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로 올라운드 차이 - eeolo ollaundeu chai

[로드바이크] 에어로? VS 올라운드?

안녕하세요 스콜 김해점입니다.
오늘은 로드바이크의 트랜드인 에어로 타입과
올라운드 타입의 자전거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에어로 타입 제품은 제품의 에어로다이나믹 성능을 우선시 해서 설계된 제품으로
프레임 튜빙의 형태를 주행시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는 모양으로 제작됩니다.


아래는 메리다의 에어로타입 로드바이크인 리액토 입니다.

보시는 것 처럼 프레임 튜빙의 넓이가 넓고 휠과
컴퍼넌트(핸들바/스템/시트포스트) 등도 에어로 타입으로 적용 되어 있습니다.
탑튜브도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수평탑튜브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에어로다이나믹의 효과는 자전거의 속도가 빠를 수록 더욱 효과가 크기 때문에
고속의 평지 또는 내리막 주행에 상대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메리다의 올라운드타입 자전거 스컬트라 팀 모델입니다.
올라운드 타입은 자전거의 에어로다이나믹과 더불어 경량화를 함께 추구한 형태로
모든 지형에서의 우수한 성능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그래서 프레임을 비롯한 나머지 부품들도 경량화와 적당한 에어로 효과를 가진 제품으로 구성됩니다.
평지와 오르막과 내리막 모두에서 골고루 우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같은 등급의 제품이라도 컨셉에 따라 성능과 무게가 다르기 때문에
라이더의 라이딩 성향과 체형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시면
라이딩에서 더욱 우수한 퍼포먼스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보통 근육이 많고 체격이 좋은 분들의 경우
절대적인 파워가 높은 라이더가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평지 구간에 강점을 보이며
에어로타입의 자전거와 함께 하면 엄청난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사진의 왼쪽 선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요

체중이 가볍고 잔근육이 많이 발달한 분들은
몸무게 대비 출력이 높아 오르막 구간에서 강점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가벼운 올라운드형 자전거와 함께 할 때 많은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특히 체중이 가벼울 수록 자전거의 무게에도 민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진의 오른쪽 선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자전거의 타입은 주로 타는 라이딩 코스에 따라 평지 위주의 코스라면 에어로 타입
오르막이 많은 코스에서는 올라운드타입이 적당합니다.

자신에게 잘 맞는 자전거를 선택해서 더욱 즐겁고 안전한 라이딩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블로그를 방문해 주시는 분들께 감사드리며 
여러분의 덧글과 공감은 저에게 더욱 힘을 주니 잊지마시고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스콜은 김해 지역의  스캇자전거 및 메리다자전거 대리점입니다. 
그 외에도 툴레캐리어의 부산 경남 총판입니다. 

010-3460-2998, 055-314-7980

안녕하세요 열정남입니다.

요즘 자전거 시대라고 불리울만큼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정말 많습니다.

특히 서울에 한강만 가도 사람반 자전거 반입니다.

서울은 물론 지방에서도 자전거도로가 잘 되어있어 부담없이 자전거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자전거도로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간단한 규칙만 잘 지키신다면 안전하고 부담없이 타실 수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자전거를 구매하기에 앞서 가장 기본적인 자전거 종류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자전거는 크게 로드(Road)엠티비(MTB)로 나뉩니다.

도로에서 즐기는 도로용 자전거 로드(Road), 산에서 즐기는 산악용 자전거(MTB).

자전거의 프레임의 종류 또한 알루미늄, 카본, 티타늄으로 나뉘고

가격 또한 티타늄 > 카본 > 알루미늄 으로 차이가 납니다.

차도 그렇듯 자전거 또한 비쌀수록 당연히 더 좋은 자전거겠지요?? ㅎㅎ

로드바이크에서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스피드를 위한 에어로, 편안함을 위한 엔듀런스, 경량화를 위한 올라운드.

이 3가지 자전거 유형의 자세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첫 번째, 스피드를 즐기시는 분이라면 에어로.

트렉 마돈9.9

에어로 바이크는 온전히 스피드를 위해 탄생한 자전거입니다.

모든 프레임 구조가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평지에서 좀더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습니다.

디자인 또한 3가지 유형중에 가장 호평을 받는 디자인입니다.(물론 개인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0.1초로 승부가 갈리는 자전거대회에서 에어로 자전거의 인기는 어마무시합니다.

하지만 단점이라면 무게가 다른 유형의 자전거보다 무겁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업힐(오르막)에서 에어로 자전거가 무게때문에 조금 더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바로 자신의 엔진이 아닐까요? ^^

예거 벨로키

이건 제 자전거인 에어로 자전거(예거 벨로키)입니다.

