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 대 예시 - de dae yesi

데, 대 구분 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한글 공부하러 왔습니다! ㅎㅎ

여러분 말로 할 때는 아무렇지 않게 '데'랑 '대'를 발음하잖아요??

근데 이걸 막상 글로 쓸 때는 약~~~ 간 고민하게 되는 거예요.

"아씨... '데'인 거 같은데 '대'인가?"

책 많이 안 읽어서 이런 걸로 고민하고 있나 봐요... 

(책을 가까이합시다... 그래도 저한테 하는 말이에요. ㅜㅜ)

서론은 그만하고! ㅎㅎ

'데'와 '대'는 직접 경험과 간접경험의 차이로 구분하시면 됩니다!

직접 경험한 걸 이야기할 때는 '데'

남한테 들을걸 이야기할 때는 '대'

쉽죠?

예시 한번 보실게요~

직접 경험 - "야, 내가 어제 그거 먹어보니까 나쁘지 않데?"

간점 경험 - "야, 어제 걔가 그거 먹어보니까 나쁘지 않대."

말꼬리가 올라가는 거랑 내려가는 거랑 느낌으로도 비교가 되네요.

추가적으로 '대'로 끝나는 말에는 놀랄 때랑 불평할 때가 있어요.

놀람 - "와~ 아파트 가격 뭐 이렇게 올랐대?!"

불만 - "아니... 이걸 그 돈 주고 샀대???"

이렇게 알고 보니 '데' 보다 '대'가 다양하게 쓰이네요. ㅎㅎ

중요한 건 직접 경험했는지 간접 경험했는지를 생각하고 쓰면 되겠습니다.

우리 모두 한글 공부 열심히 합시다!!

(나중에 아들 딸보다 한글 모르면 안 되잖아... 요.)

다른 글 보러 가기~:

[한글 정복] - 에요, 예요... 쉽게 설명좀 해줘요!!!

에요, 예요... 쉽게 설명좀 해줘요!!!

에요, 예요. 언제 쓰는 걸까요!? 세상에~ 한글 정말 헷갈리네요. 어르신께나 상사한테 카톡 할 때 '이건 이거에요.... 이거예요???' 전송 누르기 전에 망설이게 됩니다. 정말 이 '에요' 랑 '예요'는

anyeverything.tistory.com

[한글 정복] - 굳이? 궂이? 구지?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굳이? 궂이? 구지? 뭐가 맞는 표현일까요!?

굳이? 궂이? 구지? 뭐가 맞는 단어일까요?? 일상생활에서 정말 많이 쓰는 단어지만 막상 쓰려고 하면 헷갈리는 그 단어가 있죠 실제로 내가 맞게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에서 자꾸 틀리니

anyeverything.tistory.com

[한글 정복] - 되요와 돼요의 차이점, 'ㅚ'랑 'ㅙ' 진짜 햇갈려요!!!

되요와 돼요의 차이점, 'ㅚ'랑 'ㅙ' 진짜 햇갈려요!!!

되 돼 / 안되 안돼 / 안되요 안돼요 제가 평소에 책을 가까이하지 않다 보니 글을 쓸 때 맞춤법이 틀릴 때가 너무나 많아요. 지금 쓰고 있는 글들도 마지막에 맞춤법 검사작업을 하지 않으면 빨

anyeverything.tistory.com

  대 데 차이 구분하기 팁  

"그 친구 오늘 바쁘대"

"그 친구 오늘 바빠보이데"

두 문장의 차이점을 알 수 있으신가요? 대와 데는 모양이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종결어미입니다. 조금의 차이로 문장의 뜻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 대와 데의 차이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의 의미

1)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다.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닌,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된다.

2)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나는 종결어미이다.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즉, 다른사람이 말한 내용을 또 다른사람에게 전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표시할 때도 사용됩니다.

'~대'의 예문

1) 그 사람은 결국 해냈대

    영미가 어제 직접 요리했대

    철수가 오늘 결석했대

2) 오늘 날씨가 왜 이렇게 춥대?

    그럼 일찍 퇴근해도 된대?

    부장님 오늘 왜 저런대? 


'~데'의 의미

1)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쓰이는 말이다.

▲ 다른 사람에게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얘기할 때 사용되는데, 보통 구어체에서 많이 쓰입니다.

'~데'의 예문

1) 그 개그맨 꽤 웃기데.

    철수 어제 피아노 정말 잘치데.

    그 사람 말 진짜 잘하데


1. '~대' 의 자리에 '다고 해'를 넣어서 의미를 확인합니다.

2. '~데' 의 자리에 '~더라'를 넣어서 의미를 확인합니다.

3. 대와 데의 준말을 넣어 차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tag 구분, 대, 대데차이, 데, 데대차이구분, 맞춤법, 차이, 차이구분, 틀리기 쉬운 맞춤법, 한글 바르게 쓰기, 햇대, 햇데, 했대, 했데, 헷갈리는 단어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