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이미지 추출 사이트 - dong-yeongsang imiji chuchul saiteu

다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해 영상에서 frame단위로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공개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직접 다각도로 대상을 동영상으로 촬영한 뒤 해당 영상에서 frame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 툴이 있지만 비교적 사용하기 간단한 VLC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www.videolan.org/vlc/download-windows.html

Download official VLC media player for Windows - VideoLAN

VLC는 DVD, 오디오 CD, VCD 와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뿐 아니라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무료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멀티미디어 재생기이자 프레임워크입니다. VLC는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파일과 다양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재생할 수 있는 무료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멀티미디어 재생기이자 프레임워크입니다.

www.videolan.org

먼저, 해당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OS에 맞는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하실 수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GUI환경에서 직접 영상을 재생시켜서, 해당 영상에서 자동 캡쳐기능을 이용해 얻어내는 방법과 커맨드 라인을 활용한 방식이 있습니다. 

둘중 원하시는 방식 하나만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GUI 환경에서 수행하는 법

설치가 완료된후 VLC프로그램을 킨 상태에서 ctrl + p 를 눌러 환경설정을 들어가면 위와 같은 창이 뜹니다.

설정보기를 전체로 변경.

변경된 설정창에 왼쪽 사이드바에 비디오->필터-> 장면필터 클릭

이미지 형식 지정 (디폴트는 PNG로 되어있습니다. 원하시는 형태로 지정하시면 됩니다.)

폴더 경로 접두사 : 저장할 경로 지정

이미지 너비, 높이 지정 : 리사이징 ( -1로 지정하면 원본 영상의 사이즈와 동일한 비율로 들어가게 된다.)

녹화비율 지정

여기서 녹화비율은 몇 Frame당 이미지를 추출할지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30프레임의 영상에서 녹화 비율을 90으로 주게 되면, 영상에서 3초에 1frame씩 추출됩니다.

영상의 frame rate 확인은 윈도우의 경우 속성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은 VLC로 해당 영상을 실행한 후에 ctrl+j를 눌러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 설정을 마친후에 상위 범주인인 필터로 이동후에 장면 비디오 필터를 체크하고 저장하면 모든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후 임의의 영상을 실행하면 자동적으로 위에서 지정한 경로에 frame이 추출되어 저장됩니다.

실제 영상이 실행된 프레임을 카운팅하여 저장이 되기 때문에 속도를 최대로 올리고 수행하는 것이 편합니다. ( ']'버튼 으로 속도 조절 가능) 

커맨드 라인 기반

사실 이방식을 사용하는것이 별도의 설정도 필요없고, 빠르고, 편합니다.

vlc.exe 파일이 있는 위치로 cmd창에서 이동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vlc.exe "추출할 영상 경로" --rate=10.0 --video-filter=scene --start-time=500 --stop-time=600 --scene-ratio=10 --scene-path="저장할 경로" vlc://quit

rate 옵션은 재생 속도로 디폴트는 1.0인데, 여기서 10.0은 10배속을 의미합니다. 에러가 나지 않는 범주한에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GUI창에서는 4.0속도가 최대지만, 명령어로 수행할때는 딱히 제한이 없어보였습니다. 

(+ 2020.06 기준 최신버전 3.0.10 으로 확인해본 결과 GUI에서도 4.0배속 제한이 없어졌습니다. )

뒤에 따라 나오는 명령어들은 영상 구간과 frame 비율을 지정합니다.

이후에 vlc://quit는 자동적으로 영상 재생이 완료되었을때 종료하게 해주는 옵션입니다.

위 명령어는 공식 documentation(아래 주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필요하시다면, 필터(tilting, blur, mirror 등) 옵션을 사용하실 수 도 있습니다. 

//wiki.videolan.org/Documentation:Documentation

Documentation:Documentation - VideoLAN Wiki

wiki.videolan.org

(+2020.06.01) 이 글은 2019년 5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버전이 바뀌면서 부분부분 방식이 바꼈을 수도 있습니다.

버전마다 명령어가 조금씩 상이할수 있으나 큰틀은 유사합니다.

막히시는 부분은 댓글을 남겨주시거나 공식 문서를 참고해보세요!

(+2020.06.06) 최신버전 3.0.10 Vetinari기준으로 위의 작성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테스트해본 결과 gui환경, 커맨드라인으로 수행하는것 모두 정상적으로 잘작동 했습니다. 운영체제는 window10 64bits 입니다.

커맨드라인이나 GUI환경 둘중 원하시는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