저는 어떠한 물건을 구매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게 디자인 입니다.

제일 처음 자전거를 구매할 때 올라운드 자전거인 첼로 케인 마크3를 구매했었는데요

잘 타고 있었지만 에어로 자전거의 디자인을 보고 뿅가서 바로 기변을 했답니다..ㅜㅠ

아는 지인에게 중고로 구매해 지금까지 잘 타고 있는 중이랍니다~^^

처음 구매했던 마크3보다 좋은점은 디자인과 평지에서의 직진성이고

안좋은점이라면 업힐(오르막)에서의 힘든점입니다.

확실히 오르막에서는 에어로가 많이 힘이 듭니다...

두 번째, 편안함을 추구한다면 엔듀런스.

트렉 도마니sl6

에어로 바이크를 SUV라고 한다면 엔듀런스는 세단이라고 비교할 수 있겠네요.

그만큼 승차감을 위해 탄생한 자전거입니다.

MTB와 달리 로드자전거는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 생각보다 심하게 올라옵니다.

그래서 장거리 라이딩시 피로가 쌓여 손목,허리,어깨,목 등 여러군데가 뻐근하곤 하죠.

엔듀런스 타입은 장거리 라이딩이나 노면이 좋지 않은 코스를 달릴 때 좀 더 편안하게 해주는 자전거입니다.

대회나 경쟁이 아닌 출퇴근이나 가벼운 라이딩 정도로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엔듀런스로 선택하시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 가벼운 자전거와 업힐(오르막)을 즐기시는 분이라면 올라운드.

트렉 에몬다sl6

말 그대로 올라운드, 여러곳에서 쓰인다는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에어로와 엔듀런스를 합쳐놓은 자전거지만 그렇다고해서 

에어로처럼 빠르지도 않고 엔듀런스처럼 편하지도 않는 가장 일반적인 자전거 입니다.

하지만 올라운드에 가장 좋은점은 바로 가볍다는 점입니다.

에어로와 엔듀런스를 비교했을 때 올라운드만큼 가벼운 자전거는 없습니다.

그로인해 업힐(오르막)에서는 다른 자전거보다 빠르게 업힐을 정복할 수 있습니다.

업힐 대회인 힐클라임이라고 하는 대회가 있는데 이 대회에서는 올라운드 자전거가 가장 많이 보이기도 합니다.

첼로 케인 마크3

저의 첫 번째 자전거인 올라운드형(첼로 케인 마크3)자전거 입니다.

자전거를 알아보던 도중 가성비가 최고라는 첼로사의 케인 마크제품이 인기가 있길래 바로 구매한 자전거입니다.

지금 타고있는 예거 벨로키와 비교했을 때 좋은점은 무게입니다.

벨로키와 비교했을 때 무게가 느껴질정도로 가벼우며 특히 업힐(오르막)에 있어서 힘이 덜 듭니다.

마크3로 잘 올라갔던 평소 업힐 코스를 벨로키로 기변하고 나서는 힘이 너무 든답니다..ㅜㅠ (물론 엔진에도 문제가 있지만;;)

하지만 좋은점은 평지에서의 직진성입니다.

가장 체감을 크게 느꼈던게 평지에서의 직진성인데 35km이상의 속도일 때 에어로 바이크의 특징을 잘 살려

좀 더 편하하게 페달을 밟을 수가 있었습니다

35km, 40km 이상으로 달릴 때 페달의 밟는 힘이

올라운드는 70% 정도의 파워로 밟았다면

에어로는 50% 정도의 파워로도 꾸준히 그 속도를 유지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만금 평지는 에어로, 업힐은 올라운드로 나뉠 수 있겠네요.

정리하자면

스피드: 에어로 > 올라운드 > 엔듀런스

승차감: 엔듀런스 > 올라운드 > 에어로

경량화: 올라운드 > 에어로 > 엔듀런스

지금까지 로드자전거의 3가지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일반 철 자전거가 아닌 이라한 전문적인 자전거들은 가격이 보통 비싼게 아닙니다.

그만큼 신중하게 자전거를 선택하고 여러 정보들을 찾아서 공부한다음 자신에게 맞는 자전거를 선택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블로그는 자전거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들이나 구매 하기전 필요한 정보들을 볼 수 있으니 다른 게시글도

확인해서 필요한 정보들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자전거를 구매하기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

공감한번씩 눌러주시는 센스~^0^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