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모터 콘덴서 결선 - dansangmoteo kondenseo gyeolseon

AC모터 결선 연결 방법 모터 사용법

여러 AC모터의 결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ㅎㅎ 간단하게 모터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볼까 합니다
AC모터의 종류로는
단상 인덕션, 삼상 인덕션, 브레이크, 리버시블,
스피드 컨트롤, 서보, 스테핑, 싱크로너스 등이 있는데요
콘덴서를 어디에 연결해야 되는지
회전 방향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설명해 볼게요 ㅎㅎ



단상 모터의 경우
콘덴서가 없을 경우
전원 자체만으로는 모터가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기동을 위하여 콘덴서(CONDENSER)를
보조 COIL에 연결하여 기동을 시킵니다.

일반적으로 검은색, 빨간색 선은 콘덴서를
연결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나머지 한 선을 AC 전원 한선과
콘덴서의 검정 빨강 중 하나의 선에 연결하면 됩니다

콘덴서는 양 극이 똑같기 때문에
연결하시는 방향은 상관이 없구요
보조 코일에 연결된 전원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되니
정역 전환을 사용한다면 스위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모터를 리버시블 모터라고 합니다


TP는 서멀 프로텍터라고 하는데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선이 떨어져서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고
온도가 내려가면 선이 다시 붙게 되어
악조건에서 사용하는 모터의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타코 제너레이터가 부착되어 있어
속도를 읽을 수 있는 모터는
일반적으로 전용 드라이버가 있어
별도의 결선이 필요 없지만
모터의 불량의 경우
작동 여부를 테스트해보기 위해 사용합니다.




브레이크 모터는 모터 하단에 장착된
브레이크가 전원이 인가될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타입과
전원이 끊어질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타입이 있어
둘의 결선 방법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전원이 끊어질 경우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모터의 경우의 결선법입니다.




3상 220V나 380V 모터의 경우
3선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순서대로 연결하지 않아도 상관없는데요
회전 방향을 바꾸실 경우
연결하신 선 중 2선의 위치를 바꾸시면
역회전을 하게 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