닦기 세제

① 비교적 pH가 높으며, 부식성은 약하나 점막 손상 가능성은 있다. 그러므로 알칼리 섭취와 같이 취급한다.

② 주성분은 Sodium Carbonate, trisodium phosphate, Sodium tripolyphosphate, Sodium metasilicate이며 이들 성분이 50% 이상이면 식도 화상이 생길 수 있다.

C.1.4. 표백제

① Sodium 또는 Calcium hypochlorite 혹은 Oxalic acid이다. 수산을 함유하는 제품(녹이나 잉크 지우개)은 부식성이 있고, 저칼슘증, 신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② 4-6%의 hypochlorite를 함유하는 가정용 표백제는 위장관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나 식도 손상은 드물다.

③ 전문용 표백제는 고농도로 식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알칼리 손상과 같이 취급한다.

C.2. 방취제와 소독약

① 방취제 쓰레기통, 기저귀통, 화장실용 대부분 paradichlorobenzine를 가지고 있어서 소량에서는 무독성이나, 많은 양이면 구토를 시킨다.

② 심지가 달린 방취제는 물, 계면활성제, 방향제를 가지고 있으며 무독성이다.

C.3. 담배

와 성냥

① 피우게 되면 니코틴을 흡수하게 되나 입으로 씹어 먹으면 구역 반사로 토하므로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궐련 한 가치는 10-18㎎의 니코틴을 가지고 있다. 독성 용량은 1㎎/㎏

② 담뱃재에는 니코틴이 거의 없다.

③ 성냥은 Potassium chlorate가 20개비에 220㎎ 정도이다. 1세 정도 소아의 중독량은 20갑 정도이다.

C.4. 의약품

① Merthiloate, mercurochrome은 위장관에서 흡수가 거의 없는 유기 수은 화합물로 중독은 극히 드물다. 그러나 umblical hernia 치료로 피부 도포를 하여 중독이 생긴 경우는 있다.

② Hexachlorophene은 페놀과 같은 작용을 하며 소량은 무독성이며 치명량은 2g이다. 일반 사용 농도는 1-3%이다.

③ Phenolphthalenin을 함유하는 캔디형 하제는 무독성이며 이것으로 생긴 설사는 3일 내에 좋아진다.

④ 불소의 치명량은 50-225㎎/㎏, 성인 기준 5g

⑤ 호르몬형 피임약은 거의 무독성 21정 섭취해도 오심과 구토만 유발한다.

⑥ 체온계 수은 : 금속 수은을 가지고 있으며 위장관에서 흡수되기 위해서는 이온화되는데 필요한 산화 과정이 너무나 느리므로 무해하다.

C.5. 석유 증류 물질, 탄화수소류

① 가솔린 튜브를 빨다가 실수로 삼킨 사람은 구토, 기침, 호흡곤란, 기타 증상이 있을 때만 의학적 관찰 필요

② 중합체 탄화수소들 : 연료용 오일, 미네랄 오일, 디젤유, 아스팔트, 윤활유 이들은 흡입, 흡수되기에는 점도가 높으므로 위장관 세척은 대개 필요 없다. 위험한 첨가물이 있으면 위장관 세척을 한다.

C.6. 학용품

C.6.1. 잉크

청색,흑색: Ferrous sulfate, Tannic acid, Gallic acid를 포함하고 있으며 독성은 없다.

적색,초록색,자주색잉크 : aniline 염료 포함 가능성으로 대량 섭취하면 위험

③ 볼펜 잉크는 carbitol 10% 또는 diethyl glycol을 함유, 치사량은 30g

④ 잉크 카트리지에 있는 양 정도는 위험하지 않다.

C.6.2. 연필

① 납성분의 연필은 무독성 흑연을 포함하고 있다.

② 색깔 있는 연필은 독성 색소를 함유하고 있으나 적은 양은 위험하지 않다.

③ 지워지지 않는 연필은 triphenylmethene dye를 함유하여 찔린 부위에 국소 동통, 부종, 괴사 가능성은 있으나 전신 반응은 없다.

C.6.3. 크레용

① Stearic acid와 파라핀의 혼합물로 무해 색소로 착색되어 있다. 인가품은 무독성으로 납, 비소, 다른 독성 물질이 0.05% 이하이다.

적색,오렌지색은 유해하다. 인가 표시가 없으면 paranitraniline을 형성하여 청색증과 메트헤모글로빈증을 유발하는 para red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C.6.4. 기타 학용품

① 분필 : Calcium Carbonate와 kaolin을 가지고 있으며 색깔이 있건 없건 무독성이다.

② 공작용 찰흙이나 수용성 접착제, 풀은 대개 무독성이다. 그러나 전문가용 미술용품은 해로울 수 있다.

③ 고무, 플라스틱 및 기타 가정용 접착제는 톨루엔, 벤젠,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는 많은 양일 때 잠재적 독성이 있다.

C.7. 화장품 및 세제

① 립스틱, 로션, 미용 크림, 샴푸, 셰이빙 크림, 피부 도포용 화장품은 대량(5g/㎏ 이상)이 아니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유아용은 더욱 안전하다(15g/㎏ 이상이 아니면).

② 활석 분말(talcum powder)은 섭취하면 해가 없으나 기도에 들어가면 폐렴, 저산소증, 기도폐쇄로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주로 아기의 기저귀를 갈다가 문제가 생긴다.

C.7.0. 손톱 매니큐어 제거액

① 지방족(= aliphatic) acetate를 가지고 있으며 가벼운 위장관 장해와 중추신경 억제가 올 수 있다.

② 방향족 탄화수소를 가지고 있어 많은 양을 먹으면 독성이 있을 수 있다.

③ 비누 : 지방산과 알칼리염을 가지고 있다. 구토가 있을 수 있다. 의료용 비누는 소량의 살균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독성은 없다.

C.8. 기타

C.8.1. 페인트

① 잠재 독성 금속 물질이 여러 가지가 있으나 흡수가 느려 독작용이 오래 있어야 나타난다.

② 건성 실내용 페인트는 0.5% 이하의 납을 함유하여 안전하다.

③ 실외용 페인트는 납 함유량이 더 많다. 반복 노출되면 만성 납 중독이 생길 수 있다. 손톱 크기 조각은 100㎎의 납이 있고, 이것은 일일 안전용량의 1/200이다.

C.8.2. 건전지

① 플래시용 건전지는 어린 소아의 치사량의 1/5에 이르는 mercuric chloride가 있으나 무독성으로 간주한다.

② 수은 배터리는 mercuric oxide 5g을 가지고 있다. 용기가 깨지면 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치사량은 100-700㎎이다.

③ 카메라, 손목시계용 원반형 배터리는 부식성 물질, 중금속이 유출될 수 있다.

C.8.3. 톨루엔, 크실렌

① 치사량은 50g이다.

② 접착제를 물어뜯는 정도는 무독성이다.

③ 톨루엔을 코로 마시면 농도가 200ppm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이는 산업장에서 허용 농도의 50배이다.

④ 세뇨관 산증도 유발할 수 있다.

C.8.4. 양초

파라핀과 봉밀이 있으며 무독성이다. 파라핀 독성 용량은 2g/㎏ 이상이다.

1

1. suicide by Gan Khoon Lay from the Noun Project